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니까 청춘이라 했던가, 아이들은 크느라고 곳곳에서 아프다. 어제 본 아이의 얼굴과 오늘 만난 아이의 얼굴이 다르다.…(중략) ‘나를 닮은 인형들’ 아니, 너를 닮은 인형들. 가끔은 상담 중에 가슴이 쿵 내려앉는다. 내 안에도 너를 닮은 낯선 표정의 인형이 웅크리고 있기 때문이다.’
채경순(사진) 경기 지평중 전문상담교사가 31일부터 2015년 1월 6일까지 서울 인사동 갤러리 ‘시:작’에서 ‘나를 닮은 인형전(Dolls look like me)’을 개최한다. 지난해부터 학생들을 상담하며 만들기 시작한 인형들을 SNS에 올렸는데 주변에서 좋은 반응을 얻어 전시회도 개최하게 된 것이다.
채 교사는 30여년 국어교사로 근무하다가 2012년 상담교사로 전향했다. 교과 교사에서 상담교사로의 변화는 컸다. 좋은 학교, 높은 점수만 바라보며 목적 지향에 맞춰져있던 교육관을 배려와 이해, 공감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상담교사 체질로 바꾸는 것은 하루아침에 되는 것이 아니었다. 불안한 아이, 자존감 없는 아이, 왕따 당하는 아이, 가정형편이 어려운 아이들의 이야기를 종일 듣다 보면 그 슬픔이 채 교사에게도 온전히 전이됐다.
“어떤 날은 아무 말도 하기가 싫었어요. 모든 것이 싫고 괴롭기만 했어요. 어느 순간 우선 제 자신부터 힐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죠. 제 마음이 건강해야 아이들 마음도 제대로 돌볼 수 있으니까요.”
그렇게 자기치유의 수단 삼아 만들기 시작한 것이 인형이었다. 채 교사는 “바느질을 하면 마음이 안정됐고 상담했던 아이들의 모습이 떠올랐다”며 “아이를 닮은 인형을 만들고 또 그 그 인형에 내 어릴 적 모습을 투영하기도 하면서 스스로를 위로했다”고 밝혔다.
점차 예술성을 더한 인형도 만들기 시작했다. 커피를 달고 사는 현대인들을 비판하는 ‘커피 프린세스’는 여자 인형이 커피메이커에 앉아 커피콩을 배설하는 모습을 표현했다. ‘쇼핑걸’은 쇼핑중독에 걸린 여성이 자녀마저도 쇼핑백에 담아가는 모습을 통해 물질만능주의를 비판한 작품이다.
취미로 시작한 인형 만들기에 몰두하다보니 직업과 연결 짓는 길도 찾게 됐다. 그는 전시회를 계기로 인형극을 활용한 심리치료에 나설 예정이다. 미술, 음악, 검사 등 수많은 심리치료 기법이 있고 상담교사마다 노하우가 있듯 채 교사는 인형극에서 자신만의 심리치료법을 발견한 것이다.
심리치료 전반에는 교사와 함께 인형을 만들고, 옷을 입히고, 표정을 그리는 것에서부터 주어진 상황에 대해 인형극을 하는 것까지 포함된다. 채 교사는 “바느질을 하면서 선생님과 도란도란 대화하고, 자신의 인형에 감정을 투영하고 연극하면서 자연스럽게 내면의 이야기를 이끌어낼 좋은 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마음이란 잡히지 않는 물 같은 존재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가 왜 화났는지도 모른 채 불안해하기만 합니다. 그러나 감정을 보다 명료한 언어로 표현하는 순간 그것은 더 이상 고민이 아닌 것이 되기도 하죠. 저는 인형극을 통해 아이들이 자기의 이야기를 하게 돕고 싶어요. 그리고 그 고민에 공감하고 위로해주는 상담교사가 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