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에 한 번씩 시사 잡지책을 보고 있는데 전북대 신방과 강준만 교수가 기고한 글을 읽다보니 교육계에 시사한 바가 있어서 몇 자 소개하고자 한다.
주요내용을 보면,
미국 미래학자 존 나이스비트가 <메가트렌드>(1982)라는 책으로 유명해지자, 사람들은 그에게 “나는 당신이 책에서 말한 것들을 대부분 이미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당신은 그 모든 조각들을 한데 모아 정리해주었지요”라고 말하곤 했다. 칭찬 같으면서도 듣기에 따라선 폄훼의 의미도 담겨 있는 평가였다.
그러나 나이스비트는 <마인드 세트>(2006)라는 책에서 그런 평가에 대해 “‘익은 과일 따기’는 내가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최고의 찬사다”라며 “문제는 무엇을 따서 어디에 놓을까 하는 것이다”고 여유를 보였다. 사람들이 이미 알고 있던 것들을 연관 지어 하나의 커다란 그림으로 엮어내는 게 중요하다는 것이다. ‘익은 과일 따기’라는 재치 있는 표현을 접하면서 새삼 ‘암묵지’라는 단어를 등장시키고 있다.
暗黙知는 눈에 보이지 않고 귀에 들리지 않는 지식을 말한다. 즉, 기가 막힌 음식 맛을 볼 때 말로 가르칠 수 없는 특유의 손맛이라고나 할까. 이와 반대로 明示知가 있다. 이는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일반적인 지식을 말한다.
이 암묵지와 명시지 단어를 보면서 얼마 전에 있었던 씁쓸한 일이 생각났다. 필자는 지금 지역교육청에서 혁심기획업무를 하고 있는데 하는 일 중의 하나가 통합디지털시스템 업무가 있다. 이것은 일하는 방식을 혁신하기 위해서 기존의 수작업으로 했던 업무, 자기 자신만의 노하우만으로 여겼던 업무, 여러 가지 흩어졌던 업무들을 한데모아 체계화하는 커다란 시스템을 말한다. 이렇게 하여 체계화된다면 전임자가 했던 일들에 대해 업무흐름도라든가 그가 축적했던 업무노하우 등을 지식 체계화하여 후임자에게 그대로 전수할 수 있다. 일하는 방식에 있어서 혁명적인 변화가 다가올 수 있다.
이러한 일 중의 하나가 자기가 하는 일의 성과를 내기 위해 계량화하는 작업이 있는데 전국 시도교육청에서 모두 추진하고 있다. 민간 기업에서는 일부 추진한 적이 있으나 공무원 집단에서 추진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공무원들이 하는 업무는 계량화하기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무원 개인이 하는 일들을 정량화, 수치화할 수 있도록 지표산식을 만드는 작업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
교육부에서도 이런 시스템을 개발하도록 경쟁을 붙이고 있는데 선의의 경쟁이라면 나무랄게 없다. 하지만 16개 시도교육청이 서로 업무를 공유하며 노하우를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체제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다.
내가 가진 노하우가 새어 나가 다른 교육청이 우리보다 앞설까봐 정보를 절대 공유하지 않는다. 모든 자료를 기밀취급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선의의 경쟁이 아니다. 누구에게 알려 달라고 해도 알려주는 이가 없으니 그 시행착오는 어찌한단 말인가. 시스템의 목적이 자기 자신만의 업무체계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국민에게 다가가는 행정서비스를 위해 일하는 방식을 바꾸는 것에 있는데 말이다.
비슷한 경우가 정치에도 있다.
현행헌법은 대통령의 재임과 연임을 금지하고 있다. 대통령은 한 번 밖에 못한다. 대통령을 한 번 해보지 않았다가 처음 해보니 수많은 시행착오가 생긴다. 이때 전임자들이 만들어 놓은 '대통령 매뉴얼' 같은 것이 있으면 후임자들은 얼마나 좋을까마는 지금까지 청와대를 보면 전혀 그러지 아니하다. 청와대 입성하면 서둘러 전임자의 체취를 지우느라 정신없다. 더욱이 업무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다 보니 수많은 예산낭비와 전임자가 그간 쌓아놓은 업무 노하우는 신기루처럼 사라질 수밖에 없다. 연계성이 없어지는 것이다.
교육현장은 안 그런가. 남을 가르치거나 행정업무를 하는 일은 적정한 경험과 안목이 쌓여야만 이루어지는 고도의 기술이다. 제 아무리 머리가 좋아도 하루아침에 이룰 수 없다. 어떤 좋은 책에서도 금방 익힐 수 없는 암묵적 지식이 산재해 있는 것이다. 그러한 지식들을 후임자에게 잘 전달해 주는 것이 교장, 원로교사, 퇴직예정 행정직 전임자들이 해야 하는 의무다.
물론 동료장학이라든지, 후배들에게 맨터링을 해준다든지 하는 기법들이 있긴 하지만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비록 후임자가 전달받은 지식을 마뜩치 않게 생각할 지라도 본인이 겪어온 일들을 알려줄 필요성은 있다. 그 일이 실패하고 실수했던 일이라 부끄러워도 미리 알려줘야 또 다른 시행착오를 후임자가 덜 겪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퇴임하는 교장선생님, 원로교사, 정년퇴직 행정직원들은 자기가 30여 년 넘게 몸받친 조직에 대해 암묵지 뿐만 아니라 명시지까지 흔적을 남겨놓는 일들이 아름다운 전통으로 남았으면 한다. 퇴임할 때 사무실에 있는 난 화분 하나 챙겨가기 보다는 재임기간의 업무를 회고록 형태라도 남겨놓고 떠나는 아름다운 모습을 보고 싶다.
백장현 교육행정공무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