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라고 예외일 수 없나보다. 스승의 날이 코앞에 다가오면서 촌지문제를 다루는 기사들이 늘어났다. 대부분의 내용이 촌지 때문에 고심하는 학부모들에 관한 이야기다.
더불어 사는 것을 가르치는 게 교육이다. 그런데 촌지에는 더불어 사는 교육과 동떨어진 특권의식이 숨어있다. 학부모의 내 자식만 예쁘게 봐 달라는, 내 자식이 더 귀여움 받아야 한다는 개인욕심이 들어있다.
떳떳하게 주고받을 수 없으면 그 자체가 모순인데 아무리 좋은 뜻을 담으면 뭐하나? 학교교육을 망치는 암 덩어리가 촌지다. 참교육을 방해하는 훼방꾼도 촌지다. 그래서 촌지문제가 거론되면 교육계에 근무하는 사람들은 낯이 뜨겁다.
학부모나 교사나 촌지가 사라져 촌지문제로부터 자유로운 학교를 꿈꾼다. 그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촌지의 잘잘못을 따졌고, 정책입안자들이 내놓은 해결책도 무수히 많다. 귀가 따갑게 들어온 얘기이고, 어떤 것은 어느 시절의 정책이었는지 가물가물한데 2010년을 코앞에 둔 스승의 날 또 촌지문제가 거론되는 것을 지켜본다.
‘엄마들, 스트레스에 스승의 날 옮기자’는 기사를 머니투데이에서 봤다. 주부들 다섯에 한 명은 스승의 날 선물 때문에 자녀가 불이익을 받는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조사인원이 1793명이나 되는 설문에서 18%가 스승의 날 선물 때문에 자녀가 차별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는 내용과 함께 스승의 날을 아예 선물 부담이 없는 겨울방학으로 옮겨야 한다는 의견도 실려 있다.
시골학교에 근무하고 있어 도회지의 실상은 모른다. 하지만 내 주변에서는 그런 교사들을 볼 수 없어 ‘요즘이 어떤 세상인데 아이들이 차별받을까? 요즘이 어떤 세상인데 그런 교사가 있을까?’를 생각한다. 오히려 가족처럼 소외된 아이들을 일일이 챙기는 교사들은 여럿 알고 있다.
촌지문제로 시달림 당하는 학부모의 심정을 충분히 이해한다. 하지만 일부지역의 일들이 전체인양 침소봉대 되는 것을 여러 번 봐왔다. 그래서 이런 기사들이 학교교육 전체를 부정적으로 비쳐지게 할까, 촌지라는 말만 들어도 얼굴이 붉어지는 신임 교사들의 사기를 꺾지 않을까 걱정이 된다.
모순이 많은 세상이라지만 촌지 건네며 교육을 병들게 하는 학부모와 촌지 받고 동료들 얼굴에 먹칠하는 교사가 발붙이지 못하게 해야 한다. 그러려면 감추지 말고 솔직해야 한다. 작은 것도 떳떳하게 밝힐 수 있어야 한다. 잘못을 인정하는 게 먼저여야 발전한다.
주변 사람들의 얘기를 자신의 일처럼 부풀려 이야기하지 않았는가? 아이들이 전한 이야기에 감정상해 교사나 학부모를 원망하지 않았는가? 억지로 줘놓고는 나도 뜯겼다고 뒤에서 손가락질하지 않았는가? 촌지문제가 불거졌을 때 제식구 감싸기 하느라 쓸어 덮는데 급급하지는 않았는가?
교육계 자체의 자정능력이 부족했던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촌지는 음성적으로 이뤄지는 일이라 실체가 보이지 않는다거나 일부의 이야기이더라도 전체 교사가 책임져야 한다고 해도 할말은 없다. 다만 ‘교사 전체를 파렴치범으로 내모는 기사들이 교육을 어떤 방향으로 이끌었는가?’는 생각해봐야 한다. 해마다 찾아오는 스승의 날 때문에 교사들이 스트레스 받는 것도 알아야 한다.
시골학교까지 일률적으로 ‘우리학교는 촌지를 받지 않습니다.’가 적힌 안내장을 가정으로 보내고 프랭카드를 교문에 내걸었다. 어떤 선물이든 마음이 담겨있어야 감동을 준다. 우리 반 아이들에게 만든 사람의 정이 들어 있는 꽃 한 송이가 가장 소중하다며 종이꽃 외에는 일절 받지 않겠다고 선포(?)했다.
사회는 정으로 주는 작은 선물까지 매몰차게 거부할 것을 요구한다. 그런데 잘못하면 그게 또 갈등의 요인이 된다. 어린이날 선생님에게 선물 받은 만큼 자기도 선물을 줄 수 있게 해달라고 조르는 아이도 있다. 종이꽃에 사탕이나 초콜릿을 끼워오겠다는 아이도 있다.
스승의 날, 아이들에게나마 축하받는 날로 만들고 싶다. 아이들이 손수 만든 30개의 종이꽃을 가슴에 달고 환하게 웃고 싶다.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교육이 희망이다. 학교는 행복한 배움터다. 착한 우리 반 아이들 때문에 고민할 일이 생기더라도 30명을 골고루 사랑하는, 그래서 더 떳떳하고 당당한 교사로 거듭날 수 있는 다짐의 날로 만들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