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전 EBS 다큐멘터리에 우리나라 아이들과 독일의 아이들의 과제활동 실험이 방영된 적이 있다. 실험에 선발된 아이들이 하는 과제는 혼자서 하는 수학 문제 풀기와 여럿이서 스토리를 만드는 문제였다.
첫 번째 과제는 수학 문제였다. 문제 수준도 학년에 맞지 않는 꽤 어려운 방정식이 들어갔다. 우리 아이들은 사전 연습이라도 한 것처럼 시간 내 거뜬히 해결했다. 하지만 독일 아이들은 고개를 갸웃하며 도무지 풀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시험지를 모두 해결한 학생도 절반이 되지 못했다. 이를 통해 우리 아이들이 무척 우수하다는 것을 느껴 마음 든든했다.
첫 번째 문제에 이어 두 번째 문제가 나왔다. 두 번째 문제는 여럿이 낱말 카드를 조합해서 논리적인 스토리를 만드는 문제였다. 문제가 나오자 우리 아이들은 누가 역할을 맡느냐 하는 데서부터 다툼이 일어났다. 어떤 일은 자기가 맡겠다는 주장, 어떤 일에서는 절대 못하겠다는 주장이었다. 시간이 지나고 우여곡절 끝에 역할이 배분되었다. 하지만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 이야기를 논리적으로 만드는 부분에서는 한걸음도 나가지 못했다. 자기주장만 있지 대화가 되지 못한 것이다.
기세등등하던 처음 모습과는 달리 여럿이 해결하는 과제에서는 곳곳에서 벽에 부딪혀 지지부진하기만 했다. 이렇게 하여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말았다. 하지만 독일 아이들은 어떤 일이든지 타협하고 화기애애하게 문제를 해결하였다. 논리적으로 해결하는 과정도 훌륭했다.
나는 두 실험이 우리 교육의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리 아이들은 혼자 공부와 혼자 일에 익숙하지만 생각을 나누는 일, 더불어 일을 하는 일은 경험하지 못해 공감능력이 떨어진다. 여럿이 힘을 모아 정보를 재생산하는 능력도 떨어진다.
왜 이런 현상이 생겼을까? 우리 교육, 머리로만 가르치려하기 때문이다. 모로 가도 서울로 가면되고 높은 점수를 얻는 일, 원하는 대학에 많이 들어가는 것으로 교육의 성과를 매기고 등급을 매기기 때문일 것이다. 입시 중심 경쟁 교육, 일류대학 입학이 공부의 종점으로 되기 때문이다. 함께하는 능력, 규칙을 지키는 일,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능력이 떨어진 사회 그것이 우리의 자화상이 아닌가?
우리는 매번 선거 때마다 혁신이라는 이름을 내건다. 이전의 교육이 잘못 되지 않고서는 혁신을 말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혁신 이후에 또 혁신을 부르짖는 정치인을 뽑을 때는 혁신의 대상이 된다. 대학입학 제도가 그렇지 않은가? 그결과 교육은 갈피를 잡지 못하고 국민은 좌왕우왕한다.
우리나라 교육정책은 혁신을 말하기 전에 기본을 찾아야 한다. 공자님도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이라고 했다. 바꾸기는 한데 과거를 인정하라는 것이다. 하지만 정치인들은 표를 의식하여 늘 과거를 부인한다. 그래서 이름도 바꾸고 정책도 뒤집는다. 우리나라 교과서 주기가 세계에서 제일 짧은 것이 단적인 예이다. 그래야 자신의 성과를 높게 인정받아 표를 얻는데 유리하지 않은가? 그 결과 변화는 있되 철학은 사라졌다. 기본도 사라졌다.
유태인의 교과서(탈무드)는 2000년이나 되었지만 세계에서 제일 노벨상을 많이 수상한 나라, 미국의 최고대학에 가장 많이 입학한 나라, 세계에서 책을 가장 많이 읽는 나라가 아닌가? 2000년이나 지나도 나라를 되찾은 민족이 아닌가? 이들의 교과서가 우리처럼 매년 바꾸고 매년 혁신했다면 노벨상을 많이 받았을까?
우리 아이들이 더 이상 공부의 희생자로 만들지 말자. 성적이 좋다는 것과 행복하다는 것은 다르다. 성적이 행복을 가져다주지 않는다. 학교는 시험성적을 올리는 곳이 아니라 행복한 삶을 배우는 곳이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 우리 교육 기본을 되찾아주는 일이 중요하다. 머리로만 가르치려들지 않고 몸으로 가르치고 가슴으로 가르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그것이 혁신보다 중요하지 않을까?
오늘날 교과서 문제가 교육자들의 문제가 아닌 정치권의 문제로 되어 좌우 분열하는 현상도 어쩌면 점수만 받으면 그만이라는 정치적 생각이 만든 것일지 모른다. 우리 사회의 고절적인 사회적 유대감과 국가관 부재, 선생님 존경심, 어른 공경심, 자아존중감이 낮은 것도 사회 통합의 문제도 어쩌면 함께 배우는 교육의 부재에서 온 것인지도 모른다. 우리 교육, 함께하며 가슴으로 배우고, 함께하며 몸으로 배우는 교육에 관심 기울일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