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교과는 물론 향후에는 모든 교과에서 영어로 수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안이 발표되면서 교사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전부를 영어로 수업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못갖추고의 문제가 아니다. 영어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겨우 이런 방안인가에 대한 우려때문이다. 더우기 영어교과뿐 아니라 나머지 교과도 영어로 수업을 해야 한다는 발상에 대해 당혹스러워 하는 것이다.
학교만 가면 모두 영어로 수업을 한다면 우리나라의 정통성을 살리는 교육이 가능한가에 대한 우려가 앞선다. 더우기 영어를 잘 못하는 일반교과교사들의 경우는 연수차원에서 영어공부를 한다고 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학생들과 함께 영어능력신장을 위해 '사교육'을 받아야 할 판이다. 국가의 시책이 그렇다면 따라야 하는 것이 국가공무원이라고 본다면 당연히 영어공부를 위한 사교육을 받아야 할 것이다. 교사가 사교육을 받아야 하는 현실이 너무나도 안타까울 따름이다.
요즈음에는 조기유학이나 해외 어학연수를 다녀온 학생들이 상당히 많다. 교사들 중에는 영어구사능력을 어느정도 갖춘 경우도 있겠지만 그렇지 못한 교사들도 있을 것이다. 그나마 어설프게 영어를 구사하는 교사들의 경우, 수업시간에 해외에서 귀국한 학생들보다 도리어 영어구사능력이 떨어진다면 어떤일이 발생하겠는가. 쉽게 예측하기 어려운 일들이 발생할 것이다. 교사들에게 충분히 준비할 시간을 주지 않고 갑작스럽게 모든 교사가 영어로 수업해야 한다는 논리는 앞,뒤가 맞지 않는다.
물론 교사들의 영어구사 능력으로 교사의 능력을 평가한다면 어쩔 수 없이 영어능력을 키우기 위해 노력해야 하겠지만, 만일 영어가 잘안되는 교사는 교단을 떠나라고 한다면 국가에서 책임져야 할일을 교사들에게 뒤집어 쒸우는 격이라는 생각이다. 즉 현재의 교사들은 모든 교과에서 영어로 수업한다는 전제조건이 없는 상태에서 교직에 들어왔다. 그런데 갑작스럽게 영어로 수업을 해야하고 능력이 안되면 교단을 떠나라고 한다면 국가에서 계약을 어기는 것이 되는 것이다. 처음부터 그런조건이 있었다면 당연히 교직에 들어오기전부터 철저한 준비를 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영어교육의 중요성에는 백번 옳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런 방법이 과연 옳은 방법인가이다. 영어 못하는 학생들은 대체로 다른 과목도 부진한 것이 현실인데, 영어좀 해보려고 학원다니는데, 이제는 영어때문에 다른과목도 해당과목공부를 위해서가 아니고, 오로지 영어수업을 알아듣기 위해 학원에 다녀야 할 판이다. 당연히 사교육이 증가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인수위측에서는 크게 염려하지 않는 모양이다. 일부의 학생들은 희생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닌지, 마음이 무겁다. 많은 네티즌들이 사교육비증가를 우려하고 있다. 이것이 이번의 영어교육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이다.
도리어 영어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영어교과의 수업시수를 늘리고 현실적인 영어수업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 학교마다 영어수업을 제대로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영어교사를 늘리고, 영어시간만이라도 급당 인원을 조정하여 수업을 진행해야 한다. 현재와 같이 날로 악화되는 교육여건에서 무조건 영어로 수업을 진행한다고 해서 영어구사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제반여건의 조성이 우선이다. 교사들에게만 강요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은 아닐 것이다.
조금더 깊이 생각한 후에 제대로 된 영어교육활성화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최소한 교사들이 사교육을 받으러 다니는 일은 발생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영어만 잘하면 누구나 영어교사가 될 수 있다는 발상도 접어야 한다. 논술잘하면 모두 국어교사 할 수 있고, 달리기만 잘하면 체육교사 될 수 있는 것이 아니지 않은가. 수학문제 잘 푼다고 무조건 수학교사 할수 있는가. 좀더 공청회 등을 통해 학교현장의 실태를 파악하고 다양한 의견을 따르기를 당부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