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열린 제5차 ‘공교육 경쟁력 강화 및 사교육비 경감 민관 협의회’에서 백순근 서울대 교수는 ‘창의성 제고를 위한 학력평가 방안’을 발표하면서 “학생들의 사고 다양성과 창의성을 키우고 학습자 개인에게도 의미 있는 학습활동이 되게 하려면 서술형·논술형·토론식 평가 위주의 수행평가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수행평가가 도입된 지 10년이 되었음에도 현장에서의 수행평가의 위치는 오히려 시행 초기보다 후퇴하고 있는 듯 보인다. 교사의 평가자율권이 확보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는 지적을 내놓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포지션 페이퍼를 통해 ‘수행평가 현장 적용 개선 방안’을 살펴봤다.
주관식=수행평가로 변질
▶수행평가 실태 : 초등의 경우 대체로 수업 중에 수행이 이루어지는 과목은 결과물로 평가하고 그렇지 않은 과목의의 경우 주로 주관식 답안을 요구하는 문제를 풀게 하는 ‘수행평가지’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수행평가 결과를 학생부에 서술은 하지만 질적으로 기술하는 데는 이용되지 않는다. 심한 경우는 실제 성적 산출에 평가결과를 거의 이용하지 않기도 한다. 중학교의 경우 학기 초에 수행평가 내용, 기준, 시기 등을 홈페이지를 통해 알려준다. 초기에는 실습 또는 보고서 같은 과제를 부과해 평가했으나 최근에는 수행과정에 해당하는 지식을 서답형 질문지를 주고 정답 개수를 수행평가 점수에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평가=성적, 지나친 객관성 강조
▶수행평가 적용, 왜 어려운가 : 선발위주 평가관=우리나라에서는 ‘평가=성적’이라는 등식이 성립한다. 학부모, 학생 심지어 교사, 행정가조차도 평가는 성적을 내기 위한 자료를 만드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평가관으로 인해 초등에서는 점수로 산출되지 않는 수행평가를 의미 없는 평가로 여기고 있고, 중등에서는 내신에 반영된다는 이유로 지나치게 객관성과 공정성만을 강조해 수행평가의 본질을 구현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공교육 신뢰부족, 교사 업무 과중=공교육에 대한 불신이 깊고 교사의 전문적 판단에 대한 신뢰가 낮은 편이어서 교사들은 수행평가 시 가능하면 점수 차이가 나타나지 않게, 또는 유사 점수를 주려고 노력한다고 말했다. 또한 교사들의 담당 학생 수 과다로 인한 절대적 시간부족도 세부적 수행평가에 어려움을 주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모든 학교·교과 일괄 적용 안 돼
▶수행평가 적용 개선을 위한 정책 제언 : 자율적 시행지침 마련=모든 학교 모든 교과목에서 일정 비율 이상 수행평가를 하도록 요구하는 정책이 되어서는 안 된다. 수행평가는 지역 실정이나 여건에 따라 담당교사가 자율적으로 시행한다는 원칙을 지켜야 한다. 관계기관에서는 개별 학교 실정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 시행지침을 내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수행평가 도입 강도를 점진적으로 높여가야 한다. 학교 여건 상 서술형과 논술형 그 이상의 수행평가 시행이 어려운 경우 수행평가 시행 유보 권한을 학교장에 부여해야 한다.
점수화 문제서 벗어나야=수행평가의 목적은 교수·학습 활동을 개선하는 데 있다. 따라서 수업 내용이나 방법의 변화 없이 성적 처리를 위한 평가 방법만의 변화는 특별한 의미가 없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수행평가란 엄밀한 의미에서 방법 상의 변화만이 아니라 평가 방향의 전환, 즉 점수화 문제에서 벗어나야 그 방향이 올바로 설정될 수 있음을 분명히 인식하고 수행평가 정책이 수립돼야 할 것이다.
교사의 평가 전문성 향상 방안 마련=교사의 평가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나 관련 자료 가 부족하다. 단순히 수행평가의 장단점에 대한 1시간 강의가 아닌 실제로 작품을 만들어 보고, 채점 기준도 제작해 보고, 실제 평가도 해보는 등 실제적 경험을 하는 연수가 되어야 할 것이다.
수행평가 폭증 업무 경감책 마련해야=수행평가 시행으로 폭증하는 교사 업무를 경감시키기 위한 실질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 과밀학급과 과대학교의 규모를 지속적으로 감축시키고 학교교육 여건 개선을 위한 정책을 일관성 있게 시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