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이야기] 내 안에 좋은수업 있다

2017.01.08 09:22:12


많은 교사들, 특히 고교 교사들은 ‘입시’라는 장벽과 ‘배움중심’, ‘활동중심’ 등 여러 교수-학습전략으로 교실수업을 개선해야하는 과제 사이에서 딜레마에 빠져있다. 일반계고인 우리 학교 교사들의 고민도 마찬가지다.

초가을 1차 지필평가를 앞둔 어느 날, 사회 선생님의 2학년 이과 반 생활윤리 수업을 보게 됐다. 수업 전에 수업 의도나 고민에 대해 의견을 나눴는데 선생님은 시수에 비해 교과 내용이 많아 진도 빼기도 바빠 평소 학생들과 활동위주 수업보다 강의식수업을 하는 것에 고민이 있었다. 또 이과 반은 수능에서 사탐을 선택하지도 않고 성적에도 반영 되지 않아 시험에 임박해서는 수업하기가 미안하다는 말씀도 하셨다. 그래서인지 몇몇 아이들은 수학이나 영어책을 꺼내놓고 있었다. 

수업이 시작되고 롤스의 정의에 대한 설명이 시작됐다. ‘원초적 입장’이니‘무지의 베일’이니‘무관심적 합리성’이니 하는 난해한 말들과 중간중간 질문이 이어졌다. 대답없는 학생들에게 선생님은 스스로 답하곤 했다.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활동하게 하는 방법은 보이지 않았다. 책상을 모둠별로 배치하거나 토론을 유도하지 도 않았다. 따라서 토론 내용을 발표하는 시간도 없었다. 

그렇게 홀로 수업을 진행하던 선생님은 갑자기 “키가 180센티미터 이상인 사람만 대학시험을 치를 수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공정한가?” 라고 물었다. 잠시 침묵이 흐르더니 이내 “에이, 말도 안되요”, “00야 너는 수능 볼 자격도 없네~”라며 한 두 명이 수업에 끼어들기 시작했고 자신들의 언어로 롤스의 정의를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이후 선생님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책임과 배려가 삶속에서 얼마나 필요한가에 대해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유도했다. 

우리는 이 장면을 다시 동영상으로 보며, 질문하는 순간으로 돌아가 선생님의 생각에 머물러 보았다. 선생님은 아이들은 물론 자신조차도 마음에 와 닿지 않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자신이 싫었다고 했다. ‘아이들이 시간 아깝다고 생각하지 않을까?’, ‘내 과목은 아이들에게 무의미한 걸까?’라는 자괴감마저 일었다고 했다. 

그리고는 롤스의 정의를 설명하기 위해 아이들의 삶에 어떻게 적용할까를 고민하다 질문을 던졌는데 아이들이 웃으며 이런 저런 반응을 보이기 시작했다고 했다. 그 장면에서 선생님은 잠시 큰 한숨과 함께 침묵했다. 

잠시 후 선생님은 자신의 교과지식과 삶을 연결시키고자 줄곧 해 오던 고민의 답을 찾은 것 같다며 목 맨 소리로 말했다. 선생님은 이번 수업나눔을 통해 특별한 형식의 수업만이 학생참여형 수업이 아니며 자신의 수업장면에서도 진정한 배움이 만들어지고 있는 모습을 찾아 낸 것이었다.  

선생님은 앞으로는 질문을 하고 좀 더 기다려줘야겠다는 생각도 들었다고 했다. 또 즉흥 질문보다는 수업내용을 꿰뚫는 발문을 만들어 아이들과 생각해보고 대화하는 수업을 디자인해 봐야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물론 교과 지식에 해당하는 삶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나누는 것, 교과 내용과 관련해 삶의 이야기를 풀어낸다는 건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자면 ‘내 삶을 학생들에게 열어 보여야 한다는 부담’, ‘입시 지식과 성격이 다른 내용을 말한다는 부담’, ‘교과와 관련된 체험을 말해야 한다는 부담’ 등 여러 부담을 껴안아야 한다. 그러나 결국 좋은 수업을 위해서는 여러 교수 및 학습 방법을 익히고 교과 지식을 탁월하게 공부하는 것보다 교사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항상 두 마음이 싸웁니다. 입시에서 좋은 성적을 내야한다는 마음과 삶을 살아가는데 바른 가치관을 세우고 배려와 존중의 마음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자세를 가르치고 싶은 마음 말입니다. 하지만 교사라면 두 번째 마음을 신념으로 갖고 지켜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게 배우는 것이 시험을 망치는 배움은 절대 아니니까요.”

수업나눔을 정리하며 꺼낸 선생님의 고백에서 역시 수업의 답은 선생님들께 있다는 확신이 들었다. ‘좋은 교사란 이래야 한다’, ‘좋은 수업은 이래야 한다’는 정해진 틀은 없다. 이번 수업 나눔과 같이 학생들에 대한 시선, 교과에 대한 시선을 바꿔가며 수업 공간을 바꿔가는 것이 바로 수업나눔의 의미가 아닐까?
문명숙 경기 인창고 수석교사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