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우리의 뇌리에서 잊힌 전염병이 자주 인구에 회자된다. 그것은 백일해가 우리나라 남쪽의 어디 학교에서 발병했다는 소식이다. 백일해는 유아 예방 접종할 때 빼고는 이름도 생소해서 인터넷을 한번 조회해 보았다. 그랬더니 백일해균의 전염으로 발병하는 유아의 호흡기 전염병의 하나로서, 1~2주간의 잠복기를 거치는데,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보이며 특유한 경련성 기침의 발작을 되풀이 하는 시기가 2~6주간 계속되며, 한번 걸리면 일생 면역이 되어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한다. 즉, 예방접종이 이루어지면 안심을 할 수 있다는 얘기다. 백일해뿐만 아니라 결핵, 말라리아, 기생충 등 예전에는 가끔씩 발병했던 질병들이 거의 잊히다 최근에 각광(?)을 받은 것은 무엇으로 설명해야 하는가.
필자는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는 논리 중 하나로 ‘위생의 역설’을 들고자 한다. 이것은 몇 해 전 영국 노팅엄대학 연구팀이 베트남 농촌 학생 15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십이지장충 같은 장내 기생충에 감염된 아이들한테는 천식이나 알레르기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약을 먹어 기생충을 박멸한 뒤엔 집먼지 진드기에 대한 알레르기 위험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결과에서 비롯된다. 즉, 통상 기생충은 우리 몸에 안 좋은 것으로 인식되기는 하지만 천식과 알레르기의 원인을 감소시키고 인체에 적절한 균형자 역할을 한 것이 아닌가 추측한다는 것이다.
한편 ‘위생의 역설’은 위생환경이 조금 떨어질 것이라고 여겨지는 농산어촌 보다는 대도시에서 천식이나 알레르기가 더 많은 것으로 증명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단지 가설에 불과해서 오히려 기생충을 없애면 천식과 알레르기가 줄어들었다는 다른 연구 결과도 있기는 하다. 말 그대로 가설이고 다양한 종속변수로 인하여 그 가설이 뒤집어 질 수 있기는 하지만.
어려운 전문적 학문 영역이고 문외한인지라 독립변수인지, 종속변수인지에 따른 다양한 결과물이라서 정확한 결론내리기가 어렵지만, 지나치게 완벽함을 추구하면 또 다른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웅변하는 사례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와 비슷한 것으로 ‘위생 가설’이란 것이 있는데, 우리 면역계가 강해지려면 외부 자극이 필요한데, 위생이 지나치다 보면 어린 시절에 감염의 기회가 지나치게 줄어들어 면역력 약화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필자는 시골에서 학창시절을 보내서 그런지 기본적인 예방접종 이외에는 사실상의 위생 개념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큰 병치레 없이 잘 지냈다. 다만 성인 이후에 잘못된 식생활로 인하여 성인병에 걸릴 확률이 다소 높아졌다는 것이 있긴 하지만 말이다.
그런데 요즘의 청소년들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상태를 보면 그렇지 않은 것 같다. 학교에서도 그렇고 보건당국에서도 보건을 강조하면서 손 씻기라든지 개인위생을 강조하면서 예방활동에 전념하는 것을 자주 보게 된다. 물론 당국의 그런 활동은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학부모와 학생의 건강 염려증과 결벽증 같은 지나치게 무균환경에 가까운 생활을 강조하다 보면 작은 병균의 침입에도 속수무책으로 무너지는 이율배반적인 현상은 무엇을 말하는지 한번 곰곰이 생각해 볼 문제가 아닌가 한다. 마음의 건강도 그렇지 않은가. 조그만 실패와 어려움에도 금방 굴복하고 포기하는 청소년들이 부쩍 늘어난 것을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교육도 그렇지 않은가 한다. 지나치게 경쟁위주로 교육을 하다보니까 가까운 경쟁자들은 재꼈으나 글로벌 시대에 맞게 다른 나라 인재들과의 경쟁에서는 맥없이 무너지는 사례도 있지 않은가. 너무 내 자식, 지엽적인 국내 환경에서만의 경쟁으로 내몰아서 외부 환경의 내성을 키워주지 않는 교육, 그것은 단기간에 속성으로 인재를 키울 수 있을망정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썩 바람직하지 않은 교육방식에 틀림없다. 때로는 거친 야생에서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교육, 어디서나 적응 가능하고 살아남을 수 있는 교육, 지식 융합적 교육, 그것이 최근 이름 모를 전염병이 창궐하는 시대가 교육계에 변화를 주기 위한 가르침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