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글쓰기의 탯줄

2009.01.16 16:59:00

칼럼은 신문의 꽃이다. 칼럼을 쓰는 사람은 세상 밖으로 나올 수 있는 필력과 이름이 있어야 한다. 글도 세상의 어둠을 걷어내는 힘이 있어야 한다. 그런데 그만한 자리에 있지도 않은 내가 지역 신문에 칼럼을 오래 썼다. 이런저런 이유로 거절했지만, 쉽지가 않았다.

할 수 없이 글을 쓰기 시작했다. 늘 글을 쓰는 습관대로 일상에서의 경험을 소재로 독자를 만났다. 계절의 변화를 이야기하고, 아주 사소한 일상을 소재로 글을 만든다. 텔레비전을 보면서 느낀 이야기도 쓰고, 아파트 마당에 서 있는 나무의 생김새도 글의 소재가 된다. 길을 걷는 노부부를 보고 삶을 이야기하고 인생을 돌아본다.

신문이라 독자의 반응도 빠르다. 어떤 글은 제법 뜨거운 관심을 받기도 한다. 글의 내용이 공감이 되고, 따뜻함이 느껴진다고 말한다. 잔잔한 글에 삶의 성실함이 묻어 있다고 말해주는 사람도 있다. 어떤 사람은 내 글의 긍정성으로 인해 구부러진 삶이 펴지고 둥그렇게 변했다고 좋아했다.

그런데 최근에 제법 무서운 독자를 만났다. 그는 나에게 독설을 퍼 부었다. 우선 나의 글이 밋밋하기 그지없단다. 나의 칼럼은 지극히 개인적인 울타리에서 나오지 못하고 있다고 말한다. 나에게 보수인지 진보인지 묻기도 한다. 그리고 우파인지 좌파인지 글 속에 분명한 색깔을 밝히라고 한다. 이어서 그는 세상을 향해서 펜을 휘두르라는 주문을 하면서 격분을 했다. 세상의 모순과 지도층의 부패상을 낱낱이 지적하라고 한다. 그리고 국가 정책과 사회 현상에 대해서도 시시비비(是是非非)하는 것이 진정한 논객이라는 충고를 남겼다.

전자우편을 받고 무시하려고 했다. 익명성에 숨어서 던지는 비방처럼 생각했다. 그런데 이번 글은 엄격히 말하면 비방이 아니었다. 예의가 없는 것도 아니었다. 오히려 논리도 제법 단단했다. 그래서 무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 부담이 마치 풋감 먹고 얹힌 것처럼 명치끝에 매달려 있다.

내 글이 밋밋하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 한참을 고민했지만, 분명한 것이라고는 나의 글이 일상의 울타리에 있다는 것뿐이다.

사실 이런 비슷한 이야기는 이미 주변에서도 자주 들었다. 다시 말해서 나는 줄곧 일상을 소재로 글을 쓴다. 사람들은 일상의 탈출을 꿈꾸기도 하지만, 그것도 잠시이다. 누구나 일상으로 돌아와야 안정을 찾는다. 일상은 삶의 근간이 되고, 내 존재의 가치를 느끼는 순간이다. 나는 일상에서 갈등을 느끼고 그것을 극복하면서 삶의 의미를 발견한다. 그러다보니 일상은 생명의 힘이 들어 있다. 때론 힘겹고 고단하지만 평화스러움이 있고 그 온화함이 있어 한없이 따뜻하다. 일상은 삶의 기반이자, 행복의 원천이다.

일상을 다루면 글이 가볍고 사회 현상을 다루면 좋은 글이라는 일방적인 주장에는 동의할 수 없다. 오히려 즐거움과 괴로움이 팽팽하게 찬 일상을 표현하는 빈곤한 언어가 아쉬울 뿐이다. 더욱 지금 쏟아지는 칼럼은 균형을 상실한 채 허위와 거짓의 행로를 활보하고 있다. 진보니 보수니 하는 문제도 자기들만의 논리에 빠져 있다. 세상을 둘로 나누고 싸우자는 꼴 뿐이 안 된다. 거기에 말을 섞어봐야 적을 만드는 것이고 그 적과 싸우기 위해 억지 논리만 생산하게 된다.

또 우리나라 사람은 지게꾼 셋만 모여도 정치 이야기를 하는 것처럼 우리 신문에는 정치 이야기가 넘치고 있다. 정치가뿐만 아니라 기자, 교수, 기업인까지 정치 이야기를 한다. 이 와중에 나란 위인까지 거들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더욱 세상을 보는 혜안도 없고, 남을 비판할 능력도 힘도 없는 내가 마뜩찮게 소리 질러봐야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중국 여행 때 경험이다. 관광코스가 자금성, 만리장성으로 진행될 때 중국의 거대함을 보았다. 대륙의 위대함이라고나 할까. 그런데 밤에 호텔을 나서서 뒷골목을 갔다. 처마에 새끼 돼지고기가 줄줄이 걸려 있는 중국의 모습이 보였다. 좁은 문틈으로는 찌든 생활이 보였다. 높은 산에서 내려다보면 세상은 넓고 크게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겉모습만 보게 되는 것인 줄도 모른다. 내려와서 보면 세상을 가까이 볼 수 있고, 참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나는 글을 쓰면서 현학적인 놀림을 하지 않으려고 한다. 관념에 빠지는 수사는 글의 진실성을 의심하게 된다. 또한 내 인생 자체가 사회의 중심에 서지 못했는데 독자에게 글로 제압하고 군림하려 한다면 그 또한 모순이다. 허름한 일상에도 거대한 유물 못지않은 아름다움이 숨 쉬는 것처럼, 나는 낮은 곳에서 숨겨진 삶의 진실을 닦고자 한다.

독자 중에는 시대의 그늘에 갇혀 있는 글보다 곰삭은 일상이 숨 쉬는 글을 더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세상을 껴안은 따스한 글도 어둠을 몰아내는 눈부심이 있다. 나는 오직 여기에 매달릴 뿐이다. 복잡한 정치적 상황과 거대한 이념도 일상의 실타래로 푸는 글쓰기의 힘을 키우고 있다.
윤재열 초지고 수석교사,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