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고 유능한 교장을 임용 함으로서 학교를 획기적으로 변화시켜 교육발전에 이바지하고자 도입한 것이 교장 공모제이다. 교장 자격증을 가진 경우(초빙형)와 그렇지 않은 경우(내부형), 전면 개방형으로 나누어져 있지만 교장 자격증을 가진 초빙형이 대부분이다. 지난해 영림중학교의 사례가 내부형 교장 공모제이다. 일반 교사들도 잘만하면 교장이 될 수 있는 길이 열렸지만 생각만큼 간단하지 않다.
교장공모제의 확대시행을 염두에 두고 교장 자격연수를 훨씬더 많이 시킨 때가 있었다. 자격증을 가진 인원이 많아지면 경쟁률이 높아져서 교장공모에 경쟁을 시킬 수 있어, 가장 유능한 교장을 임용할 수 있다는 계산이었다. 시행초기에는 이런 취지에 어느정도 부합하는 듯이 보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단독으로 공모에 지원하는 경우가 발생했고, 사전에 미리 정해진 후보를 뽑는다는 이야기가 들려왔다. 당해학교 교감이 공모에 지원하여 교장이 되는 웃지못할 일들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몇가지 개선책을 제시했지만 최종적으로 경쟁률을 높이는데에는 실패했다. 공모교장의 질을 높였는지도 명확하지 않다. 그 이유는 이미 정해놓은 상태에서 공모에 지원서를 제출하는 것 자체가 의미가 없었고, 시간이 지나면 승진을 할 수 있는 구조에서 굳이 힘든 공모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다는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취지야 어찌됐든 교장공모제는 교원들에게 외면당하는 골치아픈 문제를 안게 되었다.
최근 전남도교육청에서 1차공모에서 지원자를 채우지 못해, 2차공모까지 하게 된 것은 공모제 자체가 존폐의 위기에 몰렸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운영과정에서의 문제가 발생했다기 보다는 제도 자체의 문제가 더크다. 임용예정자가 이미 정해진 상황에서 들러리 서고 싶지 않다는 것, 공모교장으로 임용되어 교장으로 재직할 수 있는 기간을 늘리고자 하는 문제 등은 바로 처방이 되어야 할 문제이다.
학교를 발전시키기 위해 공모교장에 지원하는 경우보다는 개인적인 목표를 위해 지원하는 경우가 훨씬더 많다. 젊은 교감들이 공모교장에 지원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교장 임기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정년까지 교장을 하겠다는 것이다. 교장은 고사하고, 교감도 하지 못하고 교단을 떠나는 교사들이 엄청나게 많은데, 교장 임기 연장수단으로 공모교장에 지원한다면 교장 공모제의 당초 취지와는 거리가 멀어도 한참이나 멀다.
기본적으로 젊고 유능한 교장을 임용하여 학교별 특색을 살리고, 우수한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여 다른학교와 차별화된 학교를 만들고자 한 것이 교장공모제의 취지라고 볼 때, 수년동안 공모를 통해 교장을 임용한 학교들의 성과를 한번 따져볼 필요가 있다. 특별한 성과도 없었는데, 굳이 교장공모제를 고집할 필요가 없다.
학교의 질을 교장의 질과 연관시켜 판단하는 일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교원들에게 점차 외면당하고 있고 부작용이 심각한 교장공모제는 폐지되어야 한다. 공모교장이 되기 위해서는 금품이 오고 간다는 이야기도 들려온다. 이런 상황에서 공모교장이 과연 학교를 위해 어느정도의 역할을 할지 의구심이 생긴다. 공모제 교장이 있는 인근학교도 확실히 발전했거나 다른 학교와 차별화되지 않았다.
효과가 없거나 미미한 교장공모제는 당장에 폐지해야 한다. 당초의 취지를 잃었다면 제도 자체를 손질하여 새로 내놓기 보다는 제도 자체를 없애는 것이 옳은 방향이다. 제도가 폐지된다면 그 이후에는 교장연수를 더욱더 강화해야 한다. 교장은 누가 뭐라고 해도 단위학교의 최고 경영자이다. 이들에 대한 연수가 매우 중요한 이유이다. 공모서류가 모두 같아서 원본을 찾기 어려운 현실에서 교장공모제는 교육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지원자의 능력과 학교경영능력을 판단하기도 어렵다. 하루 빨리 폐지되어야 하는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