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넓히는 질문을 하자

2014.04.21 09:52:00

세상에는 호기심 없이 배우는 공부가 많다. 하지만 호기심을 잃어버린 공부는 즐겁지 않다. 학습에 몰입하는 즐거움을 가지려면 무엇보다 호기심이 필요하다. 호기심은 학습의 에너지다. 학습하는 사람에게 몰입의 여행을 가도록 하는 원동력이 된다. 문제를 해결하는 나침반이 되기도 한다. 학습에 호기심을 높이고 스스로 찾는 기쁨을 경험해주는 부모가 되자. 그러기 위해서는 질문을 잘 하는 부모가 되어야 한다.

질문이란 모르는 것을 알기 위해서 묻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또 하나가 있다. 가르쳐주기 위해서 묻는 질문이다. 그것이 발문이다. 아이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발문을 사용하라. 왜냐하면 발문은 아이에게 호기심을 만들어주고 생각을 열어주며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주는 질문이기 때문이다.

그럼 발문과 질문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국어사전에는 발문에 대해서 규정한 말은 없다. 하지만 교육자들은 발문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한다. 왜냐하면 질문이 그만큼 중요하고 효율적으로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럼 질문과 발문, 무엇이 다를까? 먼저 발문과 질문은 방향성이 틀리다. 질문은 알기 위해서 묻고 발문은 가르쳐주기 위해서 묻는 것이다. 즉 아이 스스로 답을 찾도록 도와주는 것이 발문이다. 물론 질문도 아이가 필요한 답을 알려준다. 하지만 발문은 답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노력에 의해 문제를 해결하고 답을 찾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따라서 아이를 가르칠 때 발문을 사용하면 시간은 걸리지만 스스로 해결하는 학습 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질문과 발문은 무엇이 다른지 좀 더 구체적으로 알기 위해서 아래의 예를 살펴보자.

(질문 1) 이 꽃이 예쁘니? (질문 2) 어떤 꽃이 예쁘니? 왜 좋아하니?
(질문 1) 공부했니? (질문 2) 어떤 과목을 배웠니? 어떤 과목이 재미있었니?

아이가 두 가지 형태의 질문을 받는다고 생각해봐라. 아이는 어떻게 답을 할까? 먼저 (질문 1)의 유형은 예, 아니요 식의 간단한 대답에서 그칠 것이다. 하지만 (질문 2)에서는 좀 더 구체적으로 생각해보고 비교하고 선택하여 대답하게 될 것이다. 어떤 꽃이 예쁘니? 왜 좋아하니? 등과 같은 질문은 아이의 생각을 넓혀가는 질문이다.

또 다른 예를 들어보자.
(질문 1) 백두산 높이는 얼마니? (질문 2) 백두산 높이는 어떻게 하면 알 수 있니?

역시 (질문 1)에서 백두산 높이를 모르는 아이는 대답을 하지 못하거나 틀린 답을 말할 것이다. 하지만 (질문 2)는 아이에게 생각하는 방법을 찾을 것이다. 어떤 아이는 남한에서 제일 높은 산의 높이, 혹은 에베레스트 산의 높이를 물어서 비교해서 답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어떤 아이는 인터넷으로 검색하거나 지리부도를 이용하여 답을 찾는 아이도 있을 것이다. 아이는 이런 질문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고 생각을 넓힐 수 있다. 이런 질문을 발문이라고 할 수 있다.

아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발문은 그림을 그리는 미술과목에서도 필요하다. 예를 들어 아이가 ‘과학상상 그리기’ 숙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움을 요청했다고 해보자. 부모는 어떤 식으로 도와줄까? 어떤 부모는 종이와 물감을 준비시키고 해보라고 할 것이다. 하지만 아이의 생각을 넓히는 부모는 어떻게 할까? 어떤 부모는 과학상상 그리기를 한 작품을 내놓으면서 물을 것이다.

“이 그림은 무엇이 대해 그렸니?”
“이 그림은 무엇이 잘 되었다고 생각하니?”
“넌 무엇을 그리고 싶니?”

등으로 그리고 싶은 것을 궁리하도록 만들고 어떤 식으로 그려야하는지 생각을 이끌 것이다. 또 어떤 부모는 아이가 그려야 할 거리를 찾도록 할 것이다. 때로는 관련 사진을 보여주기도 하고 때로는 동영상이나 책을 보여주기도 할 것이다. 또 어떤 부모는 과학과 관련된 이야기를 들려줄 것이다.

그런 다음 아이에게 물을 것이다.
“이제 네가 그려야 할 거리를 찾아봐. 그리고 너만의 방식으로 그려봐.”
이것이 생각을 넓히는 부모들이다.

질문과 발문은 때로 경계가 모호해질 수 있다. 질문이 발문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발문이 질문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그러므로 아이에게 온통 발문으로만 가르쳐서도 안된다. 질문과 발문을 고루 섞어라. 그렇지만 생각을 넓히는 부모들은 가르쳐주려고 하지 않는다. 아이 스스로 해결하도록 도와주려고 한다. 그럴 때 사용하는 질문이 발문이다.
김완기 로봇에게 쫓겨난 대통령 동화작가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강주호 | 편집인 : 강주호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