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우리 모두 철저한 관리를

2005.10.18 14:07:00


항상 한교닷컴과 함께 생활하다보니 한국교육신문의 기사도 샅샅이 보게 된다. 그런데 오늘 "교실서 학생 시력손상, 교사책임" 이란 제하의 기사를 본 리포터는 안타까움을 금할 길 없었다.

기사의 내용은 중학교에서 수업종료 직전 쉬는 시간에 모 학생이 반 친구가 던진 찰흙으로 수정체의 손상을 가져와 백내장으로까지 진행되었고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뒤에도 시력이 회복되지 않자 학부모가 해당 교육청을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 내어 교사가 주의의무를 다하지 못한 책임이 인정된다는 판결을 받은 것이었다.

전국적으로 보면 많은 학생들이 있는데 그 중의 학생 한 명이 시력이 손상된 것에 대하여 그다지 관심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한 급우의 무절제한 행동으로 인하여 피해학생이 평생 안고가야 할 짐을 생각해 보라. 학생과 그 가족의 슬픔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리포터가 이 기사에 관심을 가진 것은 바로 오늘 조퇴를 하여 종합병원 안과에 다녀왔기 때문이다. 사실 1년 전부터 매달 안과 정기검진을 받고 있으며 오늘 컴퓨터 촬영을 비롯한 세 가지 굵직한 검사를 받았다. 종합병원 안과 진료실 앞은 대기할 때 앉을 의자가 없을 정도로 붐볐고 유아들로부터 학생, 청년, 중년, 노년에 이르기까지 그 연령층도 다양하였다. 시력에 이상이 생긴 것을 알고 5년 전부터 안과를 찾았으나 생활하는데 별 지장이 없어 적극적인 진료에 임하지 않은 것이 지금은 무척 후회가 된다.

리포터의 처지가 이렇다 보니 반 아이들의 눈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게 된다. 가장 관심을 갖게 되는 시기는 매년 학기 초 시력검사를 할 때이다. 이 때 눈의 중요성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교육을 한다. 아이들은 저마다 자신의 눈의 건강이 수치로 나타나는 것에 대하여 매우 민감한 반응을 나타낸다.

시력이 0.4이하이면 가정통신을 하게 되는데 이 시기를 통하여 부모님들께서도 아이들의 시력이 나쁜 것을 발견하게 되는 경우가 더러 있다.

교실에서 아이들 눈의 건강을 위해 특히 신경을 써야할 부분은 햇빛이 강하게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시간은 반드시 커튼을 드리워 눈이 부시지 않게 한다거나 교실이 어둡게 느껴질 경우 신속하게 불을 켜는 일, 책을 읽을 때 눈과 너무 가까이 하지 않도록 주의시키는 것, 가정에서 너무 오랜시간 게임하지 않도록 주의를 주는 일, 눈을 상하죄우로 움직이며 안구운동을 자주 시켜주는 일, 실눈을 뜨거나 얼굴을 찡그리며 사물을 바라보는 아이들이 있는지 유심히 살펴보는 일이다.
‘우리 몸이 1000냥이면 눈은 900냥’이란 속담이 있다. 눈이 얼마나 소중한지 단적으로 나타내 주는 말이다. 또한 신체의 오감 가운데 80%를 차지하는 것도 눈이며 성서에도 ‘눈은 몸의 등불’ 이라고 하였다.

히브리말로 눈은 ‘아인’인데 ‘아인’이라는 말은 샘, 원천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이는 모든 것이 보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소중한 눈을 잘 관리함은 물론 학생들에게 다른 사람의 눈도 소중히 여겨 눈을 손상케 하는 위험한 장난은 하지 않도록 늘 생활지도에 힘써야 함은 우리교사의 책임이다.

다음은 모 신문이 안과의사의 도움을 받아 ‘자녀들의 눈의 상태를 점검하는 법’을 실은 것이 있어 옮겨 본다.

●자녀들이 부모들과 눈을 잘 맞추지 못한다.
●눈을 과도하게 찡그리고 사물을 본다.
●고개를 옆으로 기울이거나 얼굴을 옆으로 돌려 사물을 본다.
●TV나 책을 너무 가까이서 본다.
●한쪽 눈을 가리면 잘 보지만 다른 눈을 가리면 잘 보지 못한다.
●눈의 정렬이 바르지 못하다(사시가 있으면 눈의 정렬이 바르지 못함)
●이유를 알 수없는 두통을 호소한다.
●자주 눈을 비비거나 깜빡거린다.
●걷다가 이유 없이 잘 넘어진다.
이은실 가능초등학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