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단난 가족의 복원 '그것만이 내 세상'

2018.03.02 14:25:11

지난 설 대목 극장가 영화대전의 승자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블랙팬서’였다. ‘블랙팬서’가 3월 1일 현재 동원한 관객 수는 493만 9127명이다. 2월 28일 ‘궁합’⋅‘리틀 포레스트’ 등 신작이 가세했지만, 500만 돌파에 이어 그 이상의 성적도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해 한국영화 경쟁작들은 초라한 성적을 냈다.

그나마 한국영화로는 드물게 시리즈 3탄까지 제작⋅개봉한 ‘조선명탐정: 흡혈괴마의 비밀’이 242만 명을 넘기며 선전했지만, 손익분기점에도 미치지 못했다. 일본영화를 리메이크한 ‘골든 슬럼버’는 겨우 136만 명을 넘긴 수준이다. 지난 해 10월 교통사고로 요절한 김주혁의 유작 ‘흥부’는 41만 명에 그쳤다.

너무 싱거운 결과라 할까. 아예 맥을 못춘 한국영화부진이라 해도 할 말이 없게 되었다. 그런 가운데 설 대목을 노린 개봉(1월 17일)은 아니지만, 한 달 넘게 이어진 상영으로 관객몰이에 성공한 ‘그것만이 내 세상’(감독 최성현)이 눈길을 끈다. 제작비 58억 원에 손익분기점이 210만 명쯤이니 대박은 아니어도 흥행성공작이라 할 수 있다.

‘그것만이 내 세상’은 2018년 신인감독의 입봉작이 일군 첫 흥행영화로 기록되었다. 2018년 1~2월 개봉작 전체로 봐도 제1호 흥행작이다. ‘그것만이 내 세상’의 흥행은, 그러나 좀 이례적인 일로 보인다. ‘1급기밀’에 대한 무관심처럼 대중의 영화를 고르는 탁월한 심리가 참으로 알다가도 모를 일이라 할까.

무엇보다도 ‘그것만이 내 세상’은 기시감이 있는 영화다. 새로울게 없는 영화라는 뜻이다. 영화를 보는 내내 조정석⋅도경수 주연의 ‘형’(2016)이 떠올랐으니까. ‘그것만이 내 세상’은 미국 나이로 38세인 김조하(이병헌)가 17년 만에 어머니 주인숙(윤여정)을 만나 동생 오진태(박정민)와 사는 이야기다. 그런데 어머니는 시한부고, 아버지가 다른 동생은 서번트 증후군(자폐증과 천재성을 동시에 지닌 것)을 앓고 있다.

결국 어머니는 세상을 떠나고, 조하는 졸지에 진태의 보호자가 된다. 그런 조하의 기구한 삶에는 폭력 가장이 원흉으로 또아릴 틀고 있다. 그러니까 아버지의 폭력에 시달리다 집을 나간 어머니 등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온 조하가 세상과 친해진 것이다. 감독이 방점을 둔 것은 폭력 가장이라는 사회문제가 아니라 그로 인해 절단난 가족의 복원이다. 쓸쓸하면서도 뭔가 훈훈하게 다가오는 이유다.

한가율(한지민)이 진태의 음악성을 알아보는 과정도 감동적이다. 특히 2층으로 올라가던 가율이 진태의 피아노 연주를 듣고 내려와 그랑 나란히 앉아서 합주하는 모습이 그렇다. 교통사고 이후 끊었던 피아노 연주를 다시 시작할 만큼 가율이 진태의 음악성에 자신도 모르게 이끌린 장면이다. 피아노 연주 소리를 들으며 콧등이 시큰하기는 영화나 현실에서든 아마 처음이지 싶다.

사실 ‘그것만이 내 세상’은 너무 영화 같은 이야기에 픽 웃음이 나온다. 기본적으로 일상성을 토대로 하면서도 비현실적 결구가 펼쳐져서다. 가령 진태의 성대한 피아노 연주회가 그렇다. 경연대회에서 떨어진 진태의 음악성을 알아본 가율이 재력가인 할머니(문숙)를 움직여 성사된 것인데, 과연 그런 일이 현실에서 가능할까하는 의문을 안겨준다.

진태가 공연에 나선 과정도 의아하다. 엄마는 입원중이고 형도 출국하려 하는 등 그들 도움을 받지 못하는데, 멀쑥한 정장에 나비넥타이 차림으로 등장하고 있으니 말이다. 주인집 딸로 고교생인 수정(최리)이 추근대거나 질척할 정도로 진태와 함께 있는 것도 그렇다. 진태 뿌리에 대한 묘사가 전혀 없는 점도 아쉽다.

그럼에도 흥행의 일등공신은 배우들이 아닐까 싶다. 우선 ‘편도’란 말도 못알아듣는 퇴물 복서 조하 역의 이병헌이다. 가발로 보이는 헤어스타일인데, 어쩌면 그렇게 옷차림이나 언행과 잘 어울리는지 감탄스러울 지경이다. ‘내부자들’이나 ‘마스터’에서의 강한 모습이 사라지고 없는 이병헌이다. ‘남한산성’의 흥행실패 부담을 훌훌 털어냈을 법하다.

신인이나 다름없는 박정민도 만만치 않다. 박정민은 서번트 증후군의 진태를 그야말로 진태답게 보여준다. 특히 6개월간 하루 6시간씩 연습하여 대역이나 CG가 아닌 실제 피아노 연주로 영화촬영에 임했다니, 그 노력이 가상하다. 흑백영화 ‘동주’에서 행동하는 독립운동가로 오히려 윤동주를 돋보이게 한 송몽규를 잊게한 박정민의 실연(實演)이다.

장세진 전 교사, 문학⋅방송⋅영화평론가 yeon590@dreamwiz.com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