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을 가르친 아이들

2015.01.22 09:21:00

리포터는 얼마 전 믿음에 대한 소중한 경험을 했다. 우리 학교는 지난 해 12월 23일에 2014년을 마무리하는 축제 겸 동아리발표대회를 열었었다. 행사를 하기 위해선 수많은 준비물이 필요하고 그 모든 것을 지도교사가 마련해 주어야 했다. 하지만 갑자기 결정된 행사이고 시일이 촉박해 리포터 혼자만의 힘으로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하는 수 없이 각각의 동아리 대표들을 불러 학교 법인 카드를 하나씩 내어주고 시내에 가서 동아리별로 필요한 물품들을 사오도록 했다. 구입할 품목을 인쇄해서 나눠준 뒤 몇 번이나 주의사항을 알려주고 절대 실수가 없도록 신신당부했다.

그런데 점심시간에 심부름을 보낸 아이들은 5교시가 다 끝나가도록 함흥차사였다. 이럴 줄 알았으면 휴대폰이라도 들려서 보낼 걸 하는 후회가 들었다. 혹시 불량배에게 걸려 신용카드를 빼앗기지는 않았을까. 아니면 자기 카드가 아니라고 함부로 사용하지는 않을까. 노심초사(勞心焦思)! 불길한 상상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졌다. 걱정 때문에 수업도 제대로 할 수 없었고 초조한 생각에 자꾸 창밖만 내다보게 되었다.

그렇게 얼마의 시간이 흘렀을까. 드디어 저 멀리로 심부름을 갔던 아이들의 모습이 보이기 시작했다. 얼마나 기쁜지 한달음에 운동장을 가로질러 달려가 왜 이렇게 늦었느냐고 물었더니 녀석들은 의아하다는 듯이, 찾는 물건이 없어 여기저기 시내 문구점들을 돌아다니다가 그렇게 되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인쇄해준 품목을 낙출(落出)없이 모두 구입해 영수증과 함께 나에게 내밀었다. 잠시나마 아이들을 의심했던 내 자신이 몹시 부끄러워지는 순간이었다. ‘아, 그동안 내가 아이들을 믿지 못하고 살았구나.’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가장 순수하고 믿음이 충만해야할 학교에서조차 이토록 불신이 팽배해 있다는 게 정말 실감나는 순간이었다.

문득 초등학교 때 읽었던 도산 안창호 선생의 전기가 생각난다. 도산 안창호 선생께서 상하이에서 독립운동을 하던 무렵이었다. 어느 날 선생은 외출하려고 옷을 챙겨 입고 있었다. 같이 독립운동을 하던 한 동지의 딸 생일파티에 가겠다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였다. 당시 일본 헌병들이 선생을 잡으려고 눈에 불을 켜고 순찰하던 때라 동지들은 이런 시기에 함부로 움직여서는 절대로 안 된다고 선생을 말렸다.

“선생님의 목숨보다 소녀와의 약속이 중요합니까? 제발 가지 마세요.”

“나는 소녀와 약속했네. 위험해도 나는 소녀와의 약속을 꼭 지키고 싶네.”

붙잡힐 상황임을 뻔히 알면서도 선생은 의연하게 나가 동지의 딸 생일파티에 찾아가 축하를 해주었다. 그리고 결국 체포돼 큰 고초를 겪었다. 조직 전체에 큰 피해를 입혔다는 주변인들의 비판에 대해 선생은 이렇게 말했다.

“나는 소녀와의 약속을 지켰으니 후회는 없네. 약속의 크고 작음을 저울질하면 안 되네. 왜냐하면 약속을 지키는 믿음이 곧 삶의 근본이기 때문이지. 약속을 지키는 것은 이익을 얻기 위함이 아니고, 그 이익이 발생되는 근본적인 기초를 닦는 일이네. 차를 몰고 가려면 기름을 넣어야 하지만, 그 전에 먼저 길을 닦아야 하는 것과 같은 이치일세. 길이 없으면 아무리 좋은 기름을 가득 채워 넣어도 차는 달릴 수가 없는 것이야. 내가 소녀와의 약속 하나도 지키지 못하면서 어떻게 우리 국민들과의 약속을 지킬 수 있겠나.”

이처럼 누군가를 믿는다는 것은 참으로 중요한 일이다. 믿음을 이야기할 때마다 흔히 예로 드는 것이 콩나물 이론이다. 시루에 콩나물을 안치고 물을 주면 시루바닥에 구멍이 숭숭 뚫려 있기 때문에 물이 다 빠져나가 결국 아무것도 남는 것이 없게 된다. 정말 밑 빠진 독에 물붓기인 셈이다. 아무리 공을 들여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허탈해지는 것이다. 하지만 콩나물이 자랄 것이란 굳은 믿음을 갖고 계속해서 물을 주면 콩나물은 어느새 무성해진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믿음도 이와 같아서 당장은 남을 믿어서 혹여 큰 손해와 마음의 상처를 입는 경우도 있겠지만, 사회구성원 모두가 이 콩나물시루처럼 꾸준히 누군가를 믿고 신뢰를 보낸다면 또 다른 누군가에게 그 믿음의 고리가 연결될 것이고, 그것이 점차 튼튼한 믿음의 사슬이 되어 우리 사회에는 신뢰라는 콩나물이 무성하게 자랄 것이라고 리포터는 굳게 믿는다.
김동수 교사/수필가/여행작가/시민기자/EBS Q&A교사 역임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