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주변에서 많이 보는 문장이다.
○ 휴지를 버리지 말아라.
○ 절대로 포기하지 말아라.
○ 그렇게 불안해하지 말아라.
○ 자동차가 좋다고 해서 무조건 부자라고 생각하지는 말아라.
○ 컴맹이 되지 말아라. 인터넷에 도사들이 되어라. 그러나 섬기지는 말아라.
위 각 문장에서 마지막에 사용한 ‘말아라’는 보조동사 ‘말다’의 활용형이다. 이는 동사 뒤에서 ‘-지 말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하지 못하게 함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는 모두 표준어가 아니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결론부터 말하면, ‘말아라’는 ‘마라’가 맞는 말이다.
‘말다’라는 기본형의 어간 ‘말-’에 명령형 어미 ‘-아(라)’가 합쳐지는 경우 ‘말아라’가 아니라 ‘마라’가 된다. 어간 끝 받침 ‘ㄹ’은 ‘ㄷ, ㅈ, 아’ 앞에서 줄지 않는 게 원칙인데, 관용상 ‘ㄹ’이 줄어진 형태가 굳어져 쓰이는 것은 준대로 적는다(한글 맞춤법 제18항) 즉 ‘빌다’의 명령형 ‘빌어라’나 ‘놀다’의 명령형 ‘놀아라’는 ‘ㄹ’이 사라지지 않지만, ‘말다’의 경우는 ‘ㄹ’을 생략하고 ‘마라’로 써야 한다.
‘말아라’는 ‘마라’라고 하는 것처럼, ‘말아’도 ‘마’가 바른 표현이다. 이에 대한 이해는 아래 문장을 보면 쉽다.
○ 멋쟁이가 되려면 이렇게 입어라.
○ 멋쟁이가 되려면 이렇게 입어.
여기서 ‘입어라’와 ‘입어’는 반말로 설명이 가능하다. 반말은 대화하는 사람의 관계가 분명치 아니하거나 매우 친밀할 때 쓰는, 높이지도 낮추지도 아니하는 말로, 종결 어미 ‘-아(어)’, ‘-지’, ‘-군’, ‘-ㄴ걸’ 따위가 쓰인다. 즉 반말은 ‘마라’와 ‘입어’ 에서 보듯이 종결 어미 ‘-아/어’로 실현된다. 다시 말해서 ‘입어라’에 대응하는 것이 ‘마라’가 되고, ‘입어’에 대응하는 것이 ‘마’다.
한편 위 ‘마라’는 자신의 앞에 있는 구체적인 주체에 대한 명령을 하는 표현이다. 이를 직접 명령이라고 한다. 국어에서 글을 쓰면서 불특정 다수를 주체로 상정하여 어떤 행동을 촉구하는 명령형일 경우에는 간접 명령의 표현을 사용한다. 따라서 ‘마라’는 직접 명령문에 쓰고, 간접 명령에 쓰는 표현은 다르게 실현된다.
직접 명령과 간접 명령의 차이는 어미로 실현한다. 직접 명령형 어미는 ‘-아/어(라)’이고 간접 명령형 어미는 ‘-(으)라’이다. 따라서 ‘말-’의 간접 명령은 ‘말’과 ‘-라’가 결합하여 ‘말라’가 된다.
○ 선생님께서 절대로 포기하지 말라고 말씀하셨다.
○ 면접관께서 그렇게 불안해하지 말라고 말씀하셨다.
위의 예는 직접 얼굴을 맞대고 있거나 구체적인 행동이나 생각의 주체를 직접 가리키지 않는 화법이다. 이는 인쇄 매체나 기타 간접적인 방법으로 글을 읽는 이들 모두를 향해 어떤 행동이나 생각의 변화를 촉구하는 경우이다. 이는 ‘더 이상 돈의 노예가 되어 살지 말라.’나 ‘공부를 못한다고 차별하지 말라.’와 같이 간접 명령 형태 ‘말라’를 사용한다.
다시 정리를 하면,
○ 밥을 급하게 먹지 마라(말아라X).
○그를 너무 좋아하지 마(말아X).
○ 선생님께서 교실에서는 떠들지 말라고 말씀하셨다
하지만 다음의 경우는 다르다.
○ 결혼 해? 말아?
○ 김장 해? 말아?
○ 화학적 거세 해? 말아?
이 경우 ‘말아?’는 명령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이는 ‘어떤 일이나 행동을 하지 않거나 그만두다.’는 뜻이다. 따라서 이 경우 ‘말아’는 바른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