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언론지상에 나오는 기사 중에서 한때 나는 새도 떨어뜨렸을 법한 이른바 사회지도층 인사들이 끝 모를 추락으로 허우적대는 것을 자주 보게 된다. 한 순간의 잘못된 판단으로 그 파멸의 순간이 되었는지 아니면 마음속에 잠재되어 있던 욕망이 끝없이 분출하여 지금의 나락으로 그를 이끌었는지 모르겠지만 개인의 불행을 넘어서 인재(人材)를 적재적소에 잘 쓰지 못해서 생긴 사달인 듯싶다.
사람의 쓰임에 대해서 잘 지적한 성현이 있는데, 성호 이익(1681~1763) 선생이시다. 선구적 실학자로서 영조의 공직 제의를 사양하고 저술에 힘쓰고 후학 교육에 매진하셨다. 백과사전격인 <<성호사설>>이 유명하고, 후학으로는 정약용, 채제공, 안정복 등이 있는데 성호학파로 불렸다.
성호선생이 쓴 <관물편(觀物篇)>을 보면 낙향해서 일상생활을 하면서 느꼈던 자질구레한 존재들, 이를테면 개미, 두더지, 모란, 국화, 감나무 등을 가지고서 천한 만물의 이치뿐만 아니라 인간 본성과 당대의 암울했던 세태를 깨우치기도 했다. 그 중에서 인재와 관련한 일화를 소개해 본다.
성호 선생이 초막에 계실 때 앵두나무를 키운 모양이다. 선생은 시간이 날 때에 늙은 가지를 잘라주곤 했다. 앵두나무 성질은 가지가 늙으면 열매가 열리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해마다 붉은 앵두가 탐스럽게 열려서 사람들의 칭찬이 자자하였다.
“선생님, 특별한 수종의 앵두나무인 모양입니다.”
“이 나무는 평범한 종류입니다. 그런데 저를 만나고 이렇게 칭찬을 듣는군요. 사물 또한 누구를 만나느냐에 달려 있나 봅니다.”
천문동(天門冬)이라는 나무에 관련된 일화도 있다. 천문동은 백합과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데, 많은 방추형의 뿌리가 사방으로 퍼지고 뿌리를 폐결핵 등의 약재로 사용한다. 선생이 어느 날 숲속의 천문동을 몇 뿌리 캐다가 마당에 옮겨 심었는데 잘 자라서 덩굴이 뻗어서 장관이었다. 사람들이 그 모습을 칭찬하자 이렇게 말했다.
“사람도 때를 만나거나 만나지 못하는 경우가 있듯 사물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식물이 처음 저 숲에 있었을 때는 사람들이 거들떠보지도 않았지요. 내 마당으로 오니까 그것이 이렇게 좋다는 것을 알아주게 된 것입니다. 무릇 풀이란 무심한 존재이니 어찌 일부러 꾸미려고 마음을 먹어서 전후가 달라지겠습니까? 단지 사람이 스스로 다르게 볼 뿐이지요.”
두 가지 일화를 통해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사물이나 사람 모두 그것을 어떻게 보느냐, 그리고 어떤 자리에 놓고 쓰느냐에 따라서 가치가 변한다는 것이다. 제 아무리 쓸모 있는 식물도 방치된 채 내팽개쳐 있었더라면 그 유용함은 빛을 잃을 것이고, 사람 또한 그 재주를 몰라주고 적재적소에 배치하지 않는다면 그 사람은 그저 범인(凡人)으로 머무를 것이다. 반대로 사람을 있지 않아야 할 곳에 억지로 있게 한다면 그것은 인재(人材)가 아닌 인재(人災)가 될 것이다.
요즘 언론에 구설수로 오르내리는 이른바 유명인들 또한 있어야 할 자리에 있지 않아서 생긴 일이 아닌가 한다. 우리 선현들의 경우 자기가 감당하지 못할 자리에 천거되었다면 과감히 사양하고 깊은 곳에 은거하여 제자를 기르고 학문수양에 매진해서 그 아름다운 이름이 지금까지 기억되는 인물이 어디 한둘이었던가. 사실 실력이나 인품으로 그 관직을 못 받을 정도는 아니었지만 사양지심으로써 자신을 더 가다듬은 것이었으리라. 하지만 지금 세태는 보잘 것 없는 작은 실력을 침소봉대해서 자기 자신의 자리에 맞지 않는 곳에 억지로 가서 끝내는 파멸로 내리막길을 걷는 사례가 흔하다. 있어야 할 곳에 있고, 내가 갈 자리가 아니라면 그 자리를 피할 줄 아는 지혜, 그런 혜안이 더 필요한 시기가 아닌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