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새재 자전거 길'이 열렸어요

2011.12.18 21:00:00

새재 자전거 길이 열린다는 뉴스를 듣고 중학시절에 자전거통학을 하던 생각이 떠올랐다. 교통수단이 적었던 시절이라 자전거만 타고 다녀도 지금 자동차를 타고 다니는 것처럼 좋았었기 때문이다. 인천 서해갑문에서 부산 을숙도까지 702㎞의 자전거길이 뚫리는데 이를 세 구간으로 나누어 충주탄금대까지는 '남한강 자전거 길'로 이미 개통이 되었고 두 번째 구간인 '새재 자전거 길'은 충주 탄금대부터 상주 상풍 교까지로 11월 27일 탄금대에서 개통식을 가졌다.

상주에서 부산까지는 '낙동강 자전거 길'이 만들어져 개통을 앞두고 있어 자전거로 국토를 종단 할 수 있게 되었다. 새재 자전거 길은 100㎞ 구간으로 충주시, 괴산군, 문경시, 상주시를 통과하며 옛 과거 길을 연상하며 해발 374m 조령과 해발 548m이화령 등 높은 구간이 포함되어 있어 평지로 된 다른 구간과는 힘든 고개가 있다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구간 주변에는 신라 진흥왕 때 우륵이 가야금을 연주했다는 탄금대와 수안보온천, 수옥폭포, 문경온천, 영강 습지 등의 관광지와 문화유적이 있어 자전거 관광도로로 주목을 받을 것이다.

새재 길은 경치가 아름답지만 경사가 급한 이화령 고갯길에는 목재로 안전 펜스를 설치하였으며 분리대 등 각종 안전시설물과, 자전거 쉼터 18곳, 휴게소, 화장실 등이 마련되었다고 한다. 한강, 낙동강에 이어 금강 및 영산강 일대에 조성되는 자전거 길을 합치면 총연장 1천692㎞에 이른다고 하니 자전거로 전국을 여행할 수 있을 날이 멀지않은 것 같다. 길의 발달단계로 보면 도보생활을 하였던 좁은 길, 우마차가 다니던 농로 길, 그 다음이 자전거나 오토바이가 달리는 길이 만들어져야 하는데 신작로라고 하는 비포장 길을 자동차가 생기면서 모든 교통수단이 함께 이용하였던 시기가 있었다. 자동차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도로가 넓어지고 포장도로가 되면서 자전거 길은 뒷전으로 밀리고 말았다.

자전거의 이점(利點)은 너무 많은데 자전거로 통학이나 출퇴근을 하려고 해도 자동차가 위험하여 설자리를 잃고 말았다. 운동으로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 늘기 시작하고 지방자치단체에서 하천이나 농로 또는 제방위로 자전거 길을 만들어 운동으로 자전거를 타는 인구가 늘어나 인도를 자전거도로로 이용하거나 도로 가장자리에 자전거도로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4대강 개발을 하면서 자전거도로를 만들어 자전거 동호인들이 전국을 누비고 다닐 날도 멀지 않은 것 같다.

자전거는 공해가 없는 친환경 교통수단이면서 운동이 되어 별도로 운동을 하지 않아도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좋은 운동기구이다. 자전거의 가장 좋은 점은 연료가 들지 않는다는 점이다. 두 바퀴로 굴러가기 때문에 좁은 길도 갈 수 있고, 석유 한 방울 나지 않는 나라인 우리나라의 교통수단으로는 가장 경제적인 교통수단으로 인기가 높다. 이렇게 좋은 교통수단이 자전거길이 없어서 그 동안 활성화 되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다.

너무 편리함만을 좋아하다 보니 나 홀로 자동차를 몰고 가는 것은 연료낭비가 얼마나 많은가? 자전거는 폭이 좁기 때문에 주차 공간이 좁아도 되기 때문에 편리하다. 그러나 자전거도 불편한 점이 있다. 비나 눈이 오면 이용하기가 불편하고 야간에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추위를 막지 못하는 점, 두 바퀴로 굴러가기 때문에 위험성이 있다는 점이다.

자전거 교통이 활성화 되려면 자전거의 기능을 높일 수 있는 기술개발도 해야 하고 보조장치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자전거도로도 더욱 안전하게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며 자전거 도로를 중심으로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 등 아름다운 쉼터도 늘려서 단지 교통수단이 아닌 새로운 레저생활로 건강을 다지는 자전거문화를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다.

이찬재 (전)충주 달천초등학교 교장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