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보도를 통해 잘 알려진 것처럼. 2010년부터 전국의 모든 고등학교에서 영어교과의 수업이 영어로 진행될 것이고, 영어 이외의 과목도 '영어몰입교육'방침에 따라 당장은 아니지만 영어로 수업을 진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의 양극화 해소를 위해 농어촌 지역의 고등학교에서는 연내에 이런 방안이 시범실시되고, 이명박 당선인이 공약으로 내걸었던 '기숙형공립고'와 '자율형사립고'에서도 영어몰입교육이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는 궁극적으로 전국민이 고등학교만 나와도 영어로 의사소통을 자유롭게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영어몰입교육이 필요하다고 한다. 또한 '기러기아빠', '펭귄아빠'등으로 불리는 이 시대의 이산가족을 더이상 국가에서 보고 있을 수만은 없기에 영어몰입교육을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 사교육이 더 든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이대로 주저앉아 지금대로 할 수 없다'고 단호한 입장을 견지했다고 한다.
결국 영어교사들의 능력을 높이고 새로운 영어교사 양성을 통해 가능하게 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영어교사만 양성하고 재교육한다고 영어몰입교육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궁극적으로 영어 이외의 과목도 영어몰입교육을 실시하려면 해당교사들의 영어능력도 배가시켜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고는 실효를 거두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날 발표된 내용을 보면 교사들의 영어구사능력을 배가시키기 위한 재원확보방안은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다. 영어교사의 교육만을 위해서도 엄청난 재원이 필요할 것이다. 여기에 장기적으로 기타과목의 교사들까지 교육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재원확보가 필수적이다. 더우기 당장에 많은 교사들을 한꺼번에 교육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영어만을 위한 사교육이 이제는 영어와 영어로 수업하는 교과까지 확대되어야 할 판이다.
인수위원회는 영어교육을 위한 사교육비를 연간 15조원 정도로 추산하면서 이 비용의 몇분의 1만 투자해도 훨씬 더 가슴펴고 살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영어교육에 들어가는 사교육비를 공교육으로 흡수하겠다는 이야기다. 이론적으로는 어느정도 맞는 논리이다. 그러나 현실과 딱 맞아 떨어질 수 있을지 의문이다. 기러기아빠나 펭귄아빠가 양산되고 있는 것이 영어 때문이었는가. 물론 기러기아빠나 펭귄아빠 양산에 영어가 일조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근본적인 문제는 우리나라의 교육정책을 부정하기 때문이다. 일관성없이 추진되는 정책으로 인해 어쩔수 없는 선택을 하고 있는 것이다. 전적으로 영어때문만은 아니다. 교육여건때문에 조기유학을 떠나는 것이다. 현재의 상태에서는 교육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더 중요한 것 아닌가.
기러기아빠와 펭귄아빠를 전면에 내세워서 영어몰입교육을 시도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공교육의 질이 떨어져서 영어교육이 필요하다면 취지에 맞게 실시해야 옳다. 우선은 여건조성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충 예측하여 우선 실시하고 보자는 식으로 정책을 추진하는 일은 절대로 없어야 한다. 오는 1월 30일에 구체적으로 '영어 공교육 완성 프로젝트 실천방안'을 놓고 공청회를 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여기에서 공청회의 본래취지대로 여러 의견을 들어 주길 바란다. 형식적인 공청회가 되어서는 안된다.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여 다양하게 검토하고 현실적인 방안을 내놓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