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전에 게리 체프먼(Gary Chapman)의 <5가지 사랑의 언어>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다. 그 다섯 가지는 인정하는 말, 함께 하는 시간, 선물, 봉사, 육체적인 접촉이라고 밝히고 있다. 최근 사회가 각박해지면서 가정의 안정성이 크게 위축되고 있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특히 생활고와 불신으로 야기된 부부의 갈등과 파경은 당사자의 삶은 물론이고, 어린 자녀들의 삶까지 굴곡지게 한다는 점에서 심각한 사회문제이다.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게리 체프먼(Gary Chapman)의 제안처럼 다섯 가지 사랑의 언어를 적극 활용하여 서로 이해하고 보듬어 준다면 얼마나 좋을까.
최근 우리 교육현장도 생활고와 불신으로 상처를 입은 가정처럼 흔들리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지난 해 말, 대구와 광주에서 연속적으로 터져 나온 학교폭력 학생자살 사건은 우리 교육계를 블랙홀에 빠뜨리고 말았다. 오죽했으면 대통령까지 나서서 학교폭력 근절 방안 찾기에 정신이 없었겠는가. 며칠 전에는 한 중학교 여학생이 교사를 넘어뜨리고 손찌검까지 했다는 뉴스도 나왔다. 갈등과 불신으로 위축되어 가는 가정을 되살리는 게리 체프먼의 ‘다섯 가지 사랑의 언어’가 있는 것 처럼, 필자는 혼란과 갈등 속에 멍들어가는 우리 교육을 바꿀 수 있는 ‘다섯 가지 교육의 언어’가 무엇일까를 생각해 보았다. 필자는 그것을 다음의 다섯 가지로 생각해 보았다.
첫째, 교육은 받아들임이다. 교육은 아이들의 마음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아이들은 본능적으로 누군가에게 자신의 감정이나 느낌이 받아들여지기를 원한다. 이를 달리 말하면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몇 가지 잣대로 그들을 가르고 배제시키는 일을 하고 있다. 무엇을 잘 하거나 못한 사람, 착하거나 나쁜 사람 등으로. 우리는 이기적인 기준으로 가르면서 배제하지 않았는지 반성해 볼 일이다. 아이들을 현재 그대로 인정해 주고 받아들일 것을 제안하다.
둘째, 교육은 함께함이다. 아이들과 함께 하는 것, 달리 표현하면 ‘사제동행’과 같은 말이다. 우리들은 곧잘 아이들에게만 이것저것 하라 하면서 그들을 지켜보고 있는데 이것은 좋은 교육이 아니다. 아이들고 함께 청소도 하고, 책도 보고, 봉사활동도 해 보자.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은 풍경에 아이들은 당황하겠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아이들은 동류의식을 느끼면서 거대한 대열에 합류할 것이다. 선생님과 아이들이 함께 하는 것은 선현들이 강조했던 교학상장(敎學相長)을 가장 바르게 실천하는 방법이다.
셋째, 교육은 낮춤이다. 아이들의 눈으로 아이들을 보자는 것이다. 그들을 가르쳐서 일깨워야 할 대상으로만 보지 말고 그들의 생각을 이해하자는 것이다. 우리가 그들의 생각을 알아야 그들에 맞는 교육을 제대로 할 수 있는 것 아닌가. 기성세대의 기준과 가치를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교육은 가치 높은 인간교육이라고 할 수 없다. 아이들의 수준과 생각을 이해할 때, 가장 효과적인 교육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넷째, 교육은 어울림이다. 지금 우리 교육은 어울림이 없다. 나만 잘하면 그만이다. 우리가 강조했던 경쟁교육은 애초부터 어울림은 생각하지 않은 지극히 이기적인 발상이다. 우리가 사는 사회가 어울림의 사회이다. 그런데 교육이 소외를 양산하는 교육을 한다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뻔하지 않은가. 학교폭력과 왕따는 어울림이 부족한 교육이 빚어낸 결과이다. 경쟁 심리와 이기주의가 팽배하면서 차별의식이 강해졌다. 이는 곧 소외를 불러왔다. 이런 소외로부터 살아남기 위한 것이 폭력이요, 소외의 결과가 왕따 아닌가. 서로 색깔은 다르지만 어울리면서 자신의 역할을 찾게 만드는 것이 참된 교육이다. 최근 창의적 체험학습, 주5일제 토요프로그램의 상당수에는 ‘어울림’의 가치가 녹아 있다. 어울림을 통하여 동반 성장하게 하는 교육을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은 북돋움이다. 북돋움의 방법으로는 칭찬과 격려가 있다. 칭찬은 잘 한 일에 대한 북돋움이요. 격려는 잘못을 감싸주면서 더 잘하기를 바라는 또 다른 형태의 북돋움이다. 칭찬은 무한한 가능성에 도전하게 하지만, 꾸짖음은 생각의 싹, 행동의 싹을 잘라버린다. 따라서 꾸짖음 아무리 그럴듯하게 포장해도 적절한 교육 방법이 아니다. 아이들의 가슴 속에 싹트는 것을 끌어내는 유일한 방법이 칭찬이고 격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