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럴 수가 있는가!
국보 1호 숭례문이 초저녁 온 국민이 지켜보는 가운데 눈앞에서 잿더미로 변하는 ‘변괴’를 당했다. 2008년 2월 10일 밤, 우리는 ‘대한민국의 감출 수 없는 실체’를 적나라하게 들어 내 보이는 처참함을 경험해야 했다. 이러고서도 무슨 경제규모 세계 10위니, 대학진학률 세계 최고니, 5000년 문화 유산국이니 하는 되도 않은 소리를 떠벌일 수 있는가.
600여년의 풍상을 겪으면서, 임진왜란이나 6-25의 참혹한 역사를 겪어내면서도 의연하고 당당하게 그 자리를 지켜온 숭례문, 남대문이 한순간의 어이없는 방화로 한줌 잔해로 변해버린 것이다. 잿더미의 폐허를 찾는 국민들의 얼굴에 드리워진 저 낙심의 모습을 보라. 우리는 앞으로 후손들에게 뭐라고 이 참담한 재앙을 변명할 것인가. 지난 600여년, 숭례문은 우리 민족의 얼굴이었다.
한국의 수도 서울의 정문으로 역사의 정기와 민족의 명운이 통교하는 상징성을 담보하고 있었다. ‘서울 가서 남대문 구경하는 것’이 한국사람의 평생 소원의 하나로 치부되곤 했다. 외국인들의 눈에도 숭례문은 서울의 랜드마크였다. 무자년 정월 초 사흗날 저녁, 날벼락으로 떨어진 숭례문 소실은 온 국민의 가슴에 비수가 되어 꽂혔다. 분명한 것은 이번 사건이 거역할 수 없는 천재가 아니라 사람들의 무책임과 방관에서 비롯된 인재란 사실이다.
참담한 마음을 추스르면서 반드시 이 기회에 다짐해야 할 것은 우리의 의식 구조와 사회시스템에 도사리고 있는 ‘카오스’를 직시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폐허가 된 숭례문 잿더미에서 한국 교육이 직면하고 있는 부조리의 그림자를 연상하는 것은 우리 교육자들의 지나친 감상 때문일까. 치밀하지 못하고 준비성 없으며 외화나 치장에만 매달리고 있는 우리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을 똑똑히 직시해야 한다.
뼈아픈 교훈을 이번 숭례문 참사에서 얻지 못한다면 우리의 미래는 없다고까지 감히 단언할 수 있다. 우리 국민들, 특히 우리 아이들에게 숭례문 폐허는 커다란 교훈을 제시해 주고 있다. 우리가 그동안 이뤄낸 성취의 보잘것 없음과 한없이 연약하고 엉성한 우리의 존재성을 일깨워주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