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새 정부 교육정책 관련 토론회 어디를 가도 빠지지 않는 단골주제는 단연 ‘자유학기제’ 운영 방안이다. 학생들의 ‘꿈과 끼를 살리는 행복교육’을 하겠다는 당선인의 비전에는 대부분 공감하지만, 자유학기제의 구체적인 시행방안에 대해서는 여전히 합의점이 도출되지 않은 상태다. 자유학기제는 도대체 언제, 어떻게 시행해야 바람직할까.
한국교육개발원(KEDI)은 15일 서울중앙우체국에서 열린 제56차 교육정책포럼을 통해 현재 수행 중인 ‘자유학기제 시행 방안 연구’의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교육전문가, 교사, 교장, 학부모 등 총 26명의 표적 집단면접 대상자에게 실시한 설문 결과 직업체험 중심의 협의의 진로교육을 할 경우 자유학기제 시행에 적합한 시기는 중3 2학기와 중2 2학기가 각각 29.4%의 응답률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활동중심 수업과 진로체험 등을 통한 인성 함양 교육을 포괄하는 광의의 진로교육은 1학년 2학기에 시행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의견이 31.8%로 가장 많았다.
시행 시기 외에도 자유학기제 실행을 위해 해결해야 할 우선 과제도 조사했다. 최우선 과제로 꼽힌 것은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협력 강화였다. 지역사회 인프라, 시설, 인적 자원 활용이 자유학기제 시행을 위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프로그램 및 매뉴얼 개발·보급, 국·영·수 수업시수 감축과 창의적 체험 활동 등의 수업시수 확대를 포함하는 교육과정 개편, 연수를 통한 교사 역량 강화,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및 관리지침 개정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다양한 관계자의 의견을 고루 청취했다고는 하나 소수의 표적 집단을 대상으로 한 이런 설문조사 결과는 현장의 여론과는 다소 온도차가 있어 보인다.
이 날 토론에 참가한 김무성 한국교총 정책기획국장은 “중1 시행은 빠르다는 것이 현장의 중론”이라고 주장했다. 최근 한국교총은 초6·중3·고3 학년 말에 걸쳐 시행하는 ‘한국형 전환학년제’ 추진을 제안했다. 기말고사가 끝나고 상급학교 진학과 입시가 마무리되는 시기인 만큼 교육적 효과를 거두기 좋을 뿐 아니라 체험·진로교육이 연속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제안의 논리다.
20일 좋은교사운동 세미나실에서 ‘자유학기제,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열린 좋은교사운동 정책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선 정병오 좋은교사운동 정책위원도 “중·고교에서 학생을 지도하는 다수 교사들도 중3이나 고1이 적정하다는 의견을 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자유학기제의 의미를 제대로 살리려면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희망자만을 대상으로 해야 교육과정 충돌 등의 문제도 최소화하면서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