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의 소리> 자유학기제 성공하려면

2015.09.22 14:16:38

1, 2년 후면 사라질 것이라는 추측이 우세했던 자유학기제가 어느덧 전면 시행을 눈앞에 두고 있다. 관련 법안도 마련돼 사라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시범운영도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따라서 전면시행에 대비해 시범운영의 결과를 면밀히 분석, 혼란을 최소화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학력 저하 아닌 상승 끌어내야

안정적 정착을 위해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일선학교의 긴밀한 협조와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제는 제도 자체를 부정하기 보다는 그동안 시범운영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과감한 투자를 통해 전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사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자유학기제 도입과 함께 가장 우려했던 부분이 학생들의 학력저하였다. 자유학기제라는 명칭에서 오는 불안감과 함께 정규고사를 치르지 않는 현실, 진로탐색활동에 대한 저평가된 인식이 있었다. 여기에 해당학년 성적이 상급학교 진학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발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우려를 키웠던 게 사실이다.

그런 이유로 자유학기제는 진로탐색활동에만 매달리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수업 및 평가방법을 개발해 질 높은 수업으로 학생들의 다중지능을 개발 할 수 있는 제도이기도 했지만 세간의 관심 밖으로 밀려났다.

자유학기제의 근본취지는 문‧예‧체 활동 및 진로탐색활동 강화, 학생중심의 수업방법 및 평가방법 도입을 통한 다양한 활동으로 학생들의 꿈과 끼를 키우는 것이다. 이런 취지에 따라 우려와는 달리 기존보다 더 많은 학습량과 다양한 평가가 가능해진 것이다. 현실적으로 시도하기 어려운 융합인재교육이나 구성주의 기반의 수업이 가능해 짐으로써 교사들은 더 많은 고민을 통해 질적으로 한 단계 진일보한 수업을 위해 노력하게 됐다. 학생들에게 다소 생소한 자기성찰평가와 동료평가, 형성평가 형태의 단원평가 등 평가의 다양성 역시 정규고사 이상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학부모 역시 학력저하 우려를 숨기지는 않지만 내심 학교생활기록부에 어떤 내용이 어떻게 기재되는지 관심이 높다. 점수로 표기되는 기존의 생활기록부 이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자녀의 어떤 부분을 보강해야 좀 더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가에 대해 고민하는 모습이 여러 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결국 실제로 학력저하가 있었는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학력저하 우려를 토로하는 것은 현실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학력저하에 대한 우려는 자유학기제가 본 궤도에 오르면 자연스럽게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안정적 예산지원, 교원연수 필요

그러나 학력저하에 대한 우려가 어느 정도 해소된다고 해서 자유학기제가 성공하고 있다고 보긴 어렵다. 당장 내년부터 예산지원이 끊어질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먼저 불식돼야 한다. 현재 지원되고 있는 교당 2천만원 정도의 예산은 자유학기제를 운영하기 위한 최소한의 비용이다. 지속적인 예산지원이 곧 자유학기제 성공의 키를 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다른 학년의 정규고사 기간에 현장체험학습을 모든 중학교에서 일시에 몰려나온다면 학생들의 꿈과 끼를 키운다는 목표달성이 어려울 뿐 아니라 형식적인 활동으로 그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형식적인 운영이 되지 않도록 사회적 인프라 형성이 필요한 이유다.

아울러 자유학기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교원 연수를 적극 추진해야 하며, 학부모에 대한 올바른 홍보 노력도 기울여야 한다. 자유학기제가 학교교육의 또 다른 전기가 되려면 지금부터 어떻게 하느냐에 달렸다.
이창희 서울대방중 교사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