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는 학교 구성원만의 것이 아니다

2007.05.31 13:41:00


5월 30일 대전에서 의미있는 일이 있었다. 그것은 대전광역시(시장 박성효)와 대전광역시교육청(교육감 김신호)이 의기투합하여 「공용복지회관 건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것이다.

이를 보도한 지방신문들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서구 기성중학교(대전에서 비교적 외곽에 위치한 3학급 소규모 학교임) 교정에 2009년 상반기까지 67억 원을 투입해 수영장과 체육관, 세미나실 등 문화·체육시설을 갖춘 지하 1층, 지상 3층, 연 건축면적 3,300㎡ 규모의 공용복지회관을 건립한다는 내용이다. 이것은 기존 학교시설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는 양질의 수업이, 주민들에게는 문화·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학교시설복합화' 사업이 대전시에서도 첫 추진된다는 의미는 적지 않다.

이러한 것은 기존의 학교가 단순히 학생들을 가르치는 배움터로서 기능하기 보다는 도서관이나 생활체육시설, 보육시설을 임대형 민자사업(BTL)으로 설치하는 학교시설복합화 사업을 비롯해 학교체육시설 개방과 담장 허물기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물론 과거에 학교가 전혀 그러한 기능을 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일례를 들어보면, 지금은 많이 퇴색했지만 필자가 살았던 시골 초등학교에서 봄, 가을 운동회는 아이들만의 잔치가 아닌 마을 어르신들 모두가 모이는 동네 대동제였다. 이제 더 나아가 학교는 교육기관으로써의 역할뿐 아니라 지역민들의 여가 활용 및 자기계발에 이르기까지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열린 공간'의 기능을 수행토록 함으로써 학교를 지역사회의 구심체를 육성해야 한다. 더 나아가 저소득층이 몰려있는 취약지구나 사회적 양극화로 인해 사회보장을 덜 받는 지역에 학교시설복합화로 인한 혜택은 주민들을 한층 기쁘게 할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좋은 취지로 추진한 일들이 면밀한 검토와 사후관리가 적절히 되지 않아서 운영에 적잖은 문제가 도출(2007.4.24. 송고한 '꿈돌이 공부방' 운영 미숙의 아쉬움’같은 사례)되기도 한다. 한마디로 말하면 외형적 하드웨어(건물, 시설 등)는 구축되었으나 운영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재정지원, 인력배치 등)는 마련되지 않아 운영이 파행적으로 흐르는 것이다.

현재 각급 학교의 예산상황과 인력배치를 들여다보면 학교에서 인력이나 재정을 추가로 투자하여 공부방이나 지역도서관 등을 운영한다는 것은 여러모로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이것을 해결할 방법은 없을까?

자치단체는 수백억 원이 넘는 재정을 투자하여 도서관이나 체육관을 짓는 것 보다는 수억 원 규모로 기존 학교에 필요한 시설을 배치하였으므로 기존 투자액 대비 남는 비용으로 인력지원과 운영비 지원을 하는 것이 보다 현명할 것이다. 학교 또한 학생들에게 양질의 교육을 할 수 있는 시설 인프라를 외부재원을 유치하여 해결했으므로 그에 상응하는 시설 개방과 자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역사회에 환원하고 더불어 즐기는 공동시설로서 학교를 내놔야 하는 것이 서로간에 win-win 전략이 될 것이다. 아울러 학교라는 공동기관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격조있는 의식이 필요하다. 아무리 좋은 취지로 시설개방을 해도 그것을 이용하는 시민의식이 따라가지 못하면 관리자들은 꺼리기 때문이다.
백장현 교육행정공무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