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집단괴롭힘 어떻게 해야 하나?

2012.01.06 00:12:00

어제 오늘의 이야기는 아니지만 청소년의 집단괴롭힘이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 약자에게 폭력을 가하고 괴롭히면서 즐기는 아이들의 심리적 요인은 무엇일까? 궁금하기만 하다. 인성이 어떻게 형성되었기에 친구를 괴롭혀서 자살에 까지 이르게 하는가? 이것은 인간성의 상실이요. 인륜도덕의 부재에 기인(起因)한다고 본다.

70년대 만 해도 아침에 학교운동장에 들어서면 운동장 가득하게 아이들이 서로 손잡고 뛰어 노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여자 어린이들은 주로 고무줄 놀이를 하였고 남자아이들은 공을 차거나 딱지치기, 구슬치기도 하고 서로 힘을 겨루며 땀흘려 뛰어놀던 모습이 교사시절 아름다운 추억으로 남아있다.

요즘의 아이들은 어떻게 학교 생활을 하는지 생각해 보면 운동선수가 아니면 아이들이 운동장에서 뛰어노는 모습을 보기 어렵게 되었다. 초등학교의 경우 2시간이 끝나면 중간놀이가 있어서 급우들과 놀이를 하며 즐거워하였고 점심식사 후에도 뛰어 놀고 방과 후에도 운동장에서 친구들과 놀이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귀가(歸家) 후에도 동네 골목길에서 아이들이 모여 술래잡기를 비롯한 또래 놀이를 즐기며 소리도 지르고 운동이 저절로 되었다. 아이들의 특성은 잠시도 가만히 있지 않고 움직이고 활동을 하며 성장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요즘 아이들의 생활을 자세히 살펴보면 친구들과 놀이를 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줄어 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걸어서 등하교를 하는 아이들이 줄었고, 학교에 들어서면 놀이보다는 공부에, 친구 보다는 컴퓨터와 더 가까이 시간을 보낸다. 방과후에는 몇군데의 학원을 다니느라 집에 돌아와도 골목길에서 친구들과 더불어 놀이할 기회가 거의 없는 것이 예전과 달라진 성장기의 아이들이다. 친구들과 놀이하는 대신 컴퓨터 앞에 앉아 게임을 즐긴다. 아이들 손에 스마트폰이 있으면 게임을 하는 기회는 더 늘어나게 마련이다.

이렇게 아이들이 자연속에서 놀이를 하며 성장해야 할 시기에 인성과는 거리가 먼 컴퓨터나 휴대폰으로 게임을 즐기며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폭력에 물들지는 않는지 가정에서는 부모가 학교에서는 선생님들이 관심을 가지고 보살펴주어야 할 것이다. 문명의 이기(利器)가 좋은 점만 있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여러 형제자매가 함께 자라던 예전과 달리 하나 둘의 자녀를 키우는 요즘은 아이들에 대한 지나친 기대감으로 부모의 욕심을 채우고 있는 사이에 인성교육은 소홀히 되고 있지 않는지 모르겠다.

아이들에게 친구의 소중함이나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성을 경험하지 못하는 것 같다. 나보다 약하거나 부족한 아이를 괴롭히는 언어폭력, 집단 따돌림, 신체적폭력을 흉내 내는 비행을 저지르는 학생이 어른들의 눈을 피해서 발생하는 것이다. 아동이 자라서 사회성의 발달과 함께 집단의식에 의한 집단행동의 요구가 강해져서 친구를 사귀고 자의(自意)에 의한 집단을 구성하게 된다.

대개의 경우 8∼9명 정도의 벗을 만들어 그들과 매우 긴밀한 사이가 되어 항상 행동을 같이하고 서로 감싸주며, 때로는 비밀인 공동재산이나 집합장소가 있기도 하고 은어(隱語)를 쓰기도 한다. 이 시기에는 주로 동성끼리 비슷한 연령층의 집단을 이루고 집단적인 놀이를 즐기게 된다. 집단은 일정한 리더십에 의하여 통제되고 연대의식과 결합성을 가지며 때로는 반사회적이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취하기도 한다. 지적 발달에 있어서 객관적인 견해가 생겨 심각한 비판을 하기도 한다. 이들을 권위나 억압으로 다루기 힘들게 되므로 민주적인 방식으로 지도를 해야 한다.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중학생 연령층에서 비행을 저지르거나 집단괴롭힘으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외형으로는 튼튼해 보여도 심신이 나약하고 인내심이 부족한 이들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청소년활동 등에 참여시켜 건전한 집단활동으로 이끌어주고 더불어 살아가는 인성교육에 힘써야 할 것이다.
이찬재 (전)충주 달천초등학교 교장 (수필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