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엑스포 새 시대를 연다]  프롤로그 ‘꿈을 현실로’

2023.05.22 01:24:32

전 국민이 ‘2030년 부산월드엑스포(등록엑스포)’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엑스포는 월드컵, 올림픽과 함께 세계 3대 메가 이벤트로 불립니다. 부산이 유치에 성공한다면 대한민국은 전 세계에서 7번째로 3대 메가 이벤트를 개최하는 나라가 됩니다. 대한민국이 다시 도약할 기회입니다. 이미 1993년 대전엑스포와 2012년 여수엑스포를 열지 않았냐고 반문할지도 모릅니다. 부산월드엑스포는 인류 공통의 주제를 논의하고 해법을 모색하는 등록엑스포로, 특정 분야의 주제를 다루는 인정엑스포인 대전·여수엑스포와는 체급이 다릅니다. 반드시 유치에 성공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부산엑스포 유치 염원을 담은 책 ‘엑스포 부산 오다’ 기획자인 오상준 국제신문 미래전략실장이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엑스포의 과거, 현재, 미래를 연재합니다.  편집자 주

 

 

모든 혁신 시발점… 인류문명 쇼케이스
 
[부산엑스포 새 시대를 연다]  프롤로그 ‘꿈을 현실로’
 

‘Everything begins with EXPO. (모든 것은 엑스포와 시작한다.)’ 
 

2012년 여수엑스포 국제박람회기구(BIE) 전시관 입구에 새겨졌던 문구다. 이 슬로건을 당당하게 내세운 배경에는 170년간 쌓아온 세계박람회의 빛나는 전통이 있다. 엑스포는 1851년 런던박람회를 시작으로 인류가 품은 꿈과 상상력을 현실로 구현해온 무대였다. 인류문명의 쇼케이스라 할 수 있다. 


인류의 기술·자본 총동원
 

엑스포는 산업혁명 이후 인류가 축적해온 지식과 기술, 자본과 인력이 총동원된 이벤트다. 오늘날 우리가 향유하는 거의 모든 생산물이 엑스포에서 첫선을 보인 뒤 대중에 보급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증기엔진, 수세식 화장실부터 청소기, 가스레인지 같은 생활용품, 고무타이어, 탈곡기, 에스컬레이터, X레이, 플라스틱, 컴퓨터, 로봇, 로켓 등 온갖 발명품이 엑스포 무대를 장식했다. 물론 기존 개발품이 엑스포를 통해 널리 보급되거나 대중화되기도 했다. 초기엔 무기류가 주요 전시품이 되기도 했으나 평화 정신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에 따라 이내 무대에서 내려오기도 했다. 
 

1904년 세인트루이스박람회 조직위원장은 개회사에서 이렇게 공언했다. “만약 끔찍한 재앙이 일어나 이 박람회장 바깥에 있는 인류의 모든 성과물이 파괴된다 하더라도 여기 모인 각국 전시물로 문명을 재건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공상소설 소재가 현실로
 

초기 박람회에 등장한 획기적 물품 중 하나가 재봉틀이다. 미국 발명가 아이작 싱어가 개발한 신형 재봉틀은 1855년 파리박람회에 첫선을 보인 뒤 1862년 런던박람회에선 별도 전시실을 차리고 마케팅에 나섰다. 단순한 바느질 도구가 아니라 가사노동을 근본적으로 혁신한 기계라는 콘셉트를 내세웠다. 
 

전화는 세상을 놀라게 한 발명품이었다.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은 1876년 필라델피아박람회에서 먼 거리에 있는 사람과 말을 주고받는 시연을 했다. 소리가 전기로 바뀌어 장거리를 이동하는 모습은 보는 이의 탄성을 자아냈다. 벨의 현장 시연은 엑스포 역사의 명장면 중 하나로 꼽힌다.
 

움직이는 보도(moving walkway)는 공상과학소설에서 실제 세상으로 나왔다. 많은 이들이 ‘길이 움직인다면 얼마나 좋을까’ 공상을 하던 차였다. H.G. 웰즈의 공상소설에 벨트식 이동보도를 건물 사이, 도시 사이에 놓아 편리하게 오간다는 내용이 나오곤 했다. 1893년 시카고박람회는 그런 공상을 현실로 보여줬다. 박람회장 놀이공원 호숫가에서 카지노까지 전기로 작동하는 곡선형 이동보도를 설치했다. 2개 층 중 한 층은 앉아서 가는 의자가 설치됐고, 다른 층은 서서 타게 돼 있었다. 속도는 시속 3마일로 실제 걷는 속도와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신기한 작동 모습으로 관람객의 인기를 독차지했다. 


 오상준 국제신문 미래전략실장 <엑스포 부산 오다> 기획자

 오상준 국제신문 미래전략실장 <엑스포 부산 오다> 기획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