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꼰대수첩> 12화 _ 활용도 높은 심리검사❷    사과 따는 그림으로 알아보는 문제해결능력 

2023.02.03 10:30:00

아담과 이브의 사과, 뉴턴의 사과, 스티브잡스의 사과…. 수많은 열매 중 사과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인류 역사를 뒤바꾼 순간을 함께 했기 때문이다. 그림검사 속 사과 역시 목표·애정·성취 등 인간의 욕구를 나타낸다. 이번 호에서는 사과 따는 행동으로 ‘내가 성취하고 싶은 것(목적)을 어떻게 해결하는가?’를 알아보는 ‘사과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PPAT)’ 그림검사를 소개한다. 특히 이 검사는 진로상담에 유용하다. 목표가 설정되어 있는지, 어떤 방법으로 목표에 도달하고자 하는지, 진로계획 설정과 노력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지를 점검해보며 자연스럽게 정서상태까지 체크해볼 수 있다.

 

‘사과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 실시방법
- 준비물: A4 용지 또는 도화지, 색연필 또는 사인펜(마카)
- 실시방법  
① ‌A4 용지와 색연필 또는 사인펜(마카)1을 제시하고, 다음의 지시문에 따라 그림을 그리게 한다.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을 그려보세요. 사람을 그릴 때는 쫄라맨처럼 막대기 모양의 사람이 아닌, 머리부터 발끝까지 완전한 사람을 그려주세요.” 
※ 주의해야 할 점
- ‌학생들의 다양한 질문에 “정해진 건 없어요. 그냥 마음대로 그리고 싶은 대로 그리면 됩니다”라고 답한다. 그림에 대한 어떠한 단서도 주면 안 된다. 
- 만약 색칠하기 싫다고 하면 강요하지 않는다. 


② ‌그림을 다 그릴 때까지 기다렸다가, 그림에 대해 질문하고 기록한다. 질문은 그림을 보고 궁금한 것들을 물어보면 되지만, 다음의 질문을 필수적으로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사과의 크기는 어떠니? 얼마나 달려있니? 맛은?”
“이 사람은 누구니? 사과는 얼마나 땄니? 기분은 어때 보이니?” 
“지금 이 사람은 무엇을(혹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니?” 

 

사과와 사과 따는 행동이 주는 의미
‘사과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의 포인트는 ‘사과의 상태’와 ‘사과를 어떻게 따느냐’이다. 사과는 성취·해결하고자 하는 목표(해결과제)이다. 사과가 큰가, 작은가, 많은가, 적은가, 맛있나, 썩었나, 땅에 떨어졌느냐, 바구니에 사과가 담겨 있느냐 등을 통해 목표치를 예상해 볼 수 있다. 나무에 사과가 많이 달렸다면 성취하고 싶은 것이 많은 것이며, 수확한 사과는 이미 달성한 목표를 의미한다. 크고, 맛있고, 탐스러울수록 긍정적으로 본다. 하지만 과도하게 큰 사과와 너무 많이 달린 사과는 오히려 내적 욕구가 충족되지 않은 상태로 본다.

 
사과를 따는 행위는 목표에 대한 태도와 반응이다. 얼마나 적극적으로 따고 있는가, 쳐다만 보고 있는가, 땅에 떨어진 것을 줍고 있는가, 이미 따서 먹고 있는가 등 목표를 성취하고자 하는 의지·방법·해결력 등을 알 수 있다. 


사과를 따기 위해 사용하는 사다리·막대기·의자·사다리차 등의 도구는 문제상황을 인식한 후, 문제해결을 위해 사용하는 효율적 방법·수단이다. 간혹 도와주는 사람이 도구로 등장하기도 한다. 도구 활용은 효율적인지, 과도한지, 의존적인지가 중요하다. 예를 들어 안전하고 적당한 높이의 사다리는 도움이 되지만, 사다리차는 좀 과하다. 막대기 역시 효과적이지 않다. 사과에 상처가 나기 때문이다. 


이처럼 한 장의 그림에는 풍부한 ‘문제해결방식’이 들어 있다. 따라서 사과는 맛있는지, 사람은 어떤 상태인지, 도구는 어떻게 활용하는지, 사과를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 등 그림의 전체적인 이야기를 풀어가다 보면 단회기 상담으로도 자기성찰이 가능하다.  


실제 사례로 알아보기
● 손으로 사과를 따는 사람
대부분 아이는 (1)·(2)번 그림처럼 손을 뻗어 사과를 따는 그림을 그린다. 크고 작은 성취와 실패 경험을 하면서 자신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학생들이다. 격려와 조언, 성장을 위한 쓴소리, 적절한 타이밍에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만으로도 아이는 충분히 성장할 것이다. 다음과 같은 질문으로 목표(진로)를 구체화하고, 다음 계획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손이 안 닿는 저 위에 있는 사과는 어떻게 딸 생각이니?” 

 

사다리 등 도구를 이용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이지만, 간혹 손닿는 곳에 있는 사과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에 안 딴다는 학생이 있다. 삶의 가치관은 모두 다르고, 만족의 크기 역시 다르다. 따라서 높은 곳의 사과를 따지 않는다고 문제될 것은 없다. 하지만 ‘귀찮아서’, ‘위험하니까’, ‘힘들어서’ 등의 답변은 더 큰 목표달성에 필요한 자신감 결여의 표현일 수 있다. 무엇이 목표달성에 방해가 되고 있는지, 즉 부모님과의 의견차이인지, 능력 부족인지, 사회적 인식 때문인지 등을 살피는 것이 도움이 된다.    
(3)번 그림은 안정적으로 사과를 따고 있고, 바구니에도 사과가 담겨있지만, 조금 느낌이 다르다. 사과나무에 잎사귀는 없고, 사과의 크기도 작다. 힘들어서 색은 칠하기 싫다고 했다. 상담과정에서 원인이 드러났다. 자기만 믿고 기대하는 엄마에게 자랑스러운 딸이 되고 싶지만, 늘 실망만 시켜드리는 자신이 혐오스럽다고 했다. 즉시 부모상담이 진행되었고, 엄마의 진심이 딸에게 전달되었다. 오해가 풀리고 부담감을 덜어낸 학생의 정서상태는 좋아졌다. 
  
● 사다리 등 도구를 사용해서 사과를 따는 사람
사다리에 올라가 사과를 따는 그림도 자주 등장한다. 더 높은 곳에 있는 사과를 따는 것이니 더 큰 목표를 갖고 있는 것일까? 꼭 그렇지만은 않다. 만약 손닿는 곳의 사과는 놔두고 높은 곳의 사과를 따는 것이라면 오히려 더 허황된 행동일지도 모른다. 일반적으로 사다리에 올라가는 것은 성취과정에서 약간의 긴장감을 동반한다고 본다. 사다리 위에 있을 때 우리는 편안함보다 아슬아슬한 감정을 느끼기 때문이다. 하지만 적당한 스트레스와 긴장감이 있어야 성취동기가 생기고 수행능력이 높아진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추가 질문으로 학생의 정서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사다리가 흔들거리거나 위험하지는 않니?”
“사다리가 필요한 이유가 뭐니? 손으로 딸 수는 없니?”

 

사다리가 그려진 그림의 포인트는 사다리의 안전성과 따는 사람의 표정이다. (4)번 그림을 그린 학생은 “안전해요. 낮은 곳의 사과는 이미 따서 바구니에 담았고, 높은 곳의 사과를 따기 위해 사다리에 올랐어요”라고 답한 반면, (5)번 그림을 그린 학생은 “조금 흔들리고 무서워요. 아직 수확한 사과는 없고, 사과나무가 너무 커서 사다리에 올라가야만 사과를 딸 수 있어요”라고 했다. 표정 역시 한 명은 자신만만하고 즐거운 얼굴이고, 다른 한 명은 표정을 알 수 없는 뒷모습이다. 같은 도구(사다리)를 사용했지만, 목표·과제에 대한 태도와 감정이 매우 다름을 짐작할 수 있다. (5)번 그림처럼 그린 학생이 있다면 현재 자신의 감정을 체크해보고, 이루고자 하는 목표가 무엇이며,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함께 이야기해보자. 분절되어 있던 감정들이 통합되면서 문제해결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가끔 막대기와 사다리차처럼 비효율적인 도구가 등장할 때도 있다. 일반적으로 비효율적인 도구 사용은 의존성이 있다고 본다. 때문에 자신의 문제해결방법이 효율적인지 점검해보고, 목표달성을 위해 본인이 할 수 있는 것을 탐색해보면서 스스로 할 수 있는 것부터 시작해볼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 사과를 따지 않고 쳐다보고 있는 사람
사과를 따지 않고 쳐다보고 있는 사람을 그리기도 한다. 목표가 없거나 회피할 때, 무엇을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를 때 이런 그림이 나올 수 있다.   

“정말 사과를 딸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6)번 그림을 그린 학생은 폴짝 뛰어요, 주변에서 딛고 올라갈 것을 찾아와요, 사다리를 갖고 와요, 잠자리채로 따요 등 다양한 방법을 말했다. ‘좋은 곳에 취업하고 싶다’는 목표는 있었지만, 지금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모르고 있던 이 학생은 상담을 통해 ‘좋은 곳’의 기준을 설정하고, 취업에 필요한 것을 탐색했으며,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학기별 목표를 설정했다.  

 

● 다른 사람과 함께 사과를 딴다는 사람

“왜 직접 안 따고 다른 사람에게 따라고 하는 거니?”
“사과를 딴 후에는 어떻게 생각이니?”
“혼자 딸 수도 있을까?”

 

다른 사람에게 사과를 따달라고 부탁하는 학생도 있다. 사과 따기에 훨씬 유리한 키 큰 사람이 사과를 따고, 자신은 사과를 받아 바구니에 담은 후, 다양한 음식을 만들 것이라고 했다. 작은 사과의 맛은 크게 기대되지 않으며, 익은 것도 있고 아직 안 익은 것도 있다고 답했다. 그림의 위치도 유의미하다. 일반적으로 그림 위치가 왼쪽에 치우쳐있으면 미래의 도전적 성취에 집중하기보다 내면의 불안정한 현재에 집중하고자 하는 심리가 반영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런 그림은 왜 본인이 직접 따지 않는지 명확하게 탐색할 필요가 있다. 사람을 사다리처럼 도구로 활용(자신보다 수행능력이 뛰어난 사람과 멘티-멘토가 되어 더 좋은 결과물(크게 기대되지 않는 사과를 다양한 음식으로 가공)을 만드는)하는 것인지, 귀찮아서 혹은 위험해서 타인에게 떠넘기는 것인지가 중요하다. 만약 의존적인 성향과 불안감이 관찰된다면 현재 정서상태를 확인하고, 목표달성을 위해 지금 본인이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부터 탐색할 필요가 있다. 


● 사과나무에 기대앉아 있는 사람
“왜 사과를 따지 않고 기대어 있나요?”
“언제 다시 사과를 딸 계획인가요?”

 

 

 

 

 

 

 

 

 

 

 

사과나무에 기대있는 사람을 그리는 경우도 있다. (8)번 그림을 그린 학생은 사과나무가 자기 집 마당에 있어서 먹고 싶으면 언제든지 와서 먹을 수 있기 때문에 한 개를 따서 먹으며 나무에 기대어 쉬고 있다고 했다. (9)번 그림을 그린 학생은 사과를 딴 후 책을 읽으며 휴식 중이라고 했다. 이미 충분히 땄기 때문에 사과를 다시 딸 계획은 아직 없다고 답했다. 이런 학생은 현재 어떤 목표를 세워서 달성했고, 그 과정에서 무엇을 얻고 성장했는지, 그다음 목표가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칫 현재에 만족하며, 머물러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 사람이 등장하지 않는 그림
(10)번 그림은 사람이 등장하지 않는다. 사과는 썩은 채로 뚝뚝 떨어지고 있다. 목표를 달성할 의지도 힘도 없어 보인다. 아주 작게 그려진 (11)번 그림은 사과나무 옆 자동차 안에 사람을 그려 넣었다. 현재 상황이 힘들어 어디론가 도망쳐버리고 싶은지도 모르겠다.

 

 

 

 

 

 

 

 

 

 

 

 

 

 

 

 

 

두 그림 모두 딱 봐도 뭔가 힘든 상황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이런 학생은 현재 직면한 정서적 상황에 집중해야 한다. 마음이 편해야 목표가 생기고, 실천할 수 있는 에너지가 차오른다. ‘왜 무기력하게 아무것도 하려고 하지 않느냐’고 묻기 전에, ‘왜 무기력한 상태에 이르렀는지’를 함께 이야기해보자. 어떻게 하면 그 상태를 벗어날 수 있을지 방법을 함께 찾아보자. 분명 길이 있을 것이다. 나는 (12)번 그림을 그린 학생에게 이렇게 말했다. 

 

“자동차를 타고 빨리 이곳을 벗어나자. 그런데 운전면허는 있니? 면허를 따야 이 공간에서 벗어날 수 있지 않을까? 차는 준비됐어. 면허를 따는 건 너의 몫이야. 어때, 도전해 볼래?”
 

김미리 서울세그루패션디자인고등학교 전문상담교사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문태혁 | 편집인 : 문태혁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