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의사결정은 다수결로…부장교사도 선거
자랑인 ‘수업혁신’도 협동학습만 강요해 갈등
명퇴 신청한 교장 “인사‧예산권 없이 책임만”
서울 혁신학교가 흔들리고 있다. 곽노현 교육감의 핵심공약으로 서울 지역 학교의 특성과 학생·교원·학부모·지역사회의 교육적 요구를 반영해 배움과 돌봄의 책임교육을 실현하겠다고 추진한 혁신학교가 기대와는 달리 학교 구성원 간의 봉합할 수 없는 갈등들이 불거지고 있는 것.
혁신학교 A교장은 학교 전교조 교사들에게 두 손 두 발 다 들었다. 어떤 사항이든 그들 ‘뜻대로’ 하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싸워도 보고 달래도 봤지만 학교 운영에 있어 교장의 의견은 무시됐다. 고민 끝에 A교장이 찾은 해결방법은 ‘포기’하는 것이었다.
사정은 B초도 마찬가지. 이 학교는 다른 학교의 부장급인 팀장을 선거로 뽑았다. 교장이 당초 정해놓은 부장교사가 있었지만, 전교조 교사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교사들이 추천하고, 투표로 결정해버리니 70%에 이르는 전교조 뜻대로 팀장이 선출될 수밖에 없었다. 이 학교는 학교의 중요 결정사항을 대부분 다수결에 따른다. 교장, 교감할 것 없이 투표권은 1표. 민주적(?) 운영으로 교장의 뜻은 반영될 수 없다. 이 학교 한 교사는 “다수결로 모든 것 결정하는 것은 졸렬한 방법”이라며 “선거를 통해 팀장을 선출하는 낯선 모습을 보니 학교에 정치가 들어온 것 같았다”고 허탈해했다.
C중은 혁신학교의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히는 ‘수업 혁신’ 문제로 교사들의 갈등이 잦다. 학교 구성원들이 협의해 협동학습을 위한 모둠학습을 거의 모든 교과에 적용한 것이 문제였다. 현실적으로 협동학습이 어려운 교과 교사들은 스스로 생각하거나 개발한 수업방법을 적용하고 싶지만 다른 교사들 눈치를 보느라 오히려 ‘수업 혁신’을 하지 못한다. 이러다 보니 학년협의회나 교과협의회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져 오히려 수업에 지장을 초래하기도 한다.
8월 명예퇴직을 신청한 인헌고 장영기 교장(59)이 털어놓는 혁신학교의 실상은 더 점입가경이다. 정년퇴임을 3년 남기고 6월 돌연 명퇴를 신청한 그는 당초 혁신학교 도입을 자청했던 사람이어서 다들 의아하게 생각했다. 장 교장은 “주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모든 구성원을 끌어안아 좋은 학교를 만들면 된다는 각오로 혁신학교를 도입했지만 사사건건 반대하는 교사들 때문에 교장으로서 할 수 있는 일이 아무 것도 없었다”며 “너무 지쳤다”고 털어놓았다. 그는 “예산권, 인사권은 물론 학교의 모든 결정사항까지 교사들의 요구에 따르지 않으면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그 결정에 따를 수밖에 없게 만든다”며 “‘자율’이라는 이름 아래 모든 결정은 교사들이 내릴 테니, 교장은 책임만 지라는 식”이라고 비판했다. 교무회의에서 교장에게 소리를 지르고 문을 박차고 나간 부장교사가 있는가 하면, 한 교사는 장 교장에게 ‘이×× 저××’하며 막말까지 일삼았다.
하지만 이 모든 일을 겪으면서도 버텨온 장 교장이 명퇴까지 결심한 동기는 생활지도로 인한 갈등이었다. 곽 교육감의 교육철학이 담긴 혁신학교인 만큼 학생인권이 강조된 학교에서 학생들은 그야말로 ‘자유’로왔다. 초미니 교복 치마에 화장, 염색 문제로 학부모, 지역주민까지 학교에 항의했지만 교사들은 이에 대한 논의조차 거부했다. 돌아온 것은 “교장선생님만 이상하게 생각하지, 우리 학교 학생들은 모두 다 잘하고 있다”는 답변이었다.
지역주민 D씨는 “노랗게 염색하고 짧은 치마를 입고 다니는 학생들의 생활지도를 해달라고 학교에 요구했지만 ‘워낙 그런 아이들이 많아 통제가 안 된다’ ‘학교가 제재할 방법이 없다’는 답변이 돌아와 황당했다”고 했다. 인헌고 E학생도 “어떻게 하고 다녀도 선생님들이 신경 쓰지 않는다”며 “우리에게 관심이 없다”고 대수롭지 않게 말했다.
장 교장은 “공교육의 새 모델을 만들겠다는 혁신학교의 취지는 좋다고 생각한다”면서도 “하지만 학교 내에서도 편을 갈라 자신들의 주장에 반대하는 사람은 몰아세우는 등 혁신학교 내부 교원 간 갈등은 상상을 초월한다”고 밝혔다.
장 교장의 지적처럼 혁신학교 문제를 말하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꼽는 것이 바로 학교 내 교원 집단따돌림이다. 성향에 맞지 않거나, 걸림돌이 되는 교원은 바로 대상자가 된다. 때문에 일반 교사들은 불합리한 일에 대해 목소리를 내고 싶어도 전근 갈 때까지만 참자며 ‘쉬쉬’한다는 것. F고의 경우 교원뿐 아니라 학교 행정실장까지 ‘차라리 벌점을 받아 다른 학교로 옮기고 싶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산다.
곽 교육감은 평소 “곽노현표 교육정책과 교육철학이 집약된 것이 서울형 혁신학교”라며 “59개 혁신학교에서 종합‧전면적 혁신을 이뤘다”고 취임 2년간 가장 잘한 일로 꼽아 왔다. “혁신학교 내에는 학교폭력이 거의 없다”거나 “교사들이 자기 효능감을 느끼는, 새로운 의미에서의 교권이 바로 선 학교”라고 치켜세우면서 말이다. 취임 2년간, 이렇게 학교 내 분열과 갈등을 만든 것이, 가장 잘한 일이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