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픈 졸업식' 과 그 대안(代案)

2007.02.10 12:05:00

요즘 각급 학교의 졸업 시즌이다. '슬픈 졸업식'을 보았다. 독자들은 '아하, 헤어짐에 아쉬워 우는 학생들이 많았구나! 옛날 졸업식 모습이 아직도 남아 있나?'하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그게 아니다. 눈물을 글썽이며 훌쩍거리는 학생은 졸업생 답사할 때 맨 앞줄에 있는 딱 한 명 정도였다.

먼저 학교의 반성이다. 졸업식을 축제로 승화시켜 즐거움과 기쁨 속에서 새출발을 다짐하게 해야 하는데 아이디어, 기획력 면에서 그러하지 못했다. 학사보고, 각종 시상, 축사, 회고사, 송사와 답사, 졸업가와 교가 제창 등 과거 내용을 답습했다. 졸업생 한 명 한 명을 주인공으로 만들었어야 하는데 아이디어가 빈약했다. 기껏한 것이 현수막에 도입한 "졸업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출발" 정도가 고작이었다. 교감과 교장의 혁신적인 마인드가 아쉬운 순간이다.

교육력의 부재다. 졸업식날 강당을 제외한 타 건물 출입구가 봉쇄되었다. 졸업생들이 마지막으로 학교를 떠나면서 학교 기물 파괴를 우려한 조치였다. 아예 교실을 들어가지 못하게 하였다. 추억의 교실을 둘러 볼 수 없게 한 것이다. 밀가루 뿌리기는 사전 압수 조치로 어느 정도 성과는 거두었지만 졸업생들이 학교에 대해 가지는 부정적인 생각을 하면 교육의 실패가 아닌가 한다.


존경과 지도력의 실종이다. 졸업생과 담임, 학부모가 함께 축하와 감사 그리고 헤어짐의 아쉬움을 나누고 새출발을 다짐하는 자리가 되었어야 하는데, 졸업식 후 담임들이 졸업생들의 밀가루 세례를 피하기 위해 교무실로 피신을 하였다면 믿을 사람 있을까? 물론 인식의 차이도 있다. 학생들은 밀가루 뿌리기를 축하의 의미로 여기지만 선생님들은 퇴폐로 여기기 때문이다. 일부 선생님은 그것을 학생들이 행하는 보복(?)으로 여겨 학생들의 접근이 두려운 것이다.

교정의 스프레이 낙서는 교육 염증 내지는 혐오감을 주는 일대 충격이었다. 그 학생은 장난으로 하였는지 모르지만 기성세대로부터 배운 것은 아닌지? 그래서 본(本)이 중요한 것이다. 어찌보면 그 학생에게 있어 학교는 가기 싫은 지옥(?)이 아니었을까? 선생님은 꼴보기 싫은 존재이고.

이쯤되고 보니 교감의 인내력도 한계에 달했나 보다. 졸업식의 흐름을 처음부터 끝까지 지켜보자니 기대와는 많이 어긋난다. 기대 수준이 높았는지도 모른다. 스프레이 낙서를 보니 '이건 아닌데?'이다. 학년부장에게 한 마디 건넨다. 하지 말아야 할 말을 하고 말았다. 그것이 마음의 상처를 주고 말았다.

"○○○부장님, 교문 앞의 낙서 보았어요? 빨리 그 학생을 찾아 학부모에게 연락하고 조치를 취하세요. 선생님들이 학생들을 두려워하여 몸을 피하는데 교외 생활지도라고요? 바깥에서 그들을 맞닥뜨리면 어떻게 하려고요?"

교감 스스로 건드리지 말아야 할 선생님의 자존심을 건드리고 말았다. 감추고 싶은 치부를 드러내고 만 것이다. 어찌보면 선생님에게 한 말이 아니라 못난 교감을 스스로 꾸짖는 말이었다. 이렇게까지 만든 대통령과 교육부와 우리 사회와 세태에 대한 울부짖음이었다. 학교 현장에서의 무기력과 몸부림에 지친 아우성인지도 모른다. '슬픈 졸업식'이 되고 말았다.

그렇다면 대안은 없을까? 물론 있다. 교감과 교장의 학교 교육 마인드에 있어 대대적인 변화다. 과거의 좋은 것은 답습하되 구태의연한 것은 과감히 버리는 용단이 필요하다. 졸업식도 앞서가는 학교를 본받아야 한다. 과거의 졸업식 순 다 생략하고 졸업생 특기발표, 졸업장 개인 수여하면서 덕담나누기, 그 장면 생중계하면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학창시절 추억사진, 좌우명, 하고 싶은 말 방영 그리고 축하 공연 등. 졸업생 모두를 주인공으로 만들면서 추억을 공유하면서 미래로 나가게 하는 졸업식, 가능하다고 본다.

교육력의 강화다. 아니다. 우선 교육의 불씨를 살려냐 한다. 학교에서 교육이 사라지게 해서는 안 된다. 대통령의 구국 차원에서의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고 학교, 학부모, 지역사회가 힘을 합쳐 학교를 살리는데 혼신의 힘을 다해야 한다. 교권을 살려야 한다. 학교는 학교 나름대로 자구책을 강구해야 한다. 학생들은 배우는 기쁨을 맛보고 선생님들은 가르치는 보람을 느껴야 한다. 국가 차원에서, 교육청 차원에서, 학교 차원에서 현재의 산적한 문제점을 하나하나 해결해 나가야 한다. 

선생님의 소명(所命)의식과 사명감이다. 교육부가 앞장서 아무리 교단을 흔들어대도, 교육을 모르는 사회가 교단과 선생님을 싸잡아 욕을 해대도 '존경받는 스승'이라면 그것을 무위로 만들지 않을까? '스승의 그림자도 밟지 않는다'는 차원이 아니라 교사의 말 한마디, 행동 하나하나가 사표(師表)가 된다면 우리 사회의 분위기도 바꿀 수 있다고 본다.

끝으로 교사와 학생과 학부모의 일심동체이다. 삼위일체가 되어 공감대를 형성하고 목표를 향해 함께 나갈 때 교육은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로따로 움직이는 것은 교육 효율성 측면에서도 제로다. 교사와 학생과 학부모가 희망과 꿈, 사랑으로 함께 어우러질 때 교육은 살아나는 것은 아닐까? 우리가 하기에 따라 얼마든지 '즐거운 졸업식'을 만들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