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현황과 과제

2013.09.04 09:38:00


2013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현황

여성가족부는 교육부와 함께 학령전환기(초4·중1·고1) 청소년 170만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13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전수진단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5월 ~ 6월에 전국 11,774개 초·중·고등학교, 초등 4년 475천명, 중등 1년 599천명, 고등 1년 646천명 등 총 170만여 명을 대상으로 여성가족부→교육(지원)청→각급학교(교육부 협조)의 채널을 통하여 담임교사 지도하에 K-척도 진단지를 활용, 자기진단 실시(OMR카드 활용) 하였다. 본 조사는 중독 청소년의 발굴 및 치유를 목적으로 교육부 및 각급 학교의 협조를 통해 시행하였다.

이번 조사 결과 인터넷 중독 위험군 10만5천여 명 중 위험사용군은 11,240명, 주의사용군은 93,912명으로 나타나, ‘12년 결과에 비해 위험사용군(16,714명)은 감소하였으나, 주의사용군(51,330명)은 증가하였다. 학년별로는 초등 4학년이 18,605명, 중1 학생은 43,346명, 고1 학생은 43,201명이 위험군으로 조사되었다.

스마트폰의 급격한 보급 확산에 따라 올해 처음으로 전수진단을 실시한 스마트폰 중독의 경우 위험군 24만여명 중 위험사용군이 39,049명, 주의사용군이 201,200명이며, 초4·중1·고1 학생이 각각 10,372명, 102,602명, 127,275명으로 조사되었다.

위험군은 인터넷·스마트폰 위험사용군 및 주의사용군을 통칭한다. 위험사용군은 인터넷·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장애를 보이면서 내성 및 금단 현상이 나타난다. 주의사용군은 위험사용군에 비해 경미한 수준이지만, 일상생활에서 장애를 보이며 사용시간이 늘어나고 집착을 하게 된다.

인터넷 중독 위험정도별 교육 및 상담·치료서비스 제공

인터넷 중독 위험정도별 교육 및 상담․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인터넷 중독 문제만 있는 청소년에게는 청소년상담지원센터에서 직접 개인상담을 지원(위험사용자군 대상)하고, 학교별로 찾아가는 집단상담을 지원한다(주의사용자군 대상).

인터넷 중독 이외 공존질환을 보유한 청소년(인터넷 중독이외 기타 우울증, ADHD(주의력 결핍장애) 등 어려움이 있는 청소년)에게는 종합심리검사 지원, 치료협력병원 연계 및 치료비를 지원한다(치료비 지원 : 일반계층 : 최대 30만원, 저소득 계층 : 최대 50만원까지 지원). 병원치료 종료 이후에도 3개월간 청소년상담사 등 연계를 통한 사후관리 등 전문적 사례 관리를 지원한다.

여성가족부는 진단 결과 확인된 인터넷 중독 위험군 청소년에 대해서 보호자 동의를 받아 전국 인터넷 중독 대응 지역협력망(인터넷 중독 대응 지역 협력망: 198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179개 치료협력병원 연계)을 통해 상담·치료, 기숙특화프로그램 등 중독 치유·해소 서비스를 지원한다.

위험사용군에 대해서는 ADHD·우울증과 같은 공존질환 보유 여부를 조사하여 공존질환이 없는 경우 개별 상담을 제공하고, 공존질환을 보유한 경우에는 병원 치료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의료기관 치료비 지원으로 일반계층 최대 30만원, 저소득층 최대 50만원까지를 지원한다.

조사 결과 예년에 비해 대상자 수가 크게 늘어난 주의사용자군에 대해서는 학교별로 찾아가는 집단상담을 실시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 인터넷 중독 치유 지원을 담당하는 17개 시·도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 인터넷 중독 전담 상담사 34명을 7월중 추가 배치하여 전문적이고 시의적절한 치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인터넷과 차단된 환경에서 치유가 필요한 경우 인터넷치유학교, 가족치유캠프 등 기숙특화프로그램을 통해 상담·치료와 대안활동을 결합한 치유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인터넷 치유학교는 11박12일, 중고생 대상 기숙치료학교에서 7~9월, 총 22회 실시하며, 가족치유캠프는 2박3일, 초등생 대상 가족캠프는 7~10월, 총 9회 실시한다. 치유특화 프로그램 참가 문의는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홈페이지 www.kyci.or.kr, 02-2250-3105, 3106)이다.

인터넷 중독 기숙치료학교 '인터넷치유학교' 는 1기당 11박 12일 프로그램 총 24회(1분기 2회 실시, 3분기 22회 예정)에 걸쳐, 중학생 이상 인터넷(게임) 중독 고위험군 청소년 (1기당 25명)을 대상으로 참여 및 프로그램 비용 무료, 식비 등 일부 자부담을 통하여 전문의 진단․평가, 가족상담, 부모교육, 대안활동, 사후관리(프로그램 참가 후 청소년상담사와 연계) 지원(3개월) 등의 내용으로 이뤄진다.

청소년과 부모가 함께하는 “가족치유캠프” 는 1기당 2박3일 프로그램 총 10회 (‘13. 5월~10월)에 걸쳐 인터넷(게임) 중독 초등생(4학년 이상) 및 부모를 대상으로 전문의 진단, 집단․가족상담 프로그램, 부모교육, 기타 수련 및 집단활동의 내용을 가지고 참여 및 프로그램 비용 무료, 교통비 등 일부 자부담으로 실시한다.

지원 청소년에 대해서는 서비스 종료 이후에도 치유효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청소년 동반자 또는 멘토를 1:1로 연결하여 3~6개월간 사후관리를 실시한다.

한편, 여성가족부는 이번 조사에서 심각성이 확인된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대해 체계적인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상담·치료 매뉴얼을 개발하여 중독 상담현장 및 치료 협력병원 등에 보급할 계획이다. 스마트폰 중독 상담·치료 매뉴얼을 2013년 말에 개발하며, 이를 2014년에 보급 및 시범 적용할 예정이다.

아울러, 중독 고위험군 청소년에게 상시적으로 맞춤형 치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설 인터넷치유기관을 설립하는 등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대응을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상설 인터넷치유학교를 ‘13년 말에 설립하여 2014년에 운영할 계획이다.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지도를 위한 과제

첫째, 인터넷 중독 위험군 10만5천여 명(초등 4학년이 18,605명, 중1 학생은 43,346명, 고1 학생은 43,201명)에 대하여 초등학생 때부터 관심을 둬야 한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의 경우 위험군 24만여 명 중 위험사용군이 39,049명, 주의사용군이 201,200명이며, 초4·중1·고1 학생이 각각 10,372명, 102,602명, 127,275명으로 조사돼 주의가 필요하다.

셋째, 인터넷·스마트폰 위험사용군은 인터넷·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장애를 보이면서 내성 및 금단 현상이 나타난다. 주의사용군은 위험사용군에 비해 경미한 수준이지만, 일상생활에서 장애를 보이며 사용시간이 늘어나고 집착을 하게 되는 등 증상을 알아 지도하여야 하겠다.

넷째, 인터넷 중독 위험정도별 교육 및 상담․치료서비스를 강화하여야 하겠다. 인터넷 중독 문제만 있는 청소년과 인터넷 중독 이외 공존질환을 보유한 청소년(인터넷 중독이외 기타 우울증, ADHD(주의력 결핍장애) 등 어려움이 있는 청소년)의 유형별로 적절한 지원을 하여야 하겠다.

다섯째, 전국 인터넷 중독 대응 지역협력망( 인터넷 중독 대응 지역 협력망 : 198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179개 치료협력병원 연계)을 강화하여야 하겠다.

여섯째, 스마트폰 중독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스마트폰 중독 상담·치료 매뉴얼을 충분한 검토를 통하여 개발하여 보급 및 시범 적용하여야 하겠다.

일곱째, 중독 고위험군 청소년에게 상시적으로 맞춤형 치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설 인터넷치유기관을 설립하는데 있어서 충분한 의견수렴이 되어야 하겠다.

여덟째, 스마트폰에서 음란사이트를 실제로 많이 보는 것으로 나타나 특별한 지도가 필요하다. 스마트폰을 교육적으로 활용하게 하기 위하여 학교 관리자나 교사들이 스마트폰에 대하여 잘 알아야 한다.

아홉째,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지도는 유아부터 예방에서 상담, 치료, 사후관리까지 단계별 맞춤형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지원하여야 하겠다.

열 번째, 가정에서 자녀들의 건강한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을 위한 각별한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
이영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