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에 이어 이번에도 흥행실패 대작 이야기다. 이름하여 흥행실패 대작 2탄 ‘남한산성’(감독 황동혁)이다.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흥행부진’이란 글에서 이미 말한 바 있듯 ‘남한산성’은 10월 3일 추석특선 영화로 개봉했다. 개봉 5일째까지만 해도 ‘역대 추석 연휴에 개봉한 영화중 가장 빠른 흥행 속도’였지만, 이후 ‘범죄도시’에 1위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남한산성’의 최종 관객 수는 384만 8446명(12월 10일 기준)이다. 순제작비만 155억 원으로 알려졌으니 손익분기점은 대략 500만 명쯤이다. 관객 수와 손익분기점만 단순 비교하면 ‘군함도’보다 훨씬 심각한 수준의 흥행실패라 할 수 있다. 이는 그 누구도 예측하지 않았던 결과이다. ‘군함도’가 여름 최고 기대작이었듯 ‘남한산성’이 추석 대목 최강자로 꼽혀왔기 때문이다.
물론 거기엔 그만한 까닭이 있다. 우선 ‘남한산성’이 대작 사극이란 점이다. 전통적으로 추석 대목 강자는 사극이란 통계가 작용했지 싶다. 다음은 감독과 배우들이다. 황동혁은 ‘도가니’(2011)⋅‘수상한 그녀’(2014)의 히트로 흥행감독의 반열에 든 감독이다. 배우는 이병헌(최명길 역)⋅김윤석(김상헌 역)⋅박해일(인조 역)⋅고수(서날쇠 역) 등 초호화 캐스팅이라 할 수 있다.
또 하나 70만 부 이상 판매된 김훈 소설가의 동명소설 ‘남한산성’이 원작인 점도 추가된다. 그 외 리뷰를 비롯한 이병헌⋅김윤석⋅황동혁⋅김훈의 배우⋅감독⋅원작자 인터뷰 등 신문의 ‘지원사격’도 여느 영화보다 많은 편이었다. 무엇보다도 개봉 초반 관객몰이가 의심의 여지를 없게 하는 분위기였다. 그것이 쭈욱 이어지는 일만 남은 셈이었다.
그러나 ‘5일천하’로 끝나고 말았다. 도대체 무엇이 문제였을까. ‘남한산성’은 1636년 12월부터 이듬해 1월 30일까지 벌어진 치욕의 병자호란, 47일간의 혹독한 겨울을 그린 영화다.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비극적 역사를 정공법으로 보여준다. 팩션의 역사드라마가 아닌 정통 대하사극이라 할까. 단, 인물 중심의 대사가 주요 전개 수법이다.
일단 설원(雪原)에 펼쳐진 어마어마한 청나라 군대라든가 군막사 등 스펙터클한 장면이 대작다운 면모를 보여준다. 서로 죽이고 죽는 전투장면의 리얼함이라든가 전장(戰場)에서 죽은 병사의 눈알을 쪼아먹는 까마귀떼, 그리고 모가지가 잘려나간 채 여기저기 내걸린 조선인 얼굴 등이 가슴을 먹먹하게 한다. 비극적 역사의 무게감에 눌려 생겨난 가슴 먹먹함이다.
그 먹먹함은 나라가 멸망 위기에 처했을 때 최명길과 김상헌중 어느 길을 택해야 하는지 고민을 동반한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삼배구고두(세 번 절하고 아홉 번 머리를 조아리는 것)의 치욕을 당하기까지 도대체 임금이며 위정자들은 뭘했는지 반문하게 만든다. 이미 44년 전 임진왜란을 겪은 바 있는데도 그 모양이라서다.
영화는 ‘이게 나라냐?’ 하는 의문도 갖게 만든다. 일개 대장장이인 날쇠가 가마니 아이디어를 내고, 잘 맞지 않는 총 정비까지 맡아 할 정도의 나라이니 말이다. 특히 칠복(이다윗)을 통해서 ‘이게 나라냐?’ 하는 비판이 낭자하다. 가령 김상헌에게 “이 엄동설한에 싸우게 하실려면 얼어죽지는 않게 해줘야 하지 않냐”며 씹는 식이다.
“봄에 씨를 뿌리고 가을에 거둬 겨울을 편히 날 수 있는 세상을 꿈꿀 뿐”인 날쇠는 목숨을 건 격서 전달에 나선다. 무능한 임금, 전쟁 와중에도 비난이나 반대만 일삼는 신하들 모습과 현란한 대비를 이룬다. 뭔가 찡한 울림을 주는 일반 백성의 모습이다. 오늘날 대통령 등 집권자나 위정자들이 어떠해야 하는지 생각게 해주는 의미심장한 대목이다.
다시 그 먹먹함은 콧등 시큰해짐으로 이어진다. 가령 “상헌을 버리지 말라”는 명길에게 “경도 나의 충신이다”는 인조의 모습에서 왜인지 콧등이 시큰해진다. 청황제에게 “조선의 백성들은 아무 잘못이 없습니다”는 명길의 화친을 위한 간절함에서도 마찬가지다. 이렇듯 영화는 민족적 비극을 재현함으로써 역사의 교훈을 아로새기게 한다.
그러나 관객이 느낄 어떤 카타르시스와는 좀 거리가 있어 보인다. 실패한 가장 큰 요인이 아닐까 하는데, 극적 재미없이 정공법으로 우직하게 밀어붙인 때문이지 싶다. 굳이 제11장으로 나눠 전개한 이야기도 그중 하나로 보인다. 이야기 흐름이 끊겨 긴밀한 인과적 구성을 포기한 옴니버스식 전개가 되고 말아서다.
할리우드 블록버스터를 닮아가고 있는 한국영화의 너무 긴 상영시간도 문제다. 상영시간을 120분쯤으로 했더라면 정공법으로 인한 지루함을 느낄 짬 없이 몰입에 도움되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설마 이것 때문 사람들 발길이 뚝 끊겼을 것이라 생각하진 않지만, 시작 화면 자막에서 ‘한양’이 아닌 “서울로 들이닥쳤다”가 주는 생소함도 빼놓을 수 없는 아쉬운 대목이다.
김상헌의 날쇠를 향한 큰 절도 좀 아니지 싶다. 자신이 죽인 뱃사공 손녀를 부탁하고, 피지배계층에 대한 위정자로서의 속죄의 뜻이 담긴 행동일지라도 그렇다. 척화를 주장한 김상헌 캐릭터와 충돌하고 있어서다. 김상헌은 명분에 집착하는 고지식한 선비 또는 사대부의 표상쯤 되는 캐릭터인데, 그렇듯 진일보한 행동을 할 수 있나 의문이 생겨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