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보통 글쓰기만큼 글 읽기 또한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한다. 누구는 그럴 것이다. 글 읽기가 어렵다고? 물론 문해(文解) 수준의 단순한 글 읽기야 누군들 못하랴마는 글이라는 것에는 모름지기 그 글을 쓴 사람의 생각과 철학이 들어있기 마련이다. 깊은 속뜻을 파악하고 숨은 의도를 찾아내서 읽는 것 그것이 진정한 글 읽기가 아닌가 한다.
여기에서 한발 더 나아가서 를 소개할까 한다. 저자는 텔레비전을 포함한 여러 언론에 시사평론가로 출연해서 이름과 낯이 익은 인물이다. 특히 11년간 진행해 오던 문화방송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서 ‘뉴스 브리핑’ 코너를 진행하다가 석연치 않은 외압으로 하차한 바 있다. 이후에 <이슈 털어 주는 남자>라는 팟 캐스트를 운영해서 세간을 떠들썩하게 한 국무총리실 민간인 사찰 문제를 폭로하기도 하였다.
하여튼 세상을 다소 삐딱(?)하게 보는 사람인 시사평론가 김종배 씨가 지은 《누가 거짓말을 하고 있는가?》는 무덤덤하게 언론을 볼 것이 아니라 곱씹어 가면서 세간에 숨은 뜻을 찾아내면서 주체적으로 세상을 볼 것을 권하고 있다.
책의 구성은 크게 세 부분이다.
1부는 뉴스 제대로 읽기이며, 뉴스를 어떻게 읽은 것인가, 합리적 의심을 할 것, 판단 착오의 문제 등을 다루고 있고, 그 외 몇 가지 사례를 들어가며 설명하고 있다. 필자는 이 책 1부 28쪽에서 뉴스는 객관적인 현실세계가 아니라 취사선택된 현실세계이며, 구성된 현실세계이자 해석된 현실세계라고 말한다. 언론에 나와 있는 기사는 어쨌든 간에 그 기사를 작성한 기자와 데스크에 의해 자기의 생각을 표현한 것이기에 정확한 사실관계나 논점 등은 내가 잘 발라낸 생선의 고기처럼 취사선택해서 먹어야 한다는 말이다.
2부는 뉴스를 둘러싼 것들인데 이 부분은 뉴스의 의미를 찾아내는 방법은 사건과의 관계가 부적절하게 맺어졌는지를 살펴야 하는 것이다. 내재적 방법(뉴스 속 조각 사실 간 관계)과 외재적 방법(뉴스와 사건 간 관계)이 있다. 이 방법을 쓰려면 합리적 의심과 정치적 의심을 할 것을 필자는 제안하고 있다. 즉, 행간의 의미를 진지하게 파헤치는 것이다. 뉴스는 있는 사실을 그대로 전달하는 게 아니라 입맛에 맞는 사실만을 전해 사람들을 어느 한 방향으로 끌고 가려는 언론의 의도를 가려내야 한다.
마지막으로 3부는 논리적인 글쓰기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필자는 논리적 글쓰기는 제 나름의 관점을 세운 뒤 그 범위 안에서 글감을 배치함으로써 자신의 주장을 직접적으로 드러낸다고 말하고 있다. 즉 글감과 글감 사이의 부적절한 관계, 내용과 표현 사이의 부적절한 관계를 피하고 긴밀한 관계에 놓이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논리적인 글을 쓰기 위해서 관점 설정, 전제 설정, 결론 도출, 소주장 배열, 문장 배열, 표현 조율의 순서를 거치도록 조언하고 있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다. 그러기에 종과 횡으로 그물처럼 엮인 인적 관계에서 벗어날 수 없다. 그 인적 관계를 연결해 주는 매개체 중 중요한 하나가 말과 글이다. 이것은 사람의 생각을 담아서 보여주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중요한 말과 글을 치밀한 구조와 논리를 가지고 행하기는 쉽지 않다. 우리는 통상 최하 9년 내지 12년의 학창생활을 보내지만 그렇게 보내고서도 조리 있게 말하고 주체적인 글 읽기를 하기는 쉽지 않다. 전문적인 훈련이 부족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겠지만 이 책을 통해서 그나마 어느 정도의 교정과 길잡이는 가능하지 않을까 한다. 일독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