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 전쟁의 하이라이트인 고3. 수능과 관계되지 않는 과목은 가차 없이 외면되는 현실에서 철학을 정규 과목으로 가르치는 교사가 있다.
허훈 서울 상일여고 교사는 “초‧중‧고 교육과정에서 철학은 반드시 포함해야 할 중요한 과목”이라고 강조한다. 그는 4년 전부터 영재반 학생들에게 철학을 가르치다가 올해는 고3 학생 전체로 확대해 수업했다.
“수능에도 안 나오는 철학을 무엇 하러 가르치느냐고 할 수 있는데 결코 그렇지 않아요. 사고의 폭이 깊어져 오히려 대입 논술‧토론에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IS테러의 경우 예전이면 덮어놓고 나쁘다고 했을 텐데, 지금은 IS가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배경을 보고 객관적으로 판단하려고 해요. ‘생각의 발전’이 느껴집니다.”
성균관대에서 한국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국제예술대와 중앙대에서 철학을 강의하고 있는 허 교사는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고교 철학교과서가 어렵다는 것을 깨닫고 최근 ‘한눈에 보는 세계 철학사’도 출간했다. 그는 학교 현장에서 철학수업이 힘든 이유를 크게 두 가지로 꼽았다.
“하나는 단순 주입‧암기식으로 공부하기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교과서 내용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아무런 맥락 없이 개념이 제시되고 개별 철학들을 분절적으로 설명해 교사 도움 없이는 이해가 힘들어요. 고교생들도 쉽게 읽을 수 있는 철학책을 써보자는 생각이었습니다.”
실제 책은 철학 공부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쓰였다. 비결은 제자들에게 감수를 맡긴 것이었다. 7명의 학생들은 원고를 꼼꼼하게 읽고 어려운 부분을 조목조목 지적해줬고 허 교사는 계속해서 고치고 다듬었다. 또 함께 글을 읽은 학생들의 질문과 허 교사의 설명도 실어 부족한 부분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감수에 참여했던 전예림(가천대 2학년) 양은 “질문을 만들기 위해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피다 보니 생각을 많이 하게 됐고 대학 진학에도 도움이 됐다”며 “철학시험 문제가 전 국민의 관심사가 되는 프랑스 대입시험 바칼로레아처럼 우리나라도 철학을 멀리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관심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학생들의 눈높이에서 설명한 점도 주목된다. 예를 들어 플라톤의 이데아를 설명하면서 서태지의 ‘교실이데아’가 교실이 지닌 본질적 의미를 찾고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교실을 꿈꾸는 노래라는 설명을 곁들인다든지, 새로운 개념을 설명하기 전 앞선 개념을 다시 환기시켜주는 세심함도 눈에 띈다.
그는 철학은 어려운 학문, 특별한 사람들이 하는 것으로 오해하는 대중들의 시선을 안타까워했다.
“철학은 특수한 학문이 아닙니다. ‘왜’라는 단순한 질문에서 시작돼요. 이를테면 ‘우리는 왜 사는가’와 같은 거요. 이런 질문을 하면 우리나라 학생들은 대답을 잘 못합니다. 자신의 삶에 대해 한 번도 진지하게 고민할 시간이 없었던 거죠.”
허 교사는 “어릴 때부터 철학적 사고를 길러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교육당국과 관리자들의 관심을 촉구했다. 그는 “철학은 삶의 비밀을 파헤치는 매력적인 학문”이라며 “더 많은 학생들이 삶의 참된 의미를 깨달을 수 있도록 저변확대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