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높은 자리에 선생님을 앉히기 위해서는

2008.01.03 10:25:00

지난 11월 10일 잠실체육관에서 열린 전국교육자대회에서 이명박 당선자는 ‘가장 높은 자리에 선생님을 앉히겠다’고 했다. 자신이 미국에 갔을 때 대통령이 참석하는 행사였는데 가장 높은 자라에 시골학교의 교장 선생님이 앉아 있었다는 일화를 소개하면서 한 이야기이다.

교원의 지위가 바닥에 떨어져 있는 우리 교육 현실에 비추어 본다면 부럽기 그지없는 이야기다. 선생님을 가장 높은 자리에 앉히는 것이 사회적으로 합의된 내용이 아닐지라도 대통령 당선자가 이런 인식을 갖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매우 반길 일이다. 사실 우리 선생님들은 높은 자리를 앉혀지기를 고대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교육의 주체자로서 교육 활동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은 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0년 동안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지나치게 확대 해석하여 교육의 중심에 서지 못하고 말았다. 선생님들에게 중요한 것은 교육의 중심축으로서의 사명과 역할을 되찾아 주는 일이다.

교육은 국가의 동량을 길러내는 일로 무엇보다도 중요한 일이다. 옛날부터 한 집안이나 국가를 일으켜 세우기 위해서는 교육만한 것이 없다고 하지 않은가. 교육은 국가의 중장기 발전 전략상 매우 중요한 사업이며, 그런 의미에서 교사의 역할에 거는 기대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흘러나오는 얘기 속에는 ‘가장 높은 자리에 선생님을 앉히겠다’는 당선자의 의중과는 거리가 있어 안타깝다. 교원의 역량 강화나 교권회복을 위한 청사진은 보이지 않고 불안하게도 교육부 해체 또는 폐지 소식만 들려오고 있을 뿐이다. 이런저런 소식을 들으면서 과거 10년의 일이 떠올라 은근히 걱정이 된다. 10년 동안 교육현상에서 ‘잃어버린 것은 교권이요, 얻은 것은 지나친 간섭’인 것 같다.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의 ‘교원 때리기’는 급기야는 학생에 의한 ‘교사폭행’까지 야기하는 상황에 이르고 말았다. 상식으로는 감히 상상할 수 없는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 때에 ‘가장 높은 자리에 선생님을 앉히겠다’는 당선자의 인식은 참으로 존경할만하다. 가르치는 선생님을 존경하는 풍토를 만드는 것이야말로 바닥에 떨어진 교육을 바로 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며칠 전 나주에서 발생한 학생에 의한 교사 폭행 사건을 보면서 더욱 그런 생각이 들었다.

물론 여기에도 전제조건이 있을 것이다. 우리 선생님들이 소명의식을 가지고 가르치는 일에 열정을 바쳐야 할 것이다. 학원 강사들은 살아남기 위해서 피나는 노력을 한다고 한다. 보다 더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서 많은 준비를 한다고 한다. 물론 우리 선생님들도 그런 노력을 한다. 그러나 여전히 학원 맛을 들인 학생들은 학교의 선생님을 미덥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하니 걱정이다. 더욱 많은 노력과 열정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학원보다 못하는 강의 기법, 교육 시설로는 우리는 사랑하는 제자들의 눈과 귀를 모으지 못할 것이다.

최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교육인적자원부 폐지 또는 해체 논의를 보면서 교육 현장에 제대로 접근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 정권 교체기마다 교육부가 축소 또는 확대되면서 갖게 되는 정체성의 혼란은 우리 교육을 마구 흔들어 놓고 말았다. 대통령 당선자의 인식대로 교원을 가장 높은 자리에 두기 위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교원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고, 실추된 교권을 회복하기 위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아울러 교육력을 극대화하기 하기 위한 학교 현장의 지원 방안에 대한 논의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은 국가의 백년지대계이다. 교육인적자원부의 방만함을 시정하는 것은 좋으나, 여전히 ‘교육’은 투자가치가 높은 국가의 전략사업이며 미래의 국운을 좌우할 만큼 중요한 일이다. 정말 가장 높은 자리에 선생님을 앉히기 위해서 무엇을 먼저 해야 할 것인가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아야 한다.
송일섭 (수필가, 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