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 쏟아지는데 논쟁만 할 것인가

2009.04.06 10:56:00

“공교육 불신이 사교육의 주요한 원인이다. 학생도 학부모도 교사의 실력과 열의를 못 믿는다. 잘 가르치는 학원 강사를 찾는 데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다. 그럴 바에는 국가차원에서 최고의 강사를 구해 주자.”

며칠 전 <해럴드경제>에 실린 정덕상 온라인 뉴스부장의 주장이다. 많은 교사들은 사교육 팽창으로 공교육이 위기에 처했다고 보지만, 이분은 공교육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교육이 팽창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어찌 보면 작금의 사교육 팽창에는 공교육의 지원이 있었다는 논리이다. 또한 가르치는 일에 치열한 노력을 보이기보다는 이념 논쟁에 빠져 있는 교사들의 실력과 열정을 믿을 수 없다고 일갈한다. 어디 그뿐인가. 국가에서 스타 강사를 채용하여 “인강”(인터넷 강의의 준말)을 실시하자는 것이다. 언뜻 보면 교사들의 입장에서, 공교육의 중심에 서 있는 필자로서도 받아들일 수 없는 왜곡된 주장으로 보이지만, 조금만 깊게 생각해 보면 어쩌면 우리 교단 현실에 대한 따가운 질책이면서 신랄한 풍자라는 생각이 든다. 그는 또 이렇게 일침을 더하고 있다.

“학생들은 자기가 다닌 학교에서 3년 동안 공부해서 무엇을 얻을까를 고민하는데, 많은 교사들은 무엇을 가르칠 것을 고민하지 않은 채 빈손으로 출퇴근한다. 그런가 하면 잘 가르치는 교사에게 성과급을 차등해서 주겠다는데 곗돈타듯 돌아가면서 ABC등급 받자는 교사들에게 아이들을 맡길 수 없지 않은가.” 라고.

이 글을 읽은 교원들은 대부분 어이없는, 궤변에 가까운 질책이라고 받아들였는지 모르겠다. 그러나 일반 국민들은 자신들의 주장을 대변한 것으로 맞장구 쳤을 것을 생각하니 한없이 부끄럽고 두렵게 느껴졌다. 학교와 교육에 대한 학교 밖의 시선이 이렇게 매서운데, 지금 우리 교단 현실은 어떠한가. 며칠 전에는 ‘교과학습 진단평가’를 ‘일제고사’라고 폄하하고 비난하면서 시험을 보라느니 또는 시험을 거부하고 체험학습을 가자느니 하는 소모적 논쟁을 일삼지 않았는가. 학생들을 지도하면서 자기들 나름의 방식을 고집하면서 소통과 타협을 외면하면서 독단에 빠져 있지 않은가 생각해 볼일이다.

또한 그는 좋은 교사를 만나는 것을 운칠기삼(運七技三)의 고스톱 판에 비유하면서 그럴 바에는 차라리 스타급 강사를 동원하며 전국의 학생에게 인강(인터넷 강의)을 하자는 주장에서는 거의 압도당할 뻔했다. 얼마나 우리 교원을 신뢰하지 않으면 학교교육의, 또는 면대면 직접교수의 장점을 외면하고 저런 주장을 하고 있을까.

일반 국민의 시선이 이처럼 차가운데도 우리는 낡은 논쟁에 휘말려 옴싹달싹 못하고 살아온 세월이 너무나 길었다. 소통과 협력이 부족했고, 동료로서 공동체 의식 또한 너무 약화되었다. 동료나 상사의 잘못에 대해서도 살을 도려내는 내부 개혁으로 상처를 보듬어주고 격려하기보다는 천하에 드러내어 돌팔매질을 하게 한 일도 너무나 많았다. 편을 가르고 논쟁을 하는 데에 열중하는 동안 우리는 스스로 내부의 동력을 잃어버린 채 천하의 천덕꾸러기가 되어버렸다.

아이들에게 바른 삶 참된 가치를 말하면서도 주변의 억지와 궤변에 입을 다물지 못하고 있다. 학교만큼 외부의 간섭과 통제를 많이 받는 기관도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소통하면서 상생의 방안을 찾는 데에 더 많은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정덕상의 ‘학교 수업 인강 스타가 하면 안 되나’에 담긴 신랄한 풍자와 비판을 겸허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필자는 <해럴드 경제> 정덕상 부장의 글을 읽으면서 화가 많이 났다. 그러나 곱씹어 보면서 부끄러움이 밀물처럼 밀려왔다. 아마도 이 글을 읽은 교사라면 모두 내 마음과 같았을 것이다. 그러면서 학교와 교육에 대한 비난이 저리 들끓고 있는데도 쓸데없는 소모전에 빠져 있는 우리들 자신이 안쓰럽게 느껴졌다.

나는 한교닷컴을 통해 학원 강사의 강의에 대한 열정과 학생에 대한 배려를 벤치마킹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수강생이 없는 강의는 폐강되고 마는 것처럼 학생의 호응도가 낮은 수업은 폐강이나 다름없다. 고객의 감동하지 않은 상품은 소비자의 선택을 받지 못하는 것처럼, 학생의 눈과 귀를 모으지 못하는 수업은 죽은 수업이다. 이런 점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야 한다. 또한 교원들 서로 존중하는 풍토를 만들어야 한다. 자기 도그마에 빠져 잘난 척, 자기가 최고인 척하면서 구성원으로서 역할과 임무를 소홀히 할 때 갈등과 분열이 일어나게 된다.

학교 현장의 교원 갈등과 분열은 교육력을 약화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어쩌면 공교육의 불신은 구성원의 이합집산에서 비롯된 피할 수 없는 현상일지도 모른다. 학생과 학부모, 교사들 나름대로의 주장만 있을 뿐 이를 아우를 수 있는 공통의 아젠다가 없는 것이 안타깝다. 따라서 지금 우리는 한국의 교육의 방향성과 목표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선택이 있어야 하며, 아울러 교원의 상호존중을 통한 결속과 단결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해 본다.
송일섭 (수필가, 칼럼니스트)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 광고 문의: 042-824-9139(FAX : 042-824-9140 / E-mail: sigmund@tobeunicorn.kr)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여난실 | 편집인 : 여난실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