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시대의 창의성과 다양성 교육을 위한 담론의 장이 국회 차원에서 마련됐다. 참석 전문가들은 거창한 구호보다는 입시제도, 교원양성 체계 개편 등 보다 근본적인 개혁을 통해 공교육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회 사무처와 국회미래연구원은 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국가 현안 대토론회-인공지능(AI) 시대의 교육개혁 무엇부터 해야 하는가’를 개최했다.
‘AI시대의 교육개혁’에 대해 주제 발제를 한 염재호 태재대 총장은 해외 사례에 대해 발표하며 “호주의 경우 대학 내 강의실을 없애고 그룹 프로젝트 방식으로 수업이 바뀌고 있다”며 “호주가 교육으로 경제를 성장시키고 있는 것처럼 교육을 통해 경제를 발전시켜온 우리나라도 21세기형 교육 모델로 빨리 탈바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21세기 교육과 관련해 스마트폰, 인터넷에 공개돼 있는 지식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한 시대”라며 “대학 강의를 온라인 기반 토론 중심으로 전환해 지식의 근력을 키우는 방식으로 나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AI시대를 이끌 인재 양성 방안’에 대해 발표한 김종현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이사장은 초·중·고 교육과정에서 정보교육의 강화와 관련 분야 교사 양성에 보다 힘써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이사장은 “일반계고의 정보기술(IT) 과목은 필수가 아니라 선택 과목으로 돼 있는 데다가 공업계 특성화고에서도 단순히 취업에 필요한 수준만 가르치고 있다”며 “과학고에 ‘정보과학’이 한 과목 있기는 하지만 수능과 관련이 없으니 잘 들으려 하지 않는 게 현실”이라고 밝혔다.
이어 “IT실력과 학업능력을 겸비한 창업 인재를 만들기 위해서는 정보 교과의 교육과정이나 담당 교사가 필요하지만 현실은 턱없이 부족하다”며 “초·중·고 정보 교과 교육과정 확대와 담당 교사 확충을 위해 교대와 사범대에 학과를 신설하고 증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AI의 교육계 활용에 대해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됐다.
심민철 교육부 디지털교육기획관은 “디지털 교육의 목표는 개인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교육을 통해 학생이 능동적인 학습자로 창의성과 인성, 비판적 사고를 갖추게 하는데 있다”며 “이를 위해 교사의 역할도 지식 전달자가 아닌 학습 경로를 구축할 수 있도록 디자인해주는 학습 디자이너의 역할이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재남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정책과장은 “AI시대는 인간중심으로 사고하면서 인간 고유의 창의성을 발현하는 감성적인 창조자를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며 “문제를 스스로 인식하고 해결할 줄 아는 자기 주도적 태도, 자신과 타인에 대한 올바른 이해, 인간의 존엄성을 중시하는 마음이 중시돼야 한다”점을 강조했다.
또 AI에 대한 지나친 의존이나 두려움 등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도 나왔다. 윤석만 중앙일보 논설위원은 “챗GPT가 혁신적인 기술이기는 하지만 수많은 말뭉치에서 패턴을 파악해 문장을 만들어내는 것”이라며 “자신이 만든 문장의 의미를 스스로 인지하지 못하고 단지 인간의 언어를 흉내내는 수준이라는 점에서 인간의 지적 능력과는 다르다”고 지적했다.
한편 김진표 국회의장은 축사를 통해 “교육에서 변치 않는 금언으로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지 못한다’는 말이 있다”며 교육혁신에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