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광물, 동물, 자연을 인식·분석하는 능력
뇌 어느 부분과 관련 있는지 아직 밝혀지지 않아
요즘 동식물 애호가가 많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애견 인구의 증가는 꽤 가파르다. 애견인들은 강아지에 대해 지대한 사랑을 갖고 있음은 물론 강아지의 종류와 특성, 키우는 요령 등을 누가 가르쳐 주지 않아도 스스로 찾아서 알아낸다. 식물을 좋아해서 화원이나 농장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도 마찬가지다. 어떤 식물이 어떻게 꽃을 피우고 어떻게 열매 맺는지에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자연친화지능은 다양한 꽃이나 풀, 돌과 같은 동식물과 광물을 분류하고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자연친화지능을 영어로 표기할 때 ‘동식물 연구가‘(Naturalist)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자연친화지능의 핵심 능력과 여러 가지 특성들이 함께 포함된 말이다.
동식물 연구가는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환경 및 동식물을 비롯한 방대한 종(種)들에 대한 인식과 분류에 탁월한 전문 지식과 재능을 지닌 사람들이다. 조류 박사 윤무부, 옥수수 박사 김순권 등이 이 지능의 대표적인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자연친화지능은 자연뿐 아니라 자동차나 신발 같은 문화적 산물을 인식하는 데서도 발현된다. 식물이나 새, 공룡의 종류를 잘 구분하는 어린아이가 모양이 비슷한 실내화, 자동차, 여러 가지 소리, 대리석의 종류를 구별하는 능력을 보이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엔진 소리만 듣고도 자동차의 종류를 구별하는 등 새로운 패턴을 감지하고 구별해 내는 능력도 자연친화지능에 속한다.
원시 시대에 그 기원을 두고 있는 자연친화지능은 수렵 생활에서 뱀이나 산딸기 등의 독성과 무독성을 구별해야만 하는 필요성으로 인해 발달된 능력으로 보인다. 따라서 예술가나 시인, 과학자에게서 찾아볼 수 있는 패턴 구별 능력은 모두 자연친화지능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어린아이들은 자연 세계에 대한 탐험에 쉽게 빠져 드는 경향이 있다. 5~6세의 어린이들 사이에서 공룡이나 자동차가 인기 있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라 할 수 있다. 어떤 어린이들은 눈에 띄게 자연 세계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다양한 개체들 간의 차이점을 구별하고 활용하는 데 또래 아이들보다 더 뛰어난 능력을 보인다.
진화론을 주장한 찰스 다윈, 찰스 다윈 이후 가장 잘 알려진 생물학자 스티븐 제이 굴드, 개미 연구의 일인자 에드워드 윌슨 등이 대표적인 인물로 이들은 살아 있는 생물들의 특징 하나하나를 의미 있게 보았다는 점에서 뛰어난 인물이다.
생물체의 유형을 인지하는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 있는 반면, 이런 능력이 부족한 사람도 있다. 뇌 손상을 입은 어떤 사람들은 무생물을 구분하고 명명하는 능력은 그대로인 데 비해 살아 있는 생물에 대해서는 그 능력을 잃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우리 뇌의 어느 부분이 자연친화지능과 관련이 있는지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자연친화지능은 하워드 가드너가 이야기한 8가지 지능 중에서 가장 늦게 발견된 지능이라 충분한 연구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하지만 자연친화지능은 다중지능 중의 한 가지 지능으로 인정받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조건을 만족하기 때문에 조만간 뇌의 어느 부분이 자연친화지능과 연관이 있는지 밝혀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