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길 걸어 성벽 위로-명암지에서 상당산성까지

2009.04.28 08:13:00

나뭇잎들이 초록세상을 만들면 자연 생태계가 모두 학습장이다. 이때쯤이면 들길이나 물길을 거닐며 버들피리(호디기)도 불어볼 수 있다. 낭만을 누리며 콧노래를 부르게 하는 아름다운 자연이 고맙다.


청주에서 가장 큰 저수지가 명암지다. 물위에 떠있는 오리 떼, 보트 위에서 즐거워하는 연인들, 물가에 우뚝 서있는 명암타워가 저수지의 풍경을 늘 한가롭게 만든다. 외곽지역이었던 이곳이 앞에 들어선 아파트의 그림자가 닿을 만큼 시내와 가까워졌다.

명암지부터 국립청주박물관, 우암어린이회관, 청주동물원으로 이어지는 명암로는 어린이들과 나들이 나온 차량들로 붐빈다. 그런데 청주 주변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옛길 상봉재가 명암지를 내려다보고 있는 것은 아는 사람이 적다. 상봉재는 청주에서 상당산성, 낭성, 미원, 보은지역을 연결하던 중요한 고갯길이다.


선인들의 발자취가 남아있는 옛길을 걸어보기에 좋은 계절이다. 주차장에서 바라보면 명암타워 뒤편으로 상봉재와 풍주사가 한눈에 들어온다. 명암타워 앞 동부우회도로의 횡단보도를 건너거나 명암지와 연결된 지하도로 나오면 풍주사 입구다. 사찰의 시멘트 길과 연결된 오른쪽 산길이 상봉재 초입인데 이곳에서 보는 명암지의 풍경이 아름답다.

대관령, 조령 등 옛길의 복원소식이 전해지며 상봉재를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산에 들어서면 꽃과 새들이 환한 웃음과 맑은 소리로 반긴다. 산길에서 반갑게 인사하는 사람이나 길잡이 역할을 하는 이정표도 만난다. 자녀와 동행하면 고갯길도 발걸음이 가볍다.

나뭇가지 사이로 보이던 우암어린이회관과 이정골방죽의 풍경이 사라지면 상당산성이 눈앞에 나타나는 낭떠러지 위에 선다. 바로 아래가 청주와 낭성을 잇는 터널공사 현장이다.


가까운 곳에 자연 암벽에 만든 조선시대의 송덕비가 있다. '병사 민지열, 병마우후 이의장, 병사 이삼△'의 마애선정비이다. 석벽에 새긴 글자나 그림이 마애, 백성을 어질게 다스린 기념비가 선정비라는 것을 알고 나면 형태만 알아볼 수 있는 마애선정비들이 청주의 옛길을 증명하는 증인이다.


선정비를 지나면 해발 380m에 위치한 상봉재 옹달샘을 만난다. 무심천 발원지 중 한곳으로 청주읍성, 상당산성, 낭성지역을 오가던 사람들이 목을 축이던 곳이다. 옛 사람들같이 여유를 누리며 만남에 의미를 둔 상봉(相逢)인지, 높은 봉우리를 뜻하는 상봉(上峯)인지를 생각한다.

바로 위에 있는 성황당을 지나면 상당산성과 것대산으로 갈라지는 갈림길이다. 시간이 허락하면 오른쪽 능선의 것대산까지 둘러보는 것도 좋다. 것대산의 봉화대는 나라의 위급한 상황을 한양으로 알리는 길목이었다. 날씨가 맑으면 봉수를 연결하던 청원군 문의면 소이산과 강내면 은적산, 음성군 삼성면의 망이산이 한눈에 들어온다. 패러글라이딩이나 사진촬영 마니아들이 즐겨 찾는 활공장이 바로 앞에 있다.


상봉 정상은 갈림길의 왼쪽 능선에 있다. 상당산성으로 가다보면 고갯길 위에서 출렁다리를 만난다. 우암산, 상당산성, 것대산을 이어주는 이 출렁다리가 또 다른 추억거리다. 출렁다리부터는 숲의 여러 가지 혜택을 직접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산림청에서 개방한 국민의 숲이다.


상당산성(사적 제212호)의 비상통로인 암문으로 들어서 성벽에 오르면 출발지였던 명암지 주변이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주말에는 공남문에서 장군복을 입고 추억을 남기는 행사를 무료로 진행하고 있다.

상당산성은 볼거리만큼이나 먹거리가 많다. 먹거리를 즐기며 산성에서 체육관으로 하루에 21회 운행하는 시내버스(문의전화 284-3351)를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요즘 드라마촬영지로 각광받고 있는 상당산성을 작년 10월 한국관광공사에서 '성벽 위에서 하늘을 만나는 여행지'로 소개했다.

곁두리로 보여줄 것도 많다. 우암산 순회도로를 드라이브하면 시내의 풍경과 3.1공원이 기다리고 있다. 어린이회관 옆에는 옛날에 사용하던 그릇들을 모아놓은 옹기박물관이 있다. 청주의 미소로 불리는 순치명석불입상(도지정유형문화재 제150호)은 김수녕 양궁장과 가까운 이정골방죽 입구에서 빙그레 웃고 있다.
변종만 상당초등학교 퇴직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