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1일 52회로 대단원의 막을 내린 KBS 2TV 주말극 ‘황금빛 내 인생’은 중간(제31회)부터 보게된 드라마다. 드라마 중간부터 보기가 원래 스타일은 아니지만, 시청률 40%(닐슨코리아, 전국 기준)를 돌파했단 소식을 접하고 그냥 지나칠 수 없었다. 타방송사 뉴스 시간대인데다가 다른 드라마들과 겹치는데도 그런 시청률이 놀랍고 무엇보다 의아스러웠던 것.
하긴 평일보다 주말 드라마 시청률이 높은 건 하나의 흐름이다. 특히 KBS 주말 드라마들이 그렇다. 일례로 ‘황금빛 내 인생’ 직전 방송된 ‘아버지가 이상해’ 최고 시청률은 36% 대에 이른다. 그 직전 ‘월계수 양복점 신사들’도 비슷하다. 두 드라마 모두 첫방송 시청률조차 20%를 웃돌았다. 50부작 넘는 긴 방송 동안 단 한 차례도 시청률 20% 아래로 떨어진 적이 없다.
그러고 보면 ‘황금빛 내 인생’은 이전 두 드라마와 다른 모습이다. 지난 해 9월 2일 첫방송 시청률이 20%에 미치지 못했는데 45.1%(최종회)까지 치솟았으니 말이다. ‘황금빛 내 인생’이 처음으로 시청률 40%를 돌파한 것은 제30회 방송에서다. 41.2%를 기록했는데, 그것이 ‘황금빛 내 인생’을 소 닭 보듯하던 사람들을 더 끌어들였을 법하다.
한 방송 관계자는 “KBS 주말극이 시청률 20% 대 밑으로 내려가면 ‘망했다’는 표현을 쓴다며 충성도 높은 중년 이상 마니아층이 탄탄하다. 사실 8시 시간대에 뉴스 시청자가 아니라면 드라마 시청자는 KBS2 주말극외에 선택의 여지도 없다. 몇몇 종편 및 지상파 방송사가 이 방송 시간대에 드라마로 도전했지만 좋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스포츠서울, 2017.11.28.)고 말한다.
사실 꿈의 시청률이라는 40% 대 기록은 연속극의 경우 2015년 2월 15일 종영한 53부작 ‘가족끼리 왜 이래’(KBS 2TV) 이후 3년 만이다. 미니시리즈로는 2012년 3월 15일 종영한 20부작 ‘해를 품은 달’(MBC) 이후 6년 만이다. 그야말로 ‘경사났네’라 할까. 종영 다음 날 출연진 등이 하와이로 4박 5일 포상휴가를 떠난 것만 봐도 알 수 있는 일이다.
‘황금빛 내 인생’이 엄청난 지지를 받은 건 재벌 까는 야무진 흙수저 서지안(신혜선) 덕분이지 싶다. 가령 “왜 가난한 사람들은 부자 말을 들어야 한다고 생각해요?”라 반문하는 그녀에게서 은근히 대리만족을 느끼고 자연스럽게 카타르시스까지 챙겼을 법하다. 그뿐이 아니다. 서지안은 재벌 3세 최도경(박시후)의 아내가 되고 며느리 되는 것도 거부한다.
재벌가 사람이 되려고 기를 쓰는 캐릭터의 기존 드라마 문법과 다른 전개라 할 수 있다. 더구나 “도경씨가 나한테 가장 잘못한 것은 내가 당신을 사랑하게 만든 거야” 같은 대사에서 보듯 도경을 되게 사랑하는 지안이 내린 결정이라 놀랍다. 이를테면 흙수저의 재벌가에 대한 당찬 반격인 셈이다. 사실은 지안의 그런 태도가 드라마에서처럼 그리 쉬운 일이 아니긴 하지만….
물론 52부작이나 되는 긴 이야기인데, 그것이 인기 요인의 전부는 아니다. 설 곳을 잃다시피한 이 시대 아버지들의 소외와 고뇌를 통한 자식 사랑도 인기 요인이지 싶다. 지난 연말 ‘KBS연기대상’에서 생애 최초로 대상을 수상한 천호진이 연기한 서태수가 바로 그다. 서태수의 그것은 재벌가 노양호(김병기)나 노명희(나영희)의 자식사랑법과 대조를 이루며 진하고 짠한 공감을 자아낸다.
서태수의 죽음이 꼭 필요했는지 의문으로 남는 건 그래서다. 혹 병명에도 없는 ‘상상암’으로 인한 시청자 비난 등이 그런 결말을 내게 했는지 모르지만, 그의 죽음 없이 마무리했더라면 더 흐뭇하고 좋을 뻔했다. 그것 빼고 좋은게 좋다는 식의 해피엔딩은 식상하지만, 가족드라마임을 훼손치 않으려는 의도로 봐줄만하다.
그러나 180도 표변한 민부장(서경화) 에피소드는 재벌의 또 다른 민낯 까발리기라 할지라도 너무 뜬금없어 보인다. 말이 안되거나 희망사항쯤 되는 전문경영인 영입, 재벌가 사람들의 개과천선 등은 픽 하는 웃음이 절로 나온다. 서지안(40회)과 천호진(45회) 대사에서 ‘깨끄시’라 해야 할 ‘깨끗이’를 ‘깨끄치’로 발음하는 오류를 비켜가지 못한 건 왕대박 드라마의 치명적 오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