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민주당 유기홍 의원(서울 관악갑)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마이스터고·특성화고 졸업자 취업유지 현황’을 분석한 결를 발표했다.
올해 1회 졸업생을 배출한 전국 21개 마이스터고의 졸업생 3,372명 중 3,191명(94.6%)이 졸업과 함께 취업에 성공했었다. 하지만, 7개월이 지난 8월에는 21개 학교 중 2개 학교만이 졸업 당시보다 취업률이 올랐고 나머지 19개 학교는 취업률이 떨어졌으며, 졸업생 중 2,873명만이 직장을 다니고 있어 취업률도 9.4% 하락한 85.2%로 조사됐다. 졸업 당시 1월 취업자 중 8월에도 같은 직장에 근무하는 취업유지자는 2,614명(81.9%)으로 577명(18.1%)이 직장을 그만 두거나 옮긴 것으로 조사됐다.
마이스터고보다 특성화고의 취업유지 현황은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특성화고 중 26개 학교를 조사한 결과, 1개 학교만이 졸업 당시보다 취업률이 올랐고 나머지 25개 학교는 취업률이 떨어졌다. 졸업 당시에는 졸업생 6,041명 중 3,154명(52.2%)이 취업에 성공했으나, 8월에는 2,013명만이 직장을 다니고 있어 취업률 33.3%로 18.9%나 떨어졌다. 졸업 당시 1월 취업자 중 8월에도 같은 직장에 근무하는 취업유지자는 1,651명(52.3%)으로 1,503명(47.7%)이 직장을 그만 두거나 옮긴 것으로 조사됐다.
마이스터고 중 졸업 당시 1월 취업률이 100%였던 A 학교인 경우, 8월에는 취업률이 91.5%로 8.5% 하락했으며, 81.0%만 같은 직장에서 일하고 나머지 19.0%는 직장을 그만 두거나 옮겼다. 마이스터고 중 취업률이 가장 크게 하락하고 이직률도 가장 높은 B 학교인 경우, 졸업 당시 1월 취업률이 79.0%였으나 8월에는 57.0%로 무려 22.0%나 하락했으며, 59.5%만 같은 직장에서 일하고 나머지 40.5%는 직장을 그만 두거나 옮겼다.
특성화고 중 취업률이 가장 크게 하락한 C 학교인 경우, 졸업 당시 1월 취업률이 86.0%였으나 8월에는 42.0%로 무려 44.0%나 하락했으며, 27.9%만 같은 직장에서 일하고 나머지 72.1%는 직장을 그만 두거나 옮긴 것으로 나타나 취업유지 현황이 매우 심각한 상황이었다.
이 결과에 비추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마이스터고와 특성과고의 진로지도가 실질적으로 강화되어야 하겠다. 이들 학교에서 진로지도가 이루어진다고 하였는데 진롲지도가 실질적으로 잘 이루어 지지 않았다고 본다.
둘째, 마이스토고 졸업생중 취업을 하지 않는 500명에 대하여 그동안 지원한 등록금이나 기숙사비 등에 대한 환수조치가 이루어지는 것인가에 대하여 검토하여야 한다. 당초 마이스토고의 경우 졸업후 취업을 하지 않는 경우 환수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되어 있다.
셋째, 마이스터고 졸업생들이 취업한 분석 결과를 보면 학생들이 가장 많이 취업을 한 곳은 중소기업이 38.6%고 대기업과 공기업이 40%를 조금 선회하고, 중견 기업이 14% 정도 된다고 한다. 당초 마이스터고 지정시 취업에 관한 협약을 맺은 기관과 맞는 것인지 점검하여야 한다.
넷째, 마이스터고의 교육, 그리고 자격, 고용시장과의 연계가 좀 더 원활하게 이뤄져서 졸업생들이 성장가능한 일자리 취업을 하고 각 분야에서 핵심인재로 성장할 진로경로가 만들어져야 한다.
다섯째, 좀 더 체계적인 산학협력, 채용확대 노력이 계속 이루어 져야 될 것이다. 취업 지원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취업 후에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산업체 인사관리 제도가 좀 더 능력 중심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여섯째, 산학협력에 참여하는 기업들의 확대를 위해서는 범 부처 차원에서 산학협력 산업체를 지원하는 제도들을 좀 더 확대하고 산학협력을 통해서 사회적 책무를 이끌어내고 고졸취업문화의 정착을 좀 더 촉진해 나가야 하겠다.
일곱째, 마이스터고등학교 졸업생에 대한 맞춤형 병역제도를 개선하고 일과 학습을 병행할 수 있는 후진학 제도가 확충되어야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