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치집을 옮겨야 할 것인가?

2007.04.22 21:17:00


'저 까치집을 옮기면 까치도 이사할까?'
'까치도 집 옮기는 것을 좋아할까?'
'플라타너스도 까치집 옮기는 것을 좋아할까?'

운동 삼아 아파트 인근의 일월(日月)저수지 공원을 자주 찾는다. 공원 근처 플라타너스 다섯 그루에 까치집이 5개가 있다. 한 그루에 까치집 하나씩 있으면 보기에도 좋으련만 그렇지 못하다. 한 그루에만 무려 4개, 또 한 그루에 1개, 나머지 세 그루에는 까치집이 없다.

까치는 왜 한 쪽 나무에만 치우쳐 집을 지었을까? 그 나무가 집짓기, 살림살이, 새끼치기 등 여러 조건이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누가 그렇게 하라고 시킨 것도 아니다. 생존과 생육 조건이 맞는 나무를 찾다보니 그렇게 된 것이다. 그게 그들의 본성이다.

나무 입장이 되어본다. 까치집이 많은 나무는 버거울까? 까치집이 없는 나무는 억울하거나 소외감이 들지 않을까? 버겁지도 않고 억울하지도 않다. 운명 또는 숙명으로 받아들이며 그대로 순응하지 않을까? 4개의 까치집이 있는 나무는 까치의 집짓기와 생육 조건에 맞으니까 그렇게 된 것이다.

플라타너스라고 다 똑같은 것은 아니다. 수령을 비롯해 나무 모양, 크기, 굵기, 높이, 전망, 옆 나무와의 간격, 나뭇가지 상태, 영양 상태, 병충해 상태, 뿌리를 박고 있는 토양, 뿌리의 활동력, 광합성 작용, 성장 속도 등 같은 것이 하나도 없다.

그런데 인간은 이 플라타너스가 다 똑같은 줄 안다. 착각에 빠져 있는 것이다. 그래서 다섯 그루의 나무에 까치집을 하나씩 옮겨 놓으려 한다. 4개의 까치집이 있는 나무는 너무 많다고 하여 3개를 빼앗아 없는 나무에 주려 한다. 그게 ‘균형’이라고 한다. ‘국가균형발전’과 ‘복지’라는 미명 아래 버젓이 이루어진다.

까치가 좋아하는지, 나무에게 진정 도움이 되는지 생각하지 않는다. 나무 하나에 하나의 까치집을 올려놓는 것을 ‘복지’라고 생각하고 있다. 오로지 인간 중심이다. 까치와 나무 입장은 생각하지 않고 있다. 인간이 보기에 다섯 나무에 까치집이 각각 하나씩인 것이 그럴 듯하다. 평등, 불균형 해소, 골고루 잘 살기, 복지라는 용어를 들이대니 얼핏 맞는 것 같다. 그러나 그게 아니다. 분명 잘못된 것이다.

참여정부의 ‘국가균형발전’ ‘복지’라는 개념과 잘못된 출발을 지적하는 것이다. 각 지역마다 여건이 다르다. 그 여건에 맞게 발전하는 것이 순리다. 한 쪽의 자연적인 발전을 인위적으로 막고 다른 한 쪽을 억지로 끌어올리려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잘 사는 사람을 미워하고 가진 자의 것을 빼앗아 못 사는 사람에게 나누어 주는 것은 ‘다함께 못살기’에 다름 아니다.

못 사는 사람에게 국가에서 돈 몇 푼 보태어 준다고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다. 당장 입에 풀칠하는데는 요긴하지만 근로 의욕을 꺾고 자립을 더욱 어렵게 하는 나쁜 정책인 것이다. 임시땜방 정책이지 그들을 진정으로 위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에게는 자활능력이 중요한 것이다.

낙후 지역과 못 사는 사람을 외면하라는 것이 아니다. 낙후지역은 그 지역 나름대로 여건을 살리면 되는 것이다. 더욱 발전해야 할 지역을 ‘균형 발전’이라는 억지 논리로 성장을 가로막아서는 아니되는 것이다. 발전할 곳은 더욱 발전시키고, 잘 사는 사람은 더욱 잘 살게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교육도 마찬가지다. 공부 못 하는 학생은 못 하는대로, 잘 하는 학생은 잘 하는대로 더욱 잘 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골고루 모두 공부 잘하게 하기, 이론적으로 그것보다 좋은 것은 없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은 것이다. 달리기 잘 하는 학생에게, 못 하는 학생이 쫒아 올 때까지 기다리라고 잠시 멈추라고 해서는 아니되는 것이다. 수월성 교육을 강조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이 글로벌 지도자의 마인드인 것이다.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