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은 안되고, 평가는 받아야 하고

2012.11.12 09:47:00

요즈음 우리학교는 교원평가 기간이다. 제일먼저 동료평가가 이루어졌고, 지금은 학생과 학부모 만족도가 진행되고 있다. 동료평가는 그런대로 잘 이루어졌지만 지금부터가 문제이다. 학생과 학부모에게 완전한 자율권을 부여하면 평가에 참여하는 비율은 많아야 20-30%정도이다. 만일 완전한 자율로 맡긴 상황에서 50%를 넘겼다면 그 학교는 학생과 학부모가 교원평가에 아주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학생 만족도 보다 더 참여율이 낮은 것이 학부모 만족도 조사이다. 학부모들은 정말로 학교교육에 참여한는 일부 학부모를 빼고는 평가에 참여하지 않는다. 설령 참가했다 하더라도 그 결과는 모두 학생들의 결과와 같다. 학교에서 자꾸 참여를 독려하니 그렇게 해서라도 참여하는 것이다. 가정통신문이나 SMS를 활용하여 홍보를 해도 참여율이 좀처럼 높아지지 않는다. 학교교육에 관심이 없기 때문은 아닐 것이다. 단지 참여 자체가 부담스럽고 왠지 참여하기가 좀 그렇기 때문이라고 한다. 학부모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중요하다 하겠다.

평가를 위해서는 수업공개를 해야 한다. 그래야 학부모들을 평가에 참여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평가에 참여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가 그 선생님을 잘 모르고 수업도 보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수업공개를 하지만 참여하는 학부모는 많지 않다. 수업을 보지 않고 평가에 참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뜻이다. 어떻게 보지도 않고 참여를 할 수 밖에 없는 제도를 만들어 놓고 강요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수업공개에 참여한 학부모들은 그래도 학교교육에 상당히 높은 관심을 갖는다고 보아야 한다. 그런데 공개수업이 교사들이 마음먹은대로 진행되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이다. '학생들이 수업공개라고 해도 열심히 참여하지 않습니다. 도리어 보통때보다 더 분위기가 안좋은 경우가 많아요. 학부모에게 수업 공개를 위해서 나름대로 준비도 했는데, 학생들이 따라와야 제대로 수업을 하지요. 교실 분위기가 이런데 겉만보고 평가할 학부모가 걱정입니다. 수업이 잘 안되는데 그 평가의 결과는 뻔 한 것 아닙니까.' 어느 교사의 하소연이다.

교사들은 수업시간에 아이들에게 욕설을 들어도 동료들끼리 서로 이야기를 잘 하지 않는다. 교사의 자존심이 구겨졌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어떻게 아이들에게 입에 담지 못할 욕설을 듣고 참아냈는지 자신이 대단하다고 생각할 뿐이다. 교권침해 사례를 조사해도 잘 나타나지 않는 이유가 바로 이런 것이다. 시대가 변했다고는 하지만 그 변화가 학생들에게 막말을 들으면서 수업을 하라는 것은 아닐 것이다.

서울교육감 선거 이야기도 간혹한다. 다른 정책에 대해서는 별다는 이야기를 하지 않는 교사들이지만, 학생인권조례에 따른 체벌금지와 교권추락에 관한 이야기는 자주 오르 내리는 주제이다. 이번 교육감은 교권을 확보해주고 학생인권조례를 개선할 수 있는 사람을 뽑겠다고 한다.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수업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정책이라면 동의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학생들이 책임도 함께 질 수 있는 방안이 나와야 한다는 것이다.

수업은 잘 안되고, 평가는 받아야 하고. 이게 무슨 평가란 말인가. 수업을 제대로 못하는 것은 교사의 책임이지만 제도적인 뒷받침이 안되는 것은 정책당국의 책임이다. 학교가 군대도 아니고, 수업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여건에서 좋은 수업을 하라고 하는 것은 강요일 뿐 교사가 전문성을 발휘하여 수업을 하기에는 너무나도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왜 학생들의 분위기를 잡지 못하는지 교사가 아닌 일반인들은 도무지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교사가 되어서 단 며칠 만이라도 수업을 직접 해보기 전에는 절대로 이해할 수 없다. 어떻게 설명을 할 수가 없다.

현재와 같이 모든 학생과 학부모가 평가에 참여하는 것은 개선의 여지가 있다. 평가에 참여할 수 있는 기본적인 요건을 갖춘 경우에 한해 평가를 하도록 해야 한다. 가령 학부모라면 수업공개를 1년에 몇회 이상 본 경우라든가, 학생은 급우들의 추천을 받는 학생들이 참여하도록 한다거나 하는 등의 뭔가 대책이 필요하다. 요즈음 마케팅을 위해 설문조사를 해달라는 메일을 받고 있다. 처음에 1,2번 정도 응답하면 자격이 없다고 다음에 참여해 달라는 메시지가 뜨는 경우들이 있다. 교원평가도 이렇게 해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음주를 안하는 사람에게 음주에 대한 설문을 한다면 정확한 통계가 나올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서울에 한번도 가보지 않는 사람에게 경복궁에서 가장 우수한 점과 가장 큰 단점을 지적하라고 하면 제대로 되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이기 때문에 경복궁을 평가하려면 최소한 경복궁에 한번이라도 가본 사람들을 대상으로 해야 하지 않는가. 무조건 참여를 강요하기 이전에 좀더 객관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의 개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맹목적으로 참여하는 평가가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그로 인해 교사들에게 상처를 주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한발 앞서 나가기 위한 제도적인 점검이 필요한 때가 아닌가 싶다.
이창희 서울상도중학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