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민족사관고에 안주할 거면 오지도 않았을 겁니다.”
제6대 교장으로 3월 1일 취임한 윤정일(64) 전 서울대 사범대학장. 그는 설립 13년째를 맞는 민사고가 “가장 한국적인 전통교육과 세계적 수준의 글로벌 교육을 융합해 ‘민족적 자긍심을 가진 세계 지도자 양성’이라는 설립목표를 충실히 이행해 왔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국내 학교를 선도하고 세계 유수 고교와 경쟁하며 초일류 학교로 도약하기 위해 더 많은 변화와 혁신을 추구할 것”이라고 각오를 밝혔다. 미 명문대 진학률이 미국 고교를 제외하면 세계 1위지만 거기에 만족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지난달 29일 서울대 교수직을 정년퇴임하고 이틀 만에 중등교장으로 ‘변신’한 것도 ‘안주’보다는 ‘도전’을 즐기는 기질 탓이다. 그래서 윤 교장은 “‘행정’을 펴기보다 ‘경영’을 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민사고의 성장․도약기를 이끌기 위해 향후 △교육 수월성 추구 △국제경쟁력 제고 △학교 민주화․투명화 △교육여건 개선이라는 4대 학교경영 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수월성과 관련해 “학생마다 다른 특성, 잠재능력을 최대한 개발하기 위해 ‘1인 교육과정’이라 할 만큼의 자기주도적 편성권을 갖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사 70명에 학생 420명. 1대 6의 비율이라면 그게 가능하다는 것이다.
윤 교장은 “민사고의 초일류화를 위해 국제화는 필연”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세계 일류고교와 MOU를 체결하고, 학생과 교사를 교류하면서 서로의 장점을 보며 단점을 보완해 나갈 계획도 갖고 있다. 또 학생들이 졸업 후 진출할 국제무대에 대한 경험도 쌓게 할 생각이다. 그는 “UN 등 국제기구에서 인터십을 일정 기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교사들이 최대한 능력을 발휘해 좋은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인적․물적 조건을 갖춰 나가고 실험․실습 시설도 첨단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파스퇴르의 전폭적 지원이 사라진 지금, 윤 교장에게도 학교재정 확충이 고민이다. “이제는 고교도 기금 확보에 나서야 한다. 기업체 등을 뛰어다니며 기부금을 요청할 것”이라는 그는 ‘펀드레이저’(기금모금자) 도입도 적극 검토할 생각이다. 미 명문고인 초트 로즈메리 홀에는 전담 기금모금자가 10명이나 뛰고 있다는 것이다.
또 “재단 수익사업도 다양화 해 학교교육비를 충당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윤 교장은 향후 주요 의사결정 과정에 교원, 학생, 학부모, 지역인사를 폭넓게 참여시키고 운영 결과를 공개하는 등 투명성 제고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사학이 개인 소유가 아니라 국가 인재를 키우는 사회 소유라는 인식을 줘야 기금 확보도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기금이 모아져 기숙사를 더 늘릴 수 있다면 150명으로 묶인 입학 정원도 점차 늘려나가겠다는 포부다.
윤 교장은 자율과 경쟁을 강조하는 새 정부의 출범이 사학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조급증은 버려야 한다”고 충고했다. 그는 영어전용교사 도입을 골자로 한 영어정책을 꼬집었다. “몇 개월 연수로는 교사가 만들어지지는 않는다. 그들은 강사일 뿐이다. 10년, 20년을 내다봐야지 임기 내에 성과를 내려고 무리할 일이 아니다”며 “교사대의 영어교사 양성과정을 회화, 쓰기 위주로 바꾸고, 동시에 교육과정 개편과 현직 교사 연수에 박차를 가하는 등 차근차근 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새 정부의 교육공약이 지나치게 단편적, 처방적이어서 실망했다”며 “유초중등대학, 평생교육을 통해 어떤 인재를 어떤 방식으로 키울 것인가 하는 체계적인 청사진을 제시하고 교육재정에 대한 구체적 목표치를 제시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GDP 몇 %와 같은 구체적 수치를 제시하고 어떻게 재정을 확충할 것인지 방법까지 내놔야 교육공약 실천에 대한 대통령의 의지를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