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의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약 추진위원장을 맡았던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에서 초중등 교육 정책 이해 부족이 도마에 올랐다.
16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정성국 국민의힘 의원은 이 후보자의 결격 사유에 대해 ▲중복 개재, 쪼개기, 가로채기 및 연구비 부정 수령 등 심각한 연구 윤리 ▲자녀 불법 조기유학 ▲유·초·중등교육 전문성 부족 ▲권위주의적 의사 결정 등을 지적했다.

이에 이 후보자는 “연구 윤리 문제에 대해서는 소상히 오해였다는 말씀을 드리고, 자녀 불법 유학 문제는 다시 한번 사과한다”고 밝힌 뒤 “사범계열 건축공학과 출신으로 교사자격증을 가지고 있고, 교생실습도 했고, 중등교원 연수를 담당하는 등 현장 교사와 소통을 많이 했다”고 답했다.
하지만 초중등 교육과 관련한 기본적인 용어나 수치 등에 대해서는 정확히 답변하지 못해 우려를 낳았다.
정 의원이 “김민석 총리도 인사청문회에서 국가채무비율을 정확히 답변하지 못해 논란이 있었는데 중요하고 기본적인 사항들을 알고 있어야 한다”며 초중등 교육 법정 수업일수를 물었으나 “정확히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현재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법정 수업일수는 190일이다.
이어 전국 1만여 초중등 학교에서 사용하는 교육 행정정보 시스템에 대한 질문에 머뭇거리자 정 의원이 “나이스”라고 말해주자 “나이스입니다”라고 뒤늦게 말했다. 또 유보통합을 하는 주체를 묻는 질의에도 “교육청에서 하고 있다”고 대답했다가 정 의원으로부터 “교육부에서 하고 있고, 모르면 모른다고 답하라”는 핀잔을 듣기도 했다.
이 후보자의 전문성에 대해서는 여당에서도 실망감을 표했다.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AIDT(AI디지털교과서)가 교육자료인가, 교과서인가라고 묻는 다른 의원의 질문에 왜 대답을 못하냐”고 질의했고, “교육자료로 논의 중인 것으로 정확히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고 의원이 “이 부분에 대해 툭 질문을 던지면 후보자의 철학이 술술 나와야 하는데 실망스럽다”며 “교육부의 청문준비단도 직무를 유기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청문회 말미에는 청문준비단이 준비한 것으로 보이는 ‘곤란한 질문에는 답을 피하라’, ‘동문서답을 해라’ 등의 이른바 답변 지침이 적힌 부전지가 전달되는 모습이 포착돼 논란이 됐다.
이 후보자는 마무리 발언을 통해 “청문회에서의 귀한 배움과 성찰을 바탕으로 신뢰할 수 있는 공교육, 모두가 안전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17일 국민의힘이 국무위원 후보자 전원에 대한 청문보고서 보류 방침을 정한데다 대통령실도 이 후보자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여론 동향을 살피고 있어 실제 임명까지는 험로가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