[한국교육신문 한병규 기자] 교육부는 인공지능(AI)이 교육계에 본격 도입된다면 학생 개개인에게 맞춤형 교육이 이뤄져 학력 격차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이주호 교육부 장관은 ‘디지털 교육 대전환’을 선언하고 AI 기반 교과서를 2025년부터 도입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한 상황이다.
물론 AI가 개인에게 맞춤형 교육은 제공할 수 있다. 다만 학력 격차가 줄어들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게 현장의 반응이다. 오히려 AI로 인해 학습 격차가 더욱 벌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사단법인 교사크리에이터협회 이준권 회장(충남 청양초 교사)은 "AI가 교육계에 도입되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일부 우려되는 점도 나올 수 있다"며 "교육 양극화가 지금보다 더욱 심각해질 위험성이 따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AI를 잘 활용하는 학생, 그렇지 않은 학생 사이에서 정보와 지식 격차가 더욱 벌어질 가능성은 높다"고 예상했다.
최근 전 세계적인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생성형 AI 챗GPT에서 일부 오류나 틀린 정보가 발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를 걸러낼 능력이 뒤따라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무조건 의존하는 것은 금물이라는 것이다.
또한 AI는 불법적인 부분까지 걸러내지 못하기 때문에 부정적으로 활용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
이에 대해 교육부에서 AI 정책을 주도하고 있는 박승재 자문관도 동의했다. 박 자문관은 "교육 분야에서 AI와 같은 ‘하이테크’를 활용할 때 교사의 ‘하이터치’는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AI로 인한 학습 격차 심화, 오답을 답으로 인지하는 경우 등은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가 AI교육을 내세우면서 ‘하이테크 하이터치’를 강조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교사의 하이터치가 중요해진다면 교사 1인당 적정한 학생 수 계산부터 이뤄져야 한다는 답이 나온다. 교육부는 아직 이에 대한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을뿐더러, 관련 연구도 진행하지 않고 있다.
현재로서는 학생 개인에게 일일이 ‘하이터치’를 해준다고 하면 어느 정도를 얼마나 해야할 지 예상할 수 없다. 그야말로 학생별로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교원의 행정업무를 줄여줄 수 있다는 AI로 인해 오히려 업무가 늘어날 수 있다.
자칫 학생 개인 맞춤이 아닌, 이도 저도 아닌 교육이 될 수 있다. 교사당 학생 수를 최대한 여유 있게 맞춰야 변수도 줄일 수 있다는 한국교총의 목소리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교총은 "AI 기술 등을 활용한 ‘모두를 위한 맞춤교육’의 기반은 디지털 교과서나 무선망 구축, 기기 보급으로 충분한 것이 아니다"라며 "그보다는 교사가 학생 한 명씩 더 살피고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20명 이하 교실 여건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고 촉구했다.
또한 AI 디지털교과서 개발이 시작조차 되지 않은 시점에서 밀어붙이는 식의 사업 진행도 조금은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대해 교총은 "AI 기반 디지털 교과서의 베타 버전이라도 개발 상태에서 모델학교가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먼저"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