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15일은 ‘6·15 남북한 공동선언’ 17주년이었다. 새 정부 출범이후 남북한 관계에도 급격한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었고 그 계기가 바로 6·15선언 17주년이 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조용히 흘러가버렸다.
현재 남북관계가 경색된 책임은 북한에 있다. 금강산 관광객 피살, 핵실험, 연평도·연천포격, 미사일발사 등 북한의 연이은 도발이 대북지원과 교류 중단, 개성공단 폐쇄로 이어진 것이다. UN을 중심으로 여러 나라가 대북제재에 동참하고 있기 때문에 새 정부도 교류로 바로 나가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북한도 6·15 남북 공동행사 개최의 전제조건으로 집단 탈북한 음식점 종업원 송환을 내걸면서 사실상 거부 의사를 보였다. 그러므로 획기적 계기가 없다면 당분간 남북한 당국이 교류의 장으로 나서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통일은 필연적이며 다만 어느 순간에 올 것인지는 누구도 알 수 없다. 그래서 남북교류도 필연적인 것이 되며 갑작스러운 통일에 대한 준비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은 것이 된다.
여러 가지 의미에서 남북교류의 시작은 교육분야가 적합하다고 본다. 한국교총은 이미 지난 3월 '제19대 대통령선거 교육공약 요구과제'를 발표하면서 남북 교원교류 재개를 요구한바 있다.
한국교총이 말하는 교원교류는 이전에 했던 단체 간 요란한 상봉행사가 아니라 남북교원의 상호방문과 같은 실질적인 교류다. 남한의 교사는 북한의 학교에서, 북한의 교사는 남한의 학교에서 일정기간 근무하면서 학생들을 지도하고 교원과 교류하면서 공동의 교과서를 만들어나가자는 것이다.
이것은 갑자기 찾아올 통일이후 혼란을 최소화하면서 남북한 주민의 통합을 이끌어 내는 준비과정이라 할 수 있다. 막힌 남북관계 개선이 남북교원 교류로부터 시작될 수 있도록 관계당국의 협력과 지원을 요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