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교육감들의 혁신교육이 학업성취도를 끌어올리는 데는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전국 초·중·고교생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시·도별 기초학력 미달비율이 높은 시·도는 서울(3.3%), 경기(3.2%), 전남·강원(2.7%), 광주(2.4%), 전북(2.2%) 순으로 최하위 6개 시·도 모두 진보교육감이 이끌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6개 시도는 기초학력미달비율이 낮을 뿐 아니라 많이 감소시키지도 못했다. 지난해와 비교해 기초학력미달비율을 감소시키지 못한 시·도는 초등은 광주(-0.2%), 강원(-0.1%), 전북(-0.1%), 제주(-0.1%), 서울(0%), 경기(0%), 전남(0%), 경남(0%), 중학은 광주(-0.5%), 대전(0%), 강원(0%), 고교는 광주(-0.1%), 경기(0%)였다. 특히 광주는 초‧중‧고 모두 기초학력미달이 늘었다.
진보교육감들이 자랑하는 혁신학교는 교과별 학교향상도 100대 고교, 우수중학교 50개교 중에 단 한 곳도 없다. 지난 2월 전북도교육청이 “혁신학교가 학생들의 창의성은 물론 학력향상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한 것이나, 지난 10월 유기홍 민주통합당 의원이 경기도교육청 국정감사에서 “혁신학교에 가면 성적이 떨어진다고 우려하지만 실제로는 성적이 향상된 사례가 여럿”이라고 주장한 것과는 사뭇 다른 결과다. 반면 이들이 실패한 교육이라고 지목한 특목고는 향상도 우수학교에 다수 포함됐다.
설립 유형별 학교 향상도는 사립고가 공립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교육개발원(원장 김태완)이 주최한 제6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에서도 사립중이 공립중보다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궤를 같이 했다. 학교 유형별로는 자사고(1.18%)의 향상도가 가장 높았으며 자공고(0.05%), 일반고(-0.02%), 특목고(-0.53%)이 뒤를 이었다. 학교 향상도는 입학 당시 점수를 바탕으로 도출된 학교의 기대점수와 실제 성취도 점수의 차이로 산출된다.
한편 교과부는 향상도 제고 요인으로 학교에 대한 안전성 인식, 교사와의 친밀도, EBS 이용률, 방과후학교 참여율 등을 꼽았다. 교과부는 향후 기초학력보장을 위해 학력 향상형 창의경영학교 500개교, 경계선상학교 3500개교를 지원하고 올해 첫 도입한 학습종합클리닉센터를 바탕으로 정서·행동발달상 어려움을 겪는 학생에 대해 찾아가는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