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목고 폐지는 학교장의 학교 경영 평가를 높일 수 있다. 지금의 학교장 구성 체계로는 경쟁을 할 수 없는 것 같다. 말 그대로 연공서열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장학사로 가는길과 학교 관리자로 가는 길이 구분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서로 경쟁과 견제가 없고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꼴을 이루고 있다. 장학사로 가는 교사도 결국은 현장의 교장 밑의 교감으로 임용되니 그 누가 현장 교장의 정책을 객관성 있게 평가할 것이며, 그 누가 현장 학교에 대해 메스를 댈 수 있을 것인가? 이런 장애물이 있기에 현장에서 벌어지는 사건 사고가 만성화 되고 근절되지 않는 것도 학교 체계의 허상이 한 몫을 하고 있다는 단적인 증거가 된다. 학교 체제를 경쟁의 체제로 바로 갖추려면 이런 자잘한 학교 현장의 허상을 현미경으로 들여다 보아야 한다. 특목고 교장으로 누가 가겠는가? 제일 좋은 자리라고 생각할 수 있으니 교장과 교감으로 나갈 때 행정을 쥐고 있는 장학직에서 맡게 될 것이 아니겠는가? 또 성과급 평가를 받을 때 어느 학교 교장 교감이 더 우수하다고 평가를 받을 수 있을까? 더 이상 말이 필요 없는 것이다.
특목고를 폐지해 일반고로 전환시켜 학교 관리자로 가는 길을 공평하게 하고, 학교 관리자의 학교 경영 평가도 엄격하게 받을 때 다크호스 같은 교장이 나타날 것이고, 또 그런 학교에서 다크호스 같은 학생이 배출될 것이 아닌가? 평교사에서 교장으로 가는 길을 열어 놓은 내부형 교장공모제는 교장의 경쟁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서라도 꼭 필요하다. 다만 문제가 되어 논란이 많은 부분은 정성적 평가보다 정량적인 평가를 더 강화시키는 정책이 선행되어야 한다. 학교 교육이 해를 거듭할수록 많은 변화를 해 온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교육 기자재가 시각적 효과를 더욱 뚜렷하게 교실에 어필하였으니 대표적이라 할 수 있고, 그 외 학교 교실의 냉난방일 것이다. 그런데 정작 학생을 가르쳐야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은 예나 지금이나 변화가 미미한 상태다. 어느 학교에서 새로운 안이 나오면 그 안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많은 학교 구성원들이 우수 학교 방문을 하기 마련이다. 그런데 정작 학교 부장단이 학교를 방문하면 학교 시설이 잘 된 곳을 보여준다. 우수 학교를 만든 수업을 보여 준다거나 녹화된 새로운 것을 보여 주어 방문 교사들에게 새로운 동기를 불러 일으킬 만한 것은 제시하지 않는다. 흥미 중심 수업이라고는 하지만 그 수업이 대입시에 밀려 일회성에 지나지 않고 흐지부지 되고 만다. 정작 주입식 교육이 새로운 변화를 도모하려고 한다면 그 학교의 교장이 수업 경영의 새로운 마인드를 창안해 내려는 각고의 노력이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이 학교에 대한 애착심을 갖도록 이끌어 내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
특목고를 일반고로 전환시키고, 장학직과 현장 관리자의 길을 분명하게 구분해 선발할 때 일반계 고등학교의 학교장 경영 평가는 더욱 가속도가 붙을 것이 아닌가? 또 내부형 교장공모제로 교장이 된 자의 학교 경영 평가 척도도 서서히 수면에 드러나 공모제의 성공 여부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행정 체계에서 견제와 균형이 유지되면, 학교 각종 비리와 경영평가에서 낙제점을 받은 학교장은 중임에서 배제될 것이기에 학교장도 긴장하게 될 것이고, 구성원들에겐 새로운 모종의 팁이 부여될 것이다. 학교장과 구성원의 동심일체는 일반계 특목고를 만들어 내는 또 다른 첩경도 될 것이다. 학교 혁신은 교육계가 안고 있는 적폐를 빨리 바꾸어야 일신우일신을 거듭할 것이고, 일반계 특목고도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면서 학부모와 학생들이 공교육에 우후죽순처럼 몰려들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