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가 김장의 주인공이 되기를 기다리며 머리를 꼬불꼬불하게 만들어서 땅에 쏙 박혀있다. 밭에 심어진 배추를 보니 꼬불꼬불한 머리의 배추를 닮은 어느 분이 떠오른다. 아이들은 그분을 브로콜리 선생님이라고 불렀다. 퇴임하셔서 지금은 학교에 계시지 않는 브로콜리 선생님을 떠올린다.
그 선생님을 생각하니 입가에 웃음이 번진다. 생각만 해도 따뜻하고 마음 편해지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 행복하다. 나뿐 아니라 많은 동료 교사들에게 그런 말을 들었던 분이다. "우리나라 학교에 선생님이 계셔서 정말 다행이에요."
무엇보다 지금의 나를 만드신 선생님이 바로 이분이시다. 학생들에 대한 진심과 정성과 인내를 배웠다. 포기하지 않음이란 무엇인지 그 실체를 알게 되었다. 일관성 있게, 한결같이, 편안하고 따뜻하게, 정성을 다함, 이런 단어가 의미하는 교사로서의 자질이 내게 조금이라도 있다면 그것은 바로 그 시절 함 선생님을 만나 함께 근무하며 배움을 얻은 덕분이다. "제 인생에 교사로서의 길잡이가 되어주신 함 선생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선생님의 언어와 행동들은 저에게 환한 등대가 되어주었습니다."
몇 년 전 청학고등학교에 발령을 받았을 때, 복도에서 어떤 분을 만났다. 그분은 머리카락이 곱슬곱슬해서 만화영화에 나오는 캐릭터를 연상시켰다. 한 손에는 빗자루를 들고 계셨고 다른 손으로는 어떤 손잡이를 잡고 있었다. 그 손잡이에는 바퀴가 달린 수레가 달려있었다. 나중에 들어보니 작은 수레는 직접 만들었다고 한다. 나무 널빤지에 바퀴를 직접 달고 손잡이도 만들었다. 나무 널빤지 위에 쓰레기통을 얹어 끌고 다니면 청소하기가 쉽다고 했다. 그때 스쳐 지나갈 때는 청소하는 분일 거라고 생각했다.
2월, 연수하는 자리에서 인사가 있었는데 그분은 역사 선생님이자 환경부장이셨다. "저는 에코부장입니다." 차분하고 조용히 부서 소개를 했을 뿐인데 선생님들이 큰소리로 웃었다. 즐거운 분위기에 긴장되었던 마음이 편안해졌다.
다음 해에 그분은 1학년 담임을 맡았다. 그 학급은 가을에 작은 음악회를 열었고, 학생들의 초대장을 받은 나는 그곳에 앉아있었다. 진행되는 2시간여 동안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학부모님들도 감동을 받은 듯했다. 감동 받은 이유는 학생들이 단순히 잘해서만은 아니었다. 모두 함께 하는 마음이 녹아있었기 때문이었다. 시낭송과 연주와 노래와 율동과 댄스 등 재료가 풍성하고 다채로웠다. 마치 두더지 게임에서 두더지들이 얼굴을 빼꼼 빼꼼 여기저기서 내밀 듯이, 한 명 한 명이 고개를 내밀고 들어왔다 나가는, 아이들은 두더지 같았다. 각자의 파트에서 율동을 하고 노래를 하고 춤을 추었는데 모두 자신의 개성을 드러냈다. 빠진 학생이 없었다. 몸이 불편한 친구가 있었는데 그 친구도 다른 친구처럼 자기 순서에서 자신만의 개성을 드러냈다.
행사 후 학생들이 소감을 이야기했는데 학생들은 스스로 계획하고 준비해오는 동안 여러 차례 갈등을 겪었다고 한다. 그때마다 작은 싸움도 있었으나 서로 대화하고 합의하는 과정에서 더 친해졌다고 했다. 스스로 정말 많이 성장했다고 표현했다. 그 나이에 스스로 성장함을 깨닫고 표현할 수 있다는 것과 학생들이 그리되도록 자리를 만든 선생님에게 큰 감명을 받았다.
담임선생님은 이와 비슷한 작은 활동을 자주 했다. 일명 돗자리 파티도 자주 열었다. 돗자리를 가지고 해서 돗자리 파티라고 이름 붙였다고 들었다. 어느 때는 음식을 만들기도 하고, 어느 때는 게임을 하기도 하고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서로를 알아가고 친해진다고 했다. 실제로 효과도 좋았다.
어느 날 교실에서 하는 작은 파티에 초대받아 가보니 선생님께서는 며칠에 걸쳐 준비하셨다는 선물꾸러미와 편지를 학생 한 명 한 명에게 전해주었다. 감동으로 눈시울이 붉어진 학생들도 있었다. 선생님은 자주 학생들에게 편지를 건넸다. 글을 정말 잘 쓰셨다. 유창함이 아니라, 진솔함이었다. 학생들을 통찰력 있게 파악한 후 그에 맞는 적절한 가르침이 담긴 내용을 써서 보냈다. 요즘 아이들이 글 쓰거나 받는 것을 진부하게 느낄 거라는 내 예상은 빗나갔다. 아이들은 글을 좋아했고, 선생님을 좋아했다. 많은 학생들이 나에게도 자랑하며 보여주기도 했다. "저 이거 함 선생님한테 받았어요"하며 메신저로 받은 장문의 편지를 보여줬다. 자주 그랬다. 학생들은 답장하면서 선생님의 기대에 맞게 성장해갔다. 대부분의 학생이 그랬다.
어느 날 한 여학생이 와서 말했다. "어제 저녁 집에 가는데, 함 선생님께서 보시고 늦었다고 포천까지 태워다 주셨어요." "세상에, 정말 고마웠겠다." "그것 뿐 만이 아니에요. 할머니 드리라고 찐빵도 사주셨어요." 그 시절 학교에서 포천은 승용차로 한 시간이 넘게 걸리는 거리였다. 그런 일은 자주 있었다. 차가 끊어지는 경우, 반 학생들이 담임선생님께 전화하면 늦은 시간에도 나오셔서 집까지 픽업해주고 심지어 새벽 두 시에 귀가하신 적도 있다. 학생들을 통해 듣는 담임선생님의 학생 사랑은 넘치고 또 넘쳤다.
그 반에 지각을 자주 하는 학생이 있었다. 말로 하는 지도가 효과가 없자 선생님은 작은 팻말을 만들었다. ‘지각을 하지 맙시다’라고 나무에 적어 손잡이를 붙였다. 그리고 아침 등교 시간에 팻말을 들고 교문 밖으로 나가서 학생들이 걸어오는 등굣길을 거꾸로 내려가더니 지각을 자주 하던 그 학생의 아파트 앞까지 가서 말없이 기다렸다. 학생이 나오면 그 팻말을 들고 함께 학교로 돌아왔다. 신기하게도 며칠 그렇게 한 후 그 학생은 지각하지 않게 되었다. 그때 계시던 교장 선생님은 이분을 스위스의 교육자인 페스탈로치의 이름을 따 함 페스탈로치 선생님이라고 호칭했다. 그러다가 많은 선생님이 함스탈로찌 선생님이라 불렀고 학생들도 브로콜리 선생님, 또는 함스탈로찌 선생님이라고 불렀다. 이분의 별명이 함스탈로찌가 된 계기다.
그 분이 학교를 떠나실 때가 되었던 어느 해가 기억난다. 몇 명의 여학생들이 울고불고 난리가 났고, 학부모님들이 찾아와 사정하는 바람에 결국 떠나시려던 그 해에 발이 묶였다. 그 여학생들이 교사가 되고 병원에 간호사가 되었다는 소식을 함 선생님을 통해서 얼마 전에 들었다. 퇴임한 지 몇 년이 지난 지금도 함 선생님은 학생들을 만나 밥을 사주고 미래를 함께 고민하고, 취직을 축하해준다.
업무능력도 탁월하고, 학생들에게 진심을 다하고 주변 동료 선생님들에게 존경의 대상인 함 선생님을 통해 내 교사관도 많이 바뀌었다. 나도 나름 교사로서 열심히 한다고는 생각했으나 학생 한 명 한 명에게 이렇게 진심으로 끝없이 대화하고 바르게 갈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인내는 한참 부족했었다. 한두 번 말해보고 안 통하는 학생에게는 지도를 포기했었다. 다른 할 일도 많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것은 시간의 문제라기보다 얼마나 진심을 다하는지의 문제라는 것을 깨달았다. 나의 문제는 처음부터 학생으로부터 배척당할 것을 두려워해서 적당한 거리를 두고 대하는 것이라는 걸 알았다. 내 지도를 받아주면 고맙고, 아니면 말고. 이게 내 방식이었다.
함 선생님을 알고 그분과 같은 학교에서 근무하는 3년 동안 나는 변화했다. 교사로서 성장했다. 비가 오면 땅에 빗물이 스며드는 것처럼 서서히 나는 교사가 되어 갔다. 아니,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그 분의 한결같은 학생 사랑을 보고 배우는 중이다. 지금, 오늘 이 시간도.
------------------------------------------------------------------------------------------
<수상 소감> 함 선생님처럼 살고 싶다
추운 겨울 어느 날, 한국교육신문사로부터 동상으로 당선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깜짝 놀랐다. 함 선생님에 대한 생각이 넘쳐서 글을 적긴 했으나 글솜씨가 없어서 잊고 있던 터였다. 온기로 몸이 따뜻해졌다. 코로나로 힘들었던 순간들의 고통도 한순간에 사그라졌다. 정말 기쁘고 감사하다. 이런 기회를 만들어주신 신문사에 감사하고, 부족한 글을 뽑아주신 심사위원님들께 감사하다.
이를 통해 함스탈로찌 선생님에 대해 다시 떠올릴 수 있어서 행복하고, 우리 모두를 감동의 바다에 던져넣었던 그 시절, 함께 했던 우리의 제자들, 동료들이 함께 또다시 그때를 추억할 수 있게 되니 참으로 기쁘다. 그리고 지구 어딘가에 이런 분이 계시다는 사실을 다른 분들에게 알릴 수 있게 되어 참으로 감사하다. 앞으로 남은 교직 생활 기간에 이 배움들이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함 선생님처럼 살고 싶고 제자들과 행복하게 소통하며 지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