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일기] 내 인생의 선생님

2022.08.19 15:05:46

김신석 선생님을 추억하며

나는 그림을 잘 그리는 사람을 부러워한다. 특히 만화가들을 존경한다. 요즘은 웹툰 드라마까지 즐겨보는 중이다. 문단 몇 개로 표현할 주제를 단 몇 글자로 압축해 표현하는 창의성,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한컷으로 표현해내는 대단한 이미지 창조력에 반한다. 그림은 열 마디 말로 설명할 것도 단 한 컷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특히 1학년 아이들은 그림으로 표현해주는 설명을 좋아했다. 

국민학교에 다니던 시절, 가장 생각나는 선생님은 어려운 개념이나 필수학습 내용을 설명할 때면 여지없이 칠판에 한컷 짜리 그림을 그려놓고 가르쳐주시던 김신석 선생님이다. 그 시절에는 텔레비전도, 실물화상기도 없었으니 선생님의 그림 한컷이 주는 감동은 대단했다. 꽃 그림도, 개구리 한 마리도 살아 있는 듯 생생하게, 그것도 순식간에 쓱싹 그려놓고 가르치셨다. 우리들은 탄성을 지르며 좋아했다.

그러니 선생님의 수업 시간에 조는 친구가 있을 리 없었다. 그러니 전교생이 2천 명이 넘고 6학년만 300명이 넘었지만 우리 반은 늘 최고 성적을 자랑했다. 그 비결은 어려운 개념을 쉽고 재미있게 가르친 선생님만의 꿀팁 덕분이다. 외우기 어려운 역사 연대나 사회적 사실은 반드시 배운 노래에 가사를 붙여 부르게 했고 음악 악보마저도 음표에 번호를 붙여서 외워 부르게 하는 방식이다. 그러니 학력평가 때마다 좋은 점수를 받을 수밖에. 아직도 나는 그 시절 외우던 공부 노래를 잊지 않고 흥얼거린다.

그 분은 5학년과 6학년 때 담임 선생님이셨다.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할 때에도 위인들의 격언이나 좋은 문장을 들어 인상적으로 설득했다. 예를 들면 "아는 것이 힘이다. 배워야 산다."라고 프란시스 베이컨을 알려주며 간단명료하게 아주 짧게 설득한 것이다. 사춘기였던 나는 그 한 문장에 매료되었다. 내 인생의 결정적 시기에 결정적 가르침 한 마디로 줄탁동시를 선사한 스승을 만난 행운에 감사한다.

원하는 중학교에 가려면 입학 시험에 합격해야 하던 시절이었다. 사회나 국어 교과서를 통째로 외우거나 심지어 악보까지도 완벽하게 암보를 하게 하셨으며 배운 노래는 반드시 계명창을 시키고 오르간으로 수행평가까지 시켰다. 날마다 서너 번의 쪽지시험을 치르고 국어 책을 읽히셨으며 목표 점수를 올리지 못하는 친구들은 손바닥을 자쪽으로 맞는 일도 다반사였다. 선생님의 철저한 가르침 덕분에 50명이 넘는 우리 반 친구들 중에는 글을 모르는 아이가 단 한 명도 없었다. 

그렇게 열심인 선생님이 가장 좋을 때는 눈이 오거나 비가 오는 날 운동장에서 체육수업을 할 수 없을 때면 칠판 가득 삼국지 적벽대전의 한 장면을 분필로 쓱쓱 그려놓고 이야기를 들려주실 때였다. 아니면 중고등학교에서 배우는 가곡을 가르쳐주신 일이다. 악보도 없이 오르간 반주도 잘하신 선생님의 목소리를 들으며 교과서에 없는 노래를 많이 배웠다. 훗날 나는 정규학교에 진학하지 못했음에도 중고등학교의 명곡을 거의 다 부를 수 있었으니 모두 선생님 덕분이다.

선생님이 공부 시간에 가르친 교육과정은 잊혔어도 틈만 나면 칠판 가득 그림을 그려놓고 동화를 들려주시던 그 모습만은 아직도 생생하다. 교단에서 내가 실천한 대부분의 교육내용은 그 선생님처럼 가르치는 것이었다. 글자 하나도 허투루 쓰지 못하게 하고 공책 정리를 꼼꼼히 체크하는 일, 일기는 하루도 빠지지 않고 써야 했으며 철저한 숙제 검사에 이르기까지 거의 완벽을 추구한 선생님. 열심히 따라가는 친구들은 다행이었지만 힘들어하는 친구도 많았다. 그러나 그 누구도 반항하거나 일탈을 꿈꾸지 못하게 선생님 스스로 본을 보였다.

그 선생님 덕분에 나는 내가 잘하는 것,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일찍 찾을 수 있었다. 공부 시간에 친구들 앞에서 발표를 하거나 질문을 못하는 수줍음 많은 아이였지만 음악 시간이면 가장 먼저 노래를 배우고 선생님의 오르간 옆에서 노래를 부르는 시간이 즐거웠다. 오르간 실기 평가를 할 때면 가장 먼저 합격점을 받고 가장 먼저 하교하는 것도 즐거운 일이었다. 나는 음악을 전공하고 싶었지만 가지 못한 길이다. 

그뿐이 아니다. 글쓰기 대회에는 항상 나를 추천해주셨고 믿고 칭찬해주시는 선생님 마음을 기쁘게 해드리고 싶었다. 그러니 나는 집에서는 말없는 아이, 고집불통인 아이였지만 학교에 가면 행복했다. 그렇게 믿었던 선생님이 6학년 2학기 초에 광주 사립학교로 전근을 가셨을 때 나는 절망했다. 거의 한 달을 슬퍼했다. 후임으로 오신 선생님에게 마음의 문을 닫아버렸다. 그러니 나의 학창 시절은 초등학교 6학년 1학기에 끝난 거나 다름없다.

그럼에도 김신석 선생님이 잡아주신 학습방법의 학습은 그후로 이어진 주경야독의 긴 터널을 통과하는 디딤돌이 되게 하기에 충분했다. 책을 읽고 요약하는 방법, 의미 문단 찾아내기, 글을 쓰는 방법,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를 비롯해서 나 자신을 어떻게 지키고 다듬어 나갈 것인지, 음악을 즐기고 악기를 배우며 편지를 쓰고 일기를 쓰는 일상의 작은 일들을 성실히 해내는 일의 중요성을 다 배운 셈이다. 

교직에서 내가 하지 못한 가장 아쉬운 일은 선생님처럼 그림을 그려놓고 재미있게 가르치거나 동화를 들려주지 못한 것이다. 겨우 책을 읽어주거나 아침독서 분위기를 만들어 주었으니. 그림 그리는 재주는 소질이 부족했는지 시간이 부족했는지 제대로 배우지 못했으니 어쩌랴. 다만 선생님의 반듯한 글씨체를 닮은 것은 다행이다. 칠판 글씨체가 예술이었던 선생님은 공책 글씨가 예쁜 아이들을 무척 좋아했으니 고쳐쓰기를 반복했다.

그 시절에는 반에서 글씨를 잘 쓰는 친구가 아침자습 시간에 풀 문제를 칠판 가득 쓰는 일을 담당했다. 바쁜 선생님을 대신하여 칠판에 문제를 내면 반 친구들은 아침마다 그걸 베끼고 문제를 풀어야 했다. 요즘 아이들 같으면 귀찮아 하겠지만 그 시절 우리들은 선생님의 잔심부름을 서로 하고 싶어 했다. 선생님의 눈길 한 번이라도 더 받고 싶은 우리들의 작은 경쟁심을 자극했기 때문이다. 친구들은 선생님의 심부름을 많이 하는 아이들과 친했다.

1시간 이상 걸리는 그 일을 즐거운 마음으로 하곤 했으니. 아침독서를 했으면 더 좋았겠지만 그 시절에는 교실에 읽을 책이 단 한 권도 없었다. 교실조차 부족해서 2부제 수업을 했고 50명이 넘었으니. 복사기가 있는 것도 아니어서 중요한 내용은 늘 써야 했다.  요즈음 학생들의 필체가 예전만 못한 것은 쓰는 시간이 많지 않고 그럴 필요조차 없으니 연습이 안 되어서 그러는 것이 분명하다. 

요즘 나는 웹툰 드라마와 우영우 드라마에 폭 빠져 있다. 그럴 때마다 김신석 선생님을 생각하며 감사한다. 내 인생의 험로에서 스스로 헤쳐 나갈 에너지를 사랑과 열정으로 장착시켜 주신 그 오래된 가르침을 기억해낸다. 내 인생의 나무가 바르게 자라기도 전에 지지대를 지키주지 못한 부모님을 대신하여 어린 마음에 살아갈 용기와 희망을 주신 은사님의 건강을 기원한다. 

인생길의 마지막 언덕은 혼자서 걸어야 합니다. 그 길에서 그리운 선생님을 가슴에 품고 감사하게 내려설 수 있는 행운은 누구에게나 오는 건 아닙니다. 결정적인 순간에 꼭 필요한 가르침으로 유년의 빈 가슴을 채워주신 김신석 선생님! 선생님 덕분에 아직도 저는 배우고 있습니다! '아는 것이 힘이다. 배워야 산다'를 잊지 않고 지켜내는 중입니다. 선생님께 배우지 못한 단 한 가지, 그림을 배우는 꿈을 품어보렵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그리운 이름으로 남아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장옥순 작가, 전 초등 교사 jos228@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 광고 문의: 042-824-9139(FAX : 042-824-9140 / E-mail: sigmund@tobeunicorn.kr)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여난실 | 편집인 : 여난실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