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가 맞으면 진보, 교사가 때리면 폭행

2012.11.15 12:01:00

잠시 주춤해 보였던 학생들에 의한 교사 폭행이 도를 넘고 있다. 최근들어 또다시 교사가 폭행당하는 일이 하루가 멀다하고 발생하고 있다. 최소한 3년 전만 하더라도 교사가 학생에게 폭행을 당하면 큰 기삿거리가 되었었다. 있을 수 없는 일이 발생한 것에 대해 호기심 반 우려반으로 기사가 나갔었다. 그러나 이제는 교사가 폭행을 당하는 것은 더이상 세간의 관심을 끌만한 뉴스가 아니다. '또 그랬군'이라고 가볍게 넘겨 버리는 세상이 되었다.

이전에는 교사가 학생들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일에 대해 관심이 많았다. 법원은 누구의 손을 들어줄 것인가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았다. 폭력교사, 부적격교사에 대한 논란이 한참동안 이어졌다. 부적격 교사를 교원평가를 통해 퇴출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교사들이 반성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들려왔다. 교사들이 스스로 반성하는 기회를 갖기도 했었다.

그러나 지금은 다르다. 교사들은 학생인권조례에 묶여서 학생들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수업을 진행한다. 자칫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는 행동은 자제하고 있다. 학생의 행동이 아무리 마음에 들어도 말 한마디로 때우고 만다. 머리를 쓰다듬는 일은 최소한 앞으로 수년내에는 보기 어려울 것이다. 괜히 오해받기 싫기 때문이다. 이제는 친하게 지내는 학생들도 많지 않다. 교사가 오로지 수업하는 기계로 전락할 처지에 있는 것이다.

학생인권조례를 만든 사람들이 누구인가. 이른바 진보교육감들이다. 학생들이 맞아도 아무런 이야기가 없다. 그러다가 교사가 학생을 때렸다면 갑자기 해당교사는 물론 해당학교까지 진상조사를 한다고 난리가 난다. 교사가 맞았다고 하면 '무슨 이유가 있겠지'라고 하면서 쉽게 넘어간다. 대책을 세워야 할 시간에 인권타령만 하고 있다. 학생인권조례의 힘이 이렇게 강할 줄은 전혀 예측하지 못했다. 교육현장이 이렇게 변해 갈 것을 예측하지 못했다. 우리 교사들이 어리석었던 것일까.

교사가 맞는 것이 진보였던가. 학생인권조례가 교사를 맞도록 한 것이다. 학생체벌금지가 그 시발점이었다. 교사가 들을 수 있을 만큼 학생들이 교사에게 욕설을 하는 경우는 이제 아주 흔한 일이 되었다. '어차피 선생님들은 우리를 때리지 못하니까 아이들이 더 그러는 것 같아요. 말 안듣는 아이들, 수업방해하는 아이들 좀 때려 줬으면 좋겠어요.'

'선생님은 아이들이 떠들어도 왜 그냥 두는지 모르겠어요. 아이들이 말을 듣지 않고 떠들면 매로 때려서라도 분위기를 잡아 줬으면 좋겠어요.' 작년 교원평가에서 학생들이 어느 교사에게 제시한 의견이다. 학생들 중에서 이렇게 이야기하는 경우도 있지만 실제로 교사가 매를 한대라도 때리면 핸드폰으로 찍는다고 난리가 난다. 이런 분위기를 즐기는 학생들이 더 많다는 반증이다.

교사가 맞으면 당연시 하는 것이 진보교육인가. 교사가 학생을 체벌하면 교사 징계하기에 바쁜 것이 진보교육인가. 진보교육은 인권교육 뿐인가. 모두다 이해가 안간다. 앞으로 교육현장에서 여러가지 문제가 자꾸 발생하면 누가 책임질 것인가. 이미 떠나버린 그들이 책임 질 수 있을까. 절대 그런일은 생기지 않을 것이다. 그동안의 경우를 볼때 어느 누구도 책임지는 사람은 없었다. 앞으로도 계속 그렇게 갈 것이다.

모든 것을 다시 돌릴 수 없게 되었다. 진보교원단체는 교사가 맞아도 그 흔한 성명하나 발표하지 않고 있다. 진보는 학생이 교사를 때려도 되는가 묻고 싶다. 학생들과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공감대 형성해서 교사는 학생들의 이야기를 모두 들어주고, 이를 거부한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맞는 일이 계속해서 생겨도 되는 것인가. 같은 교사의 입장에서 도무지 이해하기 어렵다.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자꾸 떠들고 다른 행동을 한다. 수업시간에 일어나서 자기 볼일 본다고 돌아다니는 아이들이 요즘들어 부쩍 늘었다. 수업시간에 화장실 간다는 아이들도 많아졌다. 학생인권을 보호해야 하니, 제지하기도 어렵고 거절하기도 어렵다. 진보교육의 결과이다. 그래도 진보가 더 좋다고 따르는 교사들이 많다. 학생인권이 우선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교실 수업이 붕괴되는 것을 그대로 지켜 보면서 말이다.

특단의 대책을 촉구한다. 진보단체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해야 한다. 어떻게 되겠지 라는 식의 해결책은 대책이 될 수 없다. 교사가 맞고 학생들이 판치는 학교는 미래의 학교가 아니다. 진보, 보수 할 것 없이 학교교육을 바로잡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학생들에게 권리와 의무, 책임을 함께 부여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인권만 강조하는 풍토는 하루빨리 사라져야 한다. 권리에 따른 의무와 책임을 느끼도록 하는 교육이 가장 좋은 교육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이창희 서울상도중학교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